[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

 1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1
 2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2
 3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3
 4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4
 5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5
 6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6
 7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7
 8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8
 9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9
 10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10
 11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11
 12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작가론] 오영수와 하근찬 비교 -전후소설 속 현실의 극복양상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후현실인식과 극복양상

1. 오영수
1) 작가의 생애와 현실인식
2) 전쟁의 폐해와 불굴의 휴머니즘
3) 인간과 자연에 대한 신뢰와 희망

2. 하근찬
1) 작가의 생애와 현실인식
2) 직접적인 수난양상과 전쟁의 후유증
3) 현실의 수용과 희망의 재발견

Ⅲ. 결론

본문내용
자신의 소년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일제시대의 압박과 수탈의 체험들을 얘기하고 있다. 이는 그의 개인적 경험이 형상화 되어감으로써, 스스로의 전쟁 콤플렉스를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의 시기를 지나, 보다 넓은 시각으로 전쟁을 겪어낸 사회와 세대 전체를 아우르게 되는 시기로 발전해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하근찬의 교사 시절, 그리고 교육 주보사 기자시절의 체험이 녹아들며 시선의 폭이 넓어진 것이 계기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척박한 교육현장에 몸담아 전쟁에 휘둘리는 학생과 서민들의 삶을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파악해가면서 가난하고 아픈 이들을 보듬고 위로하는 시각을 형성해간 것이다. 「삼십이매의 엽서」와「붉은 언덕」등이 바로 그러한 교사시절의 경험과 시대상이 결합돼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그의 작품세계에서 하근찬이 일관되게 추구하고 형상적으로 표현하려는 것은 우리들 삶의 형언할 수 없는 슬픔 혹은 한(恨)이다. 이는 그의 개인적 트라우마가 민족적인 한으로 보다 포용력 있게 연결되어 가는 과정을 겪으면서 현실을 받아들이는 순응주의가 형성됨에 따라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하근찬은 식민지와 한국전쟁이라는 민족수난을 화두로 삼으면서 탁월한 작품성과를 이뤄냈다. 그의 작품은 구체적인 개인의 고통, 아픔이 어떻게 역사와 맞물려 있는가를 서정적으로 보여준다.

2) 직접적인 수난양상과 전쟁의 후유증

하근찬의 소설에 나타나는 가장 큰 특성은 ‘전쟁’이라는 소재를 뚜렷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일관성 있게 작품을 엮어 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는 전쟁을 참상을 직접적으로 자세히 묘사하고 있지는 않다. 그의 작품 안에는 서로 부수고 죽이고 하는 전쟁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살벌한 전투장면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가 다루고 있는 전쟁은 강자의 이념대립의 폭력성의 고발이 아니다. 오히려 하근찬은 전쟁의 회오리바람이 지나간 뒤의 참담한 삶들과 그것이 밀어닥칠 때의 끌려가는 자들과 남겨진 사람들의 비통함을 그리고 있다. 하근찬, 「전쟁 그 아픔, 기타」, 『산울림』, 한겨레 , 1998, 4쪽.
폐허가 된 땅에서 살아가야하는 대다수의 민중들의 수난과 애환에 주목한 것이다.
하근찬은 한국전쟁이 한국인의 삶에 새겨놓은 상처나 흔적들을 집요하게 추구한다. 6.25전쟁이 한국인의 삶과 운명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그는 ‘육체적 훼손’에 주목한다. 그의 초기작들을 보면 등장인물들은 전쟁으로 인해 대개 불구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한 전쟁은 육체적 훼손뿐만 아니라 무고한 생명들의 숱한 죽음을 낳는다. 이러한 전쟁을 직접 경험한 그는 민중들이 겪는 수난의 모습을 죽음, 혹은 신체적 훼손된 모습으로 직접적으로 나타내며 전쟁의 참혹성과 비정함을 강조하였다.
「수난이대」(1957)에서 아들 진수는 아버지 앞에 나타났지만 다리를 잃어버린 불구자의 모습이다. 태평양전쟁으로 팔을 잃은 아버지 만도와 6.25 전쟁으로 인해 다리를 잃어버린 진수의 모습은 두 부자(父子)의 이대(二代)에 걸친 비극적인 수난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는 단지 개인적인 수난의 모습이 아니라 일제 말엽에서부터 6.25 전쟁까지의 우리 민족
참고문헌
* 참고문헌

「도서」
고은,『1950년대』,청하, 1989.
양윤복 외, 「전후의 일상과 휴머니티」, 『20세기 한국소설』, 창비, 2005. 310-311쪽.
오영수. 『오영수 작품집』, 지만지고전선집, 2010.
오영수.「인정의미학-오영수씨와의 대화」, 『문학사상』, 한국문학. 1973.1. 303~304쪽.
오영수.『오영수 소설집』, 백수사, 1960.
우한용/전영태/한점돌, 『현대소설의 이해』, 새문사, 1999.
이재인, 『오영수 문학연구』, 문예출판사, 2000. 20쪽에서 재인용.
하근찬, 『내 안에 내가 있다』, 엔터, 1997.
하근찬, 『산울림』, 한겨레, 1988.
하근찬, 『한국현대문학』13, 신구문화사, 1988.

「학술지」
구수경, 「1950년대 전후소설의 서사기법 연구」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136권 2004.5.
박동규, 「한국 전후소설의 유형분석에 관하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61권 1973.7.
변화영, 「전후소설의 휴머니즘적 교육담론 연구」, 국어문학회, 국어문학, 제42집. 2007.1.
서광숙, 「오영수소설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2.8. .
오태호, 「오영수 소설에 나타난 서정적 리얼리즘 연구」,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제48집 2010.4.
장 현, 「하근찬 소설의 모티프 연구」한국현대문학회,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6집 2008.12.
최용석, 「전후소설 에 구현된 현실비판과 극복의식」, 중앙어문학회, 어문론집, 제30집 2002.12.
하근찬, 「전쟁「컴플렉스」의 극복」, 『문예중앙』,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