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

 1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
 2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2
 3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3
 4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4
 5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5
 6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6
 7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7
 8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8
 9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9
 10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0
 11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1
 12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2
 13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3
 14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4
 15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5
 16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6
 17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7
 18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8
 19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19
 20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경제분석] 인도의 산업지역 형성과 그 변화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인도 개관
2. 인도 경제현황
3. 우리나라의 인도진출 현황
4. 인도의 산업 지역과 정부의 정책
5. 분석의 방향


본론

1. 주 특징 및 경제비중
2. 산업정책 및 투자환경
3. 인프라 시설
4. 산업지역 육성



(1) 구자라트(Gujarat)
(2) 서벵골(West Bengal)
(3) 마하라쉬트라(Maharashra)
(4) 타밀나두(Tamil Nadu)
(5) 안드라프라데쉬(Andhra Pradesh)
(6) 카르나타카(Karnataka)
(7) 우타르프라데쉬(Utar Pradesh)

결론

1. 인도시장
2. 수출여건
3. 수출전망
4. 종합의견
5. 최근의 산업별 동향 요약
6. 주요 산업 정책 및 동향
7. 對 인도 투자 진출 개요
8. 업종별 對인도 투자 현황
9. 기업규모별 對인도 투자 현황
10. 향후전망

본문내용
- 인도는 앞으로도 경제성장률 7.3%를 유지할 것으로 관망
(2006년 7월 GDP 규모 대비)

- 재정적자는 2005/2006년도 GDP의 4.3%에서,
2006/2007년 회계연도에는 3.8% 수준으로 줄 것으로 기대,

그러나 이에 따라 불량 인프라 개선 및 확장은 재정적자폭 유지 및 정부의 정치적 지지도와 맞물려 크게 적어질 것으로 분석되며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 석탄, 철광, 시멘트, 원유, 석유화학제품 등
(주요 6개 인프라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

- 해외투자도 정부의 외국인 투자제도 개선 등으로 인해 증가 예상

- 인도의 차세대 주력산업은 IT 산업이다.


- 지역적으로는 방갈로, 뭄바이, 굴가온, 첸나이, 하이드라바드 등에
IT 소프트웨어 산업이 밀집

- 인도의 열악한 인프라시설은 실질적인 장애요인으로 작용
: IT 산업의 핵심도시인 방갈로는 더 이상의 신규기업의 진출을
수용할 만한 여력이 없는 실정이며 많은 기업들이 사무실 신축을
위한 새로운 부지확보 불가, 부동산가격 급등, 교통체증 심화 및
도로상의 낭비시간 증가, 신규허가 지연 등으로 사업 확대 어려움

- 인도 섬유산업은 3,500만 명 고용, 인도 산업생산량의 14%,
GDP의 4%, 총수출의 25%, 외화 수취액의 35%를 기록하는 등
농업 다음으로 산업생산 및 고용창출 효과를 지닌 최대 전략산업

→ 대부분의 섬유 원자재를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다는 용이성, 풍부한 저임 숙련 노동력, 현지 대기업들이 보여주는 발 빠른 행보는 영세업체 위주의 구조, 원가경쟁력 열위, 생산설비의 영세성 및 낮은 노동 생산성과 인프라 수준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섬유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밝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주 정부의 기능과 역할

o 인도는 과거 중앙정부의 통제와 계획된 경제체제 하에서 각 주에 대한 경제개발정책을 취하였으나, 1991년 시장개방정책으로 전환하고 각 주에 대해 폭넓은 경제권을 부여하면서 각 주가 독자적인 경제개발 및 산업화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o 따라서, 주정부들은 외국자본 및 민간자본의 투자유치를 위한 경제특구, 수출가공구역 등을 설치, 각종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 농산물 대외수출 및 농촌 소득향상을 위해 농산물 수출지역(Agricultural Export Zones)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현존 SEZs(경제특구) 육성 및 SEZs 추가 건설

산업 및 도시 인프라개선, 항만개발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개발
사업 추진

전력분야 개혁(5개 소형전력사업 민영화 추진, 24억불 규모)

노동법 개혁을 통한 산업투자 촉진

인프라개발청(GIDB) 설치를 통한 인프라사업 신속 처리

중소기업 분야 집중육성
(현재 90개 지역에 76개의 중소기업 산업단지 산재)

민간자본의 무역센타, 산업파크 등 설치

주정부는 Growth Centres, 수출가공구역 및 전자단지 개발과 후진분야 산업설치에 중점

중․대규모 산업 전자 및 소프트웨어 산업육성을 위한 성장센터(Growth Centres)로 Salt Lake에 전자산업 및 소프트웨어파크(미국의 IBM 등 BPO와 관련된 업체가 입주중), Durgapur에 수출가공산업파크, Salt Lake 지역에 Falta 및 Manikanchan에 수출가공지역(EPZ) 등 12개가 설치되어 있다.

Maikanchan 지역에 2003.11월 보석류 가공산업을 위한 경제특구(SEZ)가 새로이 설치.

주정부는 산업분야 투자증대, 프로젝트의 신속 이행, 주민의 질적 생활 개선 등을 산업정책의 목표로 정하고, 투자정책은 도로, 전력, 상․하수도 등 산업기반을 위한 인프라시설 확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10억루피 규모의 산업인프라 개발기금이 조성되고 있음.

또한, 신규 투자자들에게 대한 효과적인 사업지원을 위해 단일창구처리기관으로 주투자촉진위원회(SIPB) 및 산업투자공사를 설립.

주정부가 IT 및 IT 서비스산업에 대해 부여하고 있는 인센티브는
다음과 같다.

- 소프트웨어산업에 대한 환경오염규제법 적용 배제(발전분야는 제외)
- IT산업에 산업용 전력관세 등 인센티브 제공
- 소프트웨어산업에 대한 판매세 면제 및 사업장소에 관한 규제 적용 배제
- 토지 등록 및 양도 수수료 관련 리베이트, 인지세 면제
- 새로운 IT(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에 고정자본 투자시 20%의 투자
보조금 지원
- 10억루피 이상의 대규모 신 프로젝트 투자자에 대해 특별 인센티브 제공
인도 경제의 높은 성장세 지속 전망, 수출여건 매우 양호

인도의 실질 G에 성장률은 ‘03-04 년도 8.5% → ’04-05 년도 7.5% → 05-06 년도 8.4% (인도 재무부 5월말 전망)의 높은 성장세 지속 전망

제조업 증가율이 10% 전후까지 상승하여 경기 활황세 지속, 기계류 등을 중심으로 민간의 설비투자 지속 확대

2006 년 1월 ~ 7월까지의 對인도 수출은 전년 동기간보다 28.5% 증가한 32억 3497만 불로서 인도는 우리의 제 9대 수출국으로 부상함

우리 투자기업의 현지 매출 지속 증가, 우리의 부품수출 증가세 지속

현대자동차, LG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 대기업의 현지 매출이 매년 20-30% 이상 성장, 자동차부품, 가전부품 등 우리의 부품 수출을 견인
참고문헌
KOTRA: http://www.kotra.or.kr/, “국가 정보(인도)”

KOTRA: http://www.kotra.or.kr/, 도승환, “경제전망: 인도경제 성장률 건실한 성장세 유지”

KOTRA: http://www.kotra.or.kr/, 윤효춘, “경제전망: 인도 섬유산업 경쟁력 분석”

KOTRA: http://www.kotra.or.kr/, 윤효춘, “경제전망: 인도 승용차시장, 5년 내 두 배된다”

이순철, “세계경제초점: 고성장에도 불구, 열악한 인프라가 발목 잡는 인도 IT산업”, KIEP(세계지역연구센터), 2006. 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도의 대외경제정책과 한․인도 경제협력 강화 방안”, 2005

주인도한국대사관, “인도 통상․투자 진출 안내서”, 200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