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1
 2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2
 3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3
 4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4
 5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5
 6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6
 7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7
 8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8
 9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9
 10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10
 11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정책 연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1) 주제선정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정책형성배경
1) 사회 · 문화 · 경제적 배경
2) 이념적배경
3) 법적 · 정책적 배경

3. 정책형성과정
1) 사회이슈화
2) 공중의제화
3) 공식의제화

4. 정책형성참여자와 역할
1) 공식적 참여자
① 행정부
② 의회
2) 비공식적 참여자
① 장애인단체
② 이익단체

5. 결론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발적 활동의 한계를 느낀 장애인단체는 장애인단체를 대표하여 조직을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조직구성에 눈을 뜨게 되며 마침내 1988년 8월 11일 ‘한국장애인총연맹’이라는 조직을 결성하게 된다. 이러한 장애인단체들의 움직임을 의식한 정부는 1988년 9월 15일 대통령직속 자문기관으로 ‘장애인복지대책위원회’ 발족하여 장애인들을 회유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한국장애인총연맹’은 정부의 회유에도 불구하고 ‘고용촉진법’ 제정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더욱이 10월 장애자올림픽을 앞두고 사회분위기가 장애인에 초점이 맞춰지자 개운사 집회 등의 물리적 집회와 기자회견을 통해 장애인단체의 요구사항을 사회에 알리게 된다(1988.10.9). 또한 단순히 요구하는 차원이 아닌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법률안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이 법안 작성은 1987년 장애계의 청년운동조직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주축이 되었으며 1989년 3월부터는 사법연수원에 연수중인 전문 인력의 참여로 기존 법안초안을 여러 차례 수정작업을 벌여 법률안의 구체성을 높여나가게 되어 결국 각 정당에서도 1988년 6월부터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법률안을 마련하여 1988년 12월에는 각 4당안이 국회에 발의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법안 상정이후 장기간 정책결정이 지연되자 1989년 10월 공대위는 법안 마련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치적인 역량이 필요하다고 결의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야3당 점거농성에 돌입, 법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고조시켜 정치권의 관심을 집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거농성을 통해 장애계는 3당 총재는 물론 관계자들로부터 양대법안 마련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듣게 된다. 이인영, 앞의 논문, pp. 40~45 참조.


3)공식의제화
공식의제화란 공식적 정책결정의 대상이 되는 결정의제화단계를 말한다. 공동대책위원회측은 곧바로 기자회견 등을 통해 법제정시 장애계의 13개 요구사항 등을 발표하게 되고 , 장애계의 요구를 노동소위 위원장 면담을 통해 공식적으로 요구하게 된다. 국회 노동위 법안소위 이상수 위원장은 장애계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할 것을 약속하였으며 이러한 약속으로 공대위는 직접 법안소위심의과정에 참여하여 공대위측 법안을 설명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7개의 법안이 상정된 가운데 정부안과 공대위법안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각 정당 및 장애인 단체의 장애인 고용 촉진법에 관한 의안은 과 같다. 이렇게 각 정당별로 차이가 있어 하나의 통일된 정책에 대한 필요를 느낀 노동부 소위는 법안단일화 작업에 착수하게 되고 크게 쟁점화 되었던 ‘장애인의 의무고용율’, ‘공단구조’, ‘공단기금관리’, ‘고용촉진금’ 등 4개 항목에 대한 합의를 통해 단일안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합의안 도출을 통해 12월 1일 장애인복지법이 국회상임위를 통과함과 동시에 12월 16일 고용촉진법도 발의 1년 만에 국회본회의를 통과하여 ‘장애인고용촉진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기에
참고문헌
참고문헌

단행본

이성규, 사회통함과 장애인 복지정책, 서울: 나남출판. 2000.

논문

이곤수, 「장애인고용정책의 집행과정 분석」, 대구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이미희, 「한국 장애인고용정책의 전개과정과 장애인고용활성화 과제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논문, 2000.
이성규,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정책의 평가와 전망」, 한국 사회복지학회, 2002.
이인영, 「신사회운동으로서의 장애인운동에 관한 고찰 : 장애인고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정책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최무현,「한국의적극평등인사정책에 관한 연구: 장애인 고용정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장애인의무고용 시행불투명, , 1990년 12월 12일, 제 15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