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

 1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
 2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2
 3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3
 4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4
 5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5
 6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6
 7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7
 8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8
 9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9
 10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0
 11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1
 12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2
 13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3
 14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4
 15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5
 16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6
 17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7
 18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8
 19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19
 20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동외교사] 소련의 대외정책과 중동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소련의 대중동정책과 그 배경
(1) 중동정책 배경
(2) 신생 볼셰비키 정권의 외교

Ⅲ. 냉전체제의 중동지역 정세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스탈린의 외교정책
(2) 중동에서의 전진 정책 전개
(3) 이집트와 소련의 관계

Ⅳ. 데탕트 시대
(1) 소련의 대내외 정세
(2) 브레즈네프 시기의 중동 정책
(3)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4) 고르바쵸프의 집권과 새로운 변화

Ⅴ.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
(1) 걸프전과 소련
(2) 이라크 전과 소련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중동의 역사를 볼 때 근대사의 시작을 서구의 영향과 함께 규정하는 것이 일반화된 견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럽 제국주의의 첫 도입과 전파 그리고 그것이 가져다 준 변화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본다. 이 영향의 다양한 시점중 하나로 패배한 터키에게 승리한 러시아가 부과한 큐축카이나르자 조약을 그 시작으로 본다. 오스만의 철저한 굴욕을 기록한 큐축카이나르자 조약(1744)은 넓은 의미에서 중동과 유럽 관계의 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조약에서 러시아가 획득한 이점은 영토와 교역, 그리고 영향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제정 러시아 시대의 남진 정책에서 중동은 팽창 정책의 대상이었고 지정학적, 경제적으로 러시아가 반드시 세력권 아래 두어야 할 지역이었다.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에는 차르 체제 대신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 정권이 들어섰다. 이 시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체제는 많은 변화를 겪었고 또 지도 집단의 성향과 노선, 대내외 상황에 따라 중동에 대한 정책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소련을 전 세계 공산화의 전초기지로 파악한 레닌의 집권기에 중동은 공산주의 혁명을 전파할 대상이었고, 레닌 사후 스탈린이 권력을 승계했을 때는 스탈린이즘에 따라 일국 사회주의론에 입각한 외교 정책이 펼쳐졌다. 중동에 대한 소련의 정책은 자연 소극적으로 변했고 제 2차 대전 이후,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 왔던 영국, 프랑스 세력의 퇴조와 함께 중동에 점차로 미국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제정 러시아 시대 이래로 중동으로의 팽창을 시도해 왔던 소련 세력이 재등장했다. 소련은 1955년 이집트와의 무기거래를 계기로 대 아랍 관계를 개선하였다. 또한 1956년 수에즈 위기가 발생했을 때, 소련은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 배치를 적극 기대함으로써 아랍세계에 진출하는 발판을 구축하였다. 이후 중동지역에서 미,소 양대국의 이해관계가 크게 대립되어 왔고, 그러한 상황적 배경으로 인해 중동은 전후 국제정책의 양극화 대립 과정에서 치열한 대결장으로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1979년 12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사태는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각국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고, 소련의 남하 팽창정책에 대한 재고를 불러 일으켰다. 1980년대 새로운 세대의 지도자 고르바쵸프의 노선,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는 소련에 새바람을 불어넣었고 대외적으로는 긴장 완화와 평화 공존의 시대가 도래한다. 거대한 소련 제국은 점점 붕괴되어 1991년 독립국가연합(CIS)이 역사에 등장한다. 냉전이 끝난 후 소련의 중동에 대한 정책은 실리를 추구하는 실용주의 노선으로 전향되어 국제 사회에서 냉전기와는 사뭇 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1991년의 걸프전에서 소련은 이라크의 반대편, 연합군 측에서 미국의 이라크 공격에 호의적인 입장이었지만 그 이면에서는 이라크에 무기를 판매했다. 또 최근의 이라크 전에서의 러시아의 입장을 살펴보면, 걸프전 때의 그것과는 다소 다른 양상이었다. 본 발표에서는 먼저 소련의 대외 정책의 이론적 배경에 알아본 후, 냉전기부터 현대까지 시대별로 변화한 소련의 대 중동 정책과 소련의 입장 변화를 보여주는 주요 사건들을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