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

 1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
 2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2
 3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3
 4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4
 5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5
 6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6
 7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7
 8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8
 9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9
 10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0
 11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1
 12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2
 13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3
 14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4
 15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5
 16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문학] 제주도 서사무가의 내용과 활용방안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무가의 의미와 종류
2. 제주도 서사무가의 기본적 특징
3. 의 내용
4. 내용 분석
5. 의례를 통해 본
6. 현대적 재해석과 활용방안


본문내용



① 삼승할망이 급히 해산을 시키기 위해 서천강 다리에 가다가 마마신인 대별상의 행차와 만났다.
② 대별상은 인물도감책과 위의를 차리고 만민 자손에게 마마를 시키려고 내려오는 길이었다.
③ 삼승할망은 길을 비키고 공손히 꿇어앉아서 생불할 자손에게 고운 얼굴로 호명하여 달라고 부탁했다.
④ 대별상은 무섭게 삼각수를 거느리고 사내 대장부의 길에 여성이라는 새물이 가로막는다고 꾸짖었다.
⑤ 삼승할망은 분을 참았으나, 교만한 대별상은 삼승할망의 자손에게 혹독한 호명을 시켜서 뒤웅박을 만들었다.
⑥ 삼승할망은 생불꽃 하나를 가지고 대별상 부인인 서신국 마누라에게 잉태를 시켰다.
⑦ 서신국 마누라는 열두 달이 넘도록 아이를 못 낳자 사경을 헤매게 되었다.
⑧ 서신국 마누라가 남편인 대별상에게 삼승할망에게 빌어보라고 사정했다.
⑨ 대별상은 사내 대장부로 어찌 여성을 청할 수 있겠는가 고민했으나, 도리 없이 청하게 되었다.
⑩ 대별상 마누라는 흰 망건, 흰 도포, 마부 등을 갖추어서 삼승할망을 찾아와 빌었으나, 삼승할망은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⑪ 삼승할망은 대별상에게 머리를 깎고, 굴송낙, 굴장삼, 맨보선 바랑으로 와서 댓돌 아래에서 빌라고 했다.
⑫ 대별상은 고깔, 장삼, 버선 등으로 꾸미고 와서 댓돌 아래 엎드렸다.
⑬ 삼승할망은 준절하게 나무라고 서천강에 명주로 다리를 놓으라고 했다.
⑭ 삼승할망은 서천강의 명주 다리를 건너서 대별상의 집으로 행차했다.
⑮ 서신국 마누라는 사경을 헤매고 있었으나, 삼승할망이 허리를 두어 번 쓸어내려서 구에문이 열리고 해산하게 되었다.
⑯ 오늘날 불도맞이를 할 때에 무명이나 광목을 깔아놓고 다리라 하여 신을 청하게 된다.


4. 내용 분석

1) 생육신의 직능

삼승할망은 아기를 잉태․출산․양육시켜주는 신이다. 한국 전역에 삼신에 관한 신화는
참고문헌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2001.
고대경, 『신들의 고향』, 중명, 1997.
김헌선, 「의 여신 투쟁이 지니는 신화적 의미」, 『민속학연구』 제17호, 국립민속박물관, 2005년 12월.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당, 1976.
현용준,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1986.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