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
 2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
 3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3
 4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4
 5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5
 6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6
 7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7
 8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8
 9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9
 10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0
 11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1
 12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2
 13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3
 14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4
 15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5
 16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6
 17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7
 18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8
 19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19
 20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현지이탈형 군무이탈죄

.
Ⅲ. 미귀이탈형 군무이탈죄


Ⅳ. 군무이탈죄와 타죄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문제의 제기

군형법(2009. 11. 2. 제14차 개정; 법률 제9820호) 이하에서 법률의 명칭이 없이 단순히 조문만 표기한 것은 군형법을 의미한다.
제30조는 군무이탈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군무를 기피할 목적으로 부대 또는 직무를 이탈한 사람을 처벌하는 ‘현지이탈형(제30조 제1항)’과 다른 하나는 부대 또는 직무에서 이탈된 사람으로서 정당한 사유 없이 상당한 기간 내에 부대 또는 직무에 복귀하지 아니한 사람을 처벌하는 ‘미귀이탈형(제30조 제2항)’이 그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상황에 따라 그 형벌이 달라지는데, 적전인 경우에는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 전시․사변시․계엄지역인 경우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 그 밖의 경우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고 있다. 또한 동 범죄의 미수범도 처벌하고 있다(제34조).
군무이탈죄는 군내에서 발생 2007년도 국방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5년간 5,919명의 군인이 군무이탈(탈영)을 하였다. 2010년 9월 16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육ㆍ해ㆍ공군 및 군 검찰단 등에 군무이탈 발생건수와 처리현황에 대해 정보공개를 요청한 결과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0년 6월 말까지 군무이탈자는 5017명에 달했다. 다만 군무이탈 자 수가 2006년 총 1699명이었는데 비해 2007년 1278명, 2008년 1010명, 2009년에는 704건 등으로 현저하게 줄어드는 추세다. 군무이탈 자는 육군이 4759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해군 151명, 공군 92명이었다. 육군 근무이탈자는 2006년 1634명에서 2009년 637명으로 급감한 반면, 해군은 29명에서 44명으로 크게 늘어나 대조를 이뤘다. 군무이탈의 이유를 보면 복무염증이 35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성문제 193명, 가정문제 188명, 신병비관 98명 등의 순이다. 기타 금전적 문제 등이 1007명이었다. 복무염증으로 인해 군무이탈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것은 군복무 중 받는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불안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말해준다. 처리결과를 보면 집행유예가 693명으로 가장 많았고 실형선고 488명, 선고유예 118명, 기소유예 9명 등이었다. 군무이탈 발생건수와 처리 건 수가 맞지 않는 것은 불기소처분의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고 있는 범죄 유형 중에서 중대한 범죄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해석론이나 판례의 태도에는 미비한 점이 산적해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군형법이라는 특수한 분야 자체가 형법학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판단될 만큼 관련 논문의 양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군형사법에 관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고무적이라 할 것이다. 주요 학위논문으로는 최병호, “군형사법상 비범죄화방안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00; 정재권, “군형법 및 군사법원법의 개선방향”, 충북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03; 유영무, “명령에 의한 행위의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군형법상 명령관련 범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04; 고 석, “한국 군사재판 제도의 성립과 개편 과정에 관한 연구: 국방경비법에서 군법회의법 제정시까지”, 서울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6; 김정진, “우리나라 군형사사법제도 연구: 회복적 군사법제도의 도입 시론”, 상지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8; 이승호, “군형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8; 최관호, “명령과 복종의무의 형법규범적 내용과 한계: 군형법 제44조 항명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8 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현역장교들이 육군본부 내지 공군본부 등 군 내부 기관의 학술지를 통해 군형법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것도 관심의 영역 밖에 있었던 원인이라 할 것이다. 특히 군무이탈죄와 관련한 대법원의 판결은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강영훈/이기찬, 군사법개설(수정판), 연경문화사, 2006.
고 석, “한국 군사재판 제도의 성립과 개편 과정에 관한 연구: 국방경비법에서 군법회의법 제정시까지”, 서울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6.
권기훈, "명령위반죄 적용상의 문제점에 관한 소고 -특히 군무이탈자 복귀명령과 관련하여 -“, 군사법논문집 제9권, 공군본부, 1990. 1.
권오탁, “군무이탈의 죄”, 해군 제253호, 해군본부 정훈감실, 1975. 8.
권종필, “수사절차상 인권보장방안에 관한 연구: 군사법원법상의 제도를 중심으로”, 경희대 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김석영, “군형법 제47조(명령위반죄)는 위헌인가”, 군사법논문집 제13권, 공군본부, 1994. 4.
김은효, “군사법원의 설치현황 및 운영실태”, 법률신문 제2509호, 법률신문사, 1996. 6. 10.
김정진, “우리나라 군형사사법제도 연구: 회복적 군사법제도의 도입 시론”, 상지대학교 법학 박사학위논문, 2008.
김홍종, “군용물의 개념 및 군용물 분실죄에 관하여”, 공군법률논집 제8집 제1권(통권 제22 호), 공군본부 공군법무감실, 2004. 1.
김현주, “군 사법제도 개선의 핵심 쟁점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 제20권 제1호, 한국형사정 책학회, 2008.
노기호, “군형법 제92조 ‘추행죄’의 위헌성 고찰: 육군 제22사단 보통군사법원 2008. 8. 6. 위헌제청결정사건(2008고10)을 중심으로”, 헌법학연구 제15권 제2호, 한국헌법학 회, 2009. 6.
문준영, “미군정 법령체제와 국방경비법”, 민주법학 제34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7.
박상열, “항명죄와 명령위반죄의 구별”, 군사법연구 제1권, 육군본부, 1982. 11.
서정만, “현행 군사법원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군사법연구 제14집, 육군본부, 1998.
송광섭, “군사법제도의 개선방안”, 형사법연구 제24호, 한국형사법학회, 2005.
송기춘, “평택미군기지 이전과 관련한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의 위법성과 일반국민에 대한 군형법 적용의 문제”, 민주법학 제31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6.
송기춘, “군사재판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군사법원의 구성과 운영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공법연구 제33집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05.
송문호, “군형법과 ‘제복을 입은 시민’”, 형사법연구 제21권 제4호, 한국형사법학회, 2009. 겨울.
송성룡, “군형법상의 군용물 관련 과실범에 관하여”, 공사논문집 제57집 제3권, 공군사관학 교, 2006. 10.
송철훈, “지휘권에 관한 법률적 문제”, 군사법연구 제12집, 육군본부, 1994.
오병두, “군형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형사정책 제20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08.
오준수, “개정된 군사법원법 및 군형법의 문제점 소고”, 군사법논문집 제14권, 공군본부, 1995. 4.
유영무, “명령에 의한 행위의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군형법상 명령관련 범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04.
육군사관학교, 군사법원론(제2개정판), 일신사, 2004.
육군사관학교, 군형법 판례 보충교재, 2006.
육군종합행정학교, 군형법 보충교재, 2006.
윤상민, “군 수사절차상 인신구속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 제14권 제4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겨울.
이경환, “군대 내 동성애 행위 처벌에 대하여”, 공익과 인권 제5권 제1호,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08. 2.
이경훈, “군무이탈의 죄”, 군사법논문집 제5권, 공군본부 법무감실, 1986. 1.
이계수/이재승/오병두, 외국 군 인사․복무 관련 법령 및 제도 등 실태조사- 독일의 법령과 제도를 중심으로-, 국가인권위원회, 2006. 12.
이만종, “군형사법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개정 군형법 및 군사법원법을 중심으로”, 법학 논집 제2권,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소, 1996. 6.
이만종, “위법한 명령에 의한 행위의 형사책임: 군형법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1998.
이만종, “군사법제도 개혁방안에 관한 고찰”, 법과 정책연구 제6집 제1호, 동광문화사, 2006. 6.
이만종, “군 형법상 명령의 정당성에 관한 고찰: 위법 명령 수행에 의한 부조리예방중심”, 한국부패학회보 제12권 제2호, 한국부패학회, 2007. 6.
이상석, “군형법상 명령죄에 있어서 명령의 의미”, 군사법연구 제10권, 육군본부, 1992. 11.
이승호, “군형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8.
이진우, “입법론적 견지에서 본 군형법상의 문제점”, 검찰 제52호, 대검찰청, 1973. 12.
이충선, “군형법 개정에 관한 소고”, 군사법논집 제10집, 국방부, 2005.
정우근/이창무, “군무이탈 예측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7집,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정재권, “군형법 및 군사법원법의 개선방향”, 충북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03.
정진연/김정진, “군형사사법제도의 발전방안 고찰”, 법학논집 제20집, 숭실대학교 법학연구 소, 2008.
정학진, “군무이탈죄의 양형분석 연구”, 군사법논집 제12권, 공군본부 1993. 4.
조두현/김성훈, 군법개설, 일신사.
지대남/박경환, 「군사법원론」, 대명사, 2009.
최경옥, “미군정하의 국방경비법의 유래와 변천”, 공법연구 제35집 제2호, 한국공법학회, 2006. 12.
최관호, “명령과 복종의무의 형법규범적 내용과 한계: 군형법 제44조 항명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법학박사학위논문, 2008.
최민영, “군무이탈의 원인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현역과 상근예비역간 비교분석을 중심 으로-”,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정책학석사학위논문, 2000. 6.
최병호, “군형사법상 비범죄화방안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00.
최성 , “군형법상 명령위반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최중현, “군무이탈의 원인과 그 예방대책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한위수, “군형법 제47조(명령위반)의 문제점과 판례동향에 대한 소고”, 군사법연구 제2권, 육군본부, 1984. 4.

고등군사법원, 「군형법해설서」, 고등군사법원, 2005.
대한민국부사관총연맹편찬, 「군법개론」, 도서출판 글로벌, 2007.
하고 싶은 말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좋은 성적 받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