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

 1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
 2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2
 3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3
 4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4
 5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5
 6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6
 7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7
 8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8
 9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9
 10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0
 11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1
 12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2
 13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3
 14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4
 15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5
 16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6
 17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7
 18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8
 19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19
 20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계] 스마트폰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TAM의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폰에 관한 고찰
1)PDA의 정의
2)PDA의 특징
3)스마트폰의 정의
4)스마트폰의 특징
5)스마트폰 운영체제 특징 및 현황
6)스마트폰 시장 현황

2. 정보기술수용에 관한 배경이론
1)합리적 행동이론(TRA)
2)계획된 행동이론(TPB)
3)혁신확산이론(IDT)
4)분해된 계획행동이론(decomposed TPB)
5)기술수용모델(TAM)

Ⅲ. 연구모형 및 가설
1. 연구의 모형
2. 연구의 가설
1) 사회적 인식
2) 시스템 품질
3) 보안성
4) 개방성
5) 어플케이션
6) 차별화 콘텐츠
7) 스마트폰의 유용성과 용이성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자료의 설계 및 분석 방법
1) 설문지의 구성
2) 자료의 설계와 수집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측정항목의 평가
1) 요인분석
2) 신뢰성 분석
3. 연구가설의 검증
1) 상관관계 분석
2) 회귀분석
3) 검증결과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본문내용
5)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에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보급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애플의 iPhone의 등장은 App Store를 통해 새로운 수익경로를 확보하고 있다.
PDA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윤용근(1999)은 주소록, 일정관리, 알람, 메모, 금전관리 등을 포괄하는 개인정보관리 어플리케이션, 전자책 어플리케이션, 통신 어플맄이션, 사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였다.
윤용근(1999)과 이광철(2002)은 선행 연구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부재가 PDA시장의 확대의 저해 요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환경과 사용의도에 맞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용도의 확장에 응용하는 것은 스마트폰의 수용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컨버전스 개념에 부합되는 여러 가지 기능의 구현과 탑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용의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5.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6) 차별화 콘텐츠

콘텐츠란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의미한다. 모바일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무선인터넷이 가지는 이동성, 위치기반, 고객차별성, 개인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와는 다른 차이점을 보여준다.
모바일 콘텐츠는 휴대전화, PDA, 스마트폰, PMP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되어 서비스되는 콘텐츠를 의미하며, 모바일 인터넷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와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로 나눠볼 수 있다. 모바일 콘텐츠는 그 변화의 속도와 양상은 따라잡기 어려울 정도로 발달하고 있다.
콘텐츠의 특성을 Emma Place(19998)등은 콘텐츠의 기준을 타당성, 정확성, 전문성, 유일성, 완결성, 범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타당성은 “얼마나 믿을 수 있는 콘텐츠 인가”, “모든 정보가 얼마나 정확한가?”, 전문성은 “얼마나 전문적이고 인정받는 출처에서 나온 정보인가?”, 유일성은 “다른 곳에서는 얻을 수 없는 유일한 정보인가?”, 완결성은 “온라인상에서 전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콘텐츠인가?”, 범위는 “정보의 폭과 깊이는 어느 정도인가”로 제시하였다.(박인규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에 차별화된 콘텐츠는 스마트폰의 수용과 보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6. 차별화 콘텐츠는 스마트폰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