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1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
 2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2
 3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3
 4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4
 5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5
 6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6
 7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7
 8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8
 9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9
 10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0
 11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1
 12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2
 13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3
 14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4
 15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5
 16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6
 17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7
 18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8
 19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19
 20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이황, 이이와 시조 작품 분석-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이황과 이이의 생애와 작품 분석
1. 퇴계 이황과
1) 생애, 문학사상
2) 의 창작배경
3) 작품 분석과 이해
4) 의 특징
5) 문학사적 의의
2. 율곡 이이와
1) 생애, 문학사상
2) 의 창작배경
3) 작품 분석과 이해
4) 의 특징
5) 문학사적 의의
Ⅲ.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후대적 수용
1. 형식적인 측면
2. 내용적인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其三
고인(古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고인을 못 봐도 녀던 길 알페 잇네
녀던 길 알페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고인이 성현을 지칭한다는 것은 우리들 모두 잘 안다. 그러므로 배운다는 것은 성현이 가던 길을 그대로 본받아 따르는 것이다. 진리는 내가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발견되어 거기에 존재한다. 그리고 발견되어 존재하는 진리, 그것은 성현이 남긴 말씀의 형태로 우리들 앞에 놓여 있다. 따라서 후세의 우리들에게 있어 진정한 배움의 길이란 성현의 말씀을 되새겨 숨어 있는 깊은 이치를 음미하고 체득하면서 성현의 가르침 그대로 실천해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자아의 완성과(독선) 세계의 완성(겸선)을 동시에 실현하고자 꿈꾼 사대부 지식인들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이상이다. 퇴계 자신이든 퇴계가 가르치는 학생들이든, 아니면 더 넓혀 세상의 누구이든 간에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문제는 이미 자명한 실천명제로서 그들 앞에 놓여 있다. 고인의 길을 따르는 배움의 길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연의 문제인 것이다.
 
其四
당시(當時)에 녀던 길흘 몃 할을 버려 두고
어듸 가 다니다가 이제아 도라온고?
이제야 도라오나니 년듸 마음 마르리.
 
제10수는 결국 퇴계 자신의 이야기이다. 처음 한눈 팔지 않고 끝까지 성현의 가르침을 좇으리라는 생각을 접어두고 수십년 동안 벼슬길에 올라 떠돌던 자신의 지난날을 되돌아보며
회한에 젖는 심경이 초중장에서 토로된다. 그러나 이 노래의 초점은 자신의 지난날을 후회하는 초장과 중장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시는 딴마음을 갖지 않고 성현의 가르침을 따라 배움의 길을 계속하겠다는 종장에 놓여 있다.

其五
청산(靑山)은 엇데하야 만고(萬古)애 프르르며,
유수(流水)는 엇데하야 주야(晝夜)에 긋디 아니하는고.
우리도 그치디 마라 만고상청(萬古常靑)호리라.
 
제11수에 등장하는 ‘청산’과 ‘유수’ 역시 자연 자체로서의 독자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시어가
참고문헌
*참고문헌

금장태,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김상진, 『16ㆍ17세기 시조의 동향과 경향』, 국학자료원, 2006.
김승찬 외, 『한국문학 사상론』, 세종출판사, 1996.
김혜숙, 「와 정신의 높이」,『한국고전시가작품론2』, 집문당, 1992.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1996.
정재호, 『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78.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996.
조두현, 『고시조 감상과 해설』, 대일출판사, 1984.
황준연,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 199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