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1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
 2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2
 3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3
 4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4
 5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5
 6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6
 7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7
 8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8
 9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9
 10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0
 11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1
 12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2
 13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3
 14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4
 15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5
 16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6
 17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7
 18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8
 19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학] 요리 연기와 폐암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1.서론
2.대상 및 방법
3.결론
4.토의
5.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 및 방법























Figure 1. Selection process of studies for meta analysis.


메타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PubMed를 이용하여 요리와 폐암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로는 (1)Cooking and Lung neoplasm, (2)Indoor air pollution and lung neoplasm 을 이용하였다. 논문 출판 년도는 2010년 12월 31까지 각종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으로 하였으며 출판 언어는 영어로 제한 시켰다. 또한 검색 논문의 참고문헌을 토대로 찾은 논문(hand search)도 추가 시켰다. Indoor air pollution의 data 수치가 나와있는 논문이어도 cooking에 관련된 내용이 있는 논문은 포함시켰으며 요리와 폐암의 상관관계가 음(negative)인 관계인 결과를 도출한 논문도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포함시켰다. Multiple publication의 경우 최신판을 선택하였다. 키워드 검색을 통해 총 132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이 들 중 논문 제목이 이 연구와 관련성이 없거나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고 메타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Odd ratio를 제시 하지 않는 논문은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34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논문의 전 본을 모두 입수하여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최종 고찰의 과정을 통해 34개의 논문 중 다음과 같은 논문은 18편은 제외하였다. (1)연구에 적합하지 않는 논문: cooking과 관계 있는 논문의 내용이지만 폐암과의 상관성이 아닌 사망률을 고찰한 논문, 흡연과 폐암의 상관성에 중점을 둔 연구 (2)중복된 논문은 제외되었다. 따라서 논문 16편을 메타분석의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Figure 1).
메타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각 논문으로부터 Odd ratio(이하 OR) 및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조사하였다. 각 논문에서 남자, 여자 각각의 결과를 제시하는 경우 모두 결과분석에 포함하였으며 우리 연구의 가장 중요한 변수인 cooking exposure 를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Cooking oil fume과 fuel fume처럼 음식 혹은 연료로부터 가스를 구별하였다. 노출기간은 low, intermediate, high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Low는 보통 20년 이하, intermediate는 20~40년 사이, high는 40년 이상으로 분류하였고, 일부 논문에서는 기간 설정이 30년 이하부터 되어있어 Low를 30년 이하로
참고문헌
참고문헌

Beckett W S. Epidemiology and etiology of lng cancer. Clinics chest Med 1993; 14: 1-15
Behera D, Balamugesh T. Indoor air pollution as a risk factor for lung cancer in women. J Assoc Physicians India. 2005 Mar;53:190-2.
Chiu YL, Wang XR, Qiu H, Yu IT. Risk factors for lung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Hong Kong women. Cancer Causes Control. 2010 May;21(5):777-85. Epub 2010 Jan 19.
Chiu YL, Wang XR, Qiu H, Yu TS. Risk factors for lung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Hong Kong women. Cancer Causes Control 2010;21:777-785
Department of Health, Executive Yuan. Republic of China: Health statistics. Vol. II Vial statistics, 1981-1992. Taipei, Department of Health, 1982-1993.
Fonthan E T H. Protective dietary factors and lung cancer. Int J Epidemiol 1990; 19 (suppl. 1): S32-42.
Ger LP, Hsu WL, Chen KT, Chen CJ. Risk factors of lung cancer by histological category in Taiwan. Anticancer research. 1993;13:1491-1500
Hatch PT, Felton JS, Stuermer DH, Bjeldanes LF. Identification of mutagens from the cooking of food. In: de Serres FJ, ed. Chemical mutgens Vol 9. New York: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1984.
Hernández-Garduño E, Brauer M, Pérez-Neria J, Vedal S. Wood smoke exposure and lung adenocarcinoma in non-smoking Mexican women. Int J Tuberc Lung Dis. 2004 Mar;8(3):377-83.
Hosgood HD Ⅲ, Chapman R, Shen M et al. Portable stove use is associated with lower lung cancer mortality risk in lifetime smoky coal users. Br J Cancer 2008;99:1934-39
Hosgood HD Ⅲ, Wei H, Sapkota A, Choudhury I, Bruce N, Smith KR, Rothman N, Lan Q. Household coal use and lung canc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with an emphasis on geographic variation. Int J Epidemiol 2011; 1-10
Hung HS, Wu WJ, Chen YW, Wu MF, Chang KL, Lee H. Association of cooking oil fumes exposure with lung cancer: involvement of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n cell survival and proliferation in vitro. Mutat Res 2007;628:107-116.
Hung HS, Wu WJ, Chen YW, Wu MF, Chang KL, Lee H. Cooking oil fumes improve lung adenocarcinoma cell survival through c-IAP2 induction. J Toxicol Environ Health 2005 A 68:1525-1535.
Jedrychowski W, Becher H, Wahrendorf J et al. A case-control study of lung cancer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 of air pollution in Poland. J Epideiol Community Health 1990; 44: 114-20.
Jöckel K H, Ahrens W, Wichmann H E et al. Occuaptional and environmental hazards associated with lung cancer. Int J Epidemiol 1992; 21: 202-13.
Ko YC, Cheng LS, Lee CH, Huang JJ, Huang MS, Kao EL, Wang HZ, Lin HJ. Chinese food cooking and lung cancer in women nonsmokers. Am J Epidemiol. 2000 Jan 15;151(2):140-7.
Ko YC, Lee CH, Chen MJ, Huang CC, Chang WY, Lin HJ, Wang HZ and Chang PY Risk factors for primary lung cancer among non-smoking women in Taiwan. Int J Epidemiol 1997;26( 1)
Koo LC, Ho JHC. Worldwide epidemiological patterns of lung cancer in nonsmokers. Int J Epidemiol 1990; 19 (Suppl. 1): S14-S23.
Lam WK. Lung cancer in Asian women-the environment and genes. Respirology 2005;10:408-417
Lan Q, Chapman RS, Schreinemachers DM, Tian L, He X. Household stove improvement and risk of lung cancer in Xuanwei, China. J Natl Cancer Inst. 2002 Jun 5;94(11):826-35.
Lei YX, Cai WC, Chen YZ, Du YX. Some lifestyle factors in human lung cancer: a case-control study of 792 lung cancer cases. Lung Cancer. 1996 Mar;14 Suppl 1:S121-36.
Li M, Yin Z, Guan P, Li X, Cui Z, Zhang J, Bai W, He Q, Zhou B. XRCC1 polymorphisms, cooking oil fume and lung cancer in Chinese women nonsmokers. Lung Cancer. 2008 Nov;62(2):145-51.
Lissowska J, Bardin-Mikolajczak A, Fletcher T, Zaridze D, Szeszenia-Dabrowska N, Rudnai P, Fabianova E, Cassidy A, Mates D, Holcatova I, Vitova V, Janout V, Mannetje A, Brennan P, Boffetta P. Lung cancer and indoor pollution from heating and cooking with solid fuels: the IARC international multicentre case-control study in Eastern/Central Europe and the United Kingdom. Am J Epidemiol. 2005 Aug 15;162(4):326-33.
Liu Q, Sasco AJ, Riboli E, Hu MX. Indoor air pollution and lung cancer in Guangzhou, People's Republic of China. Am J Epidemiol. 1993 Jan 15;137(2):145-54.
Liu ZY, He XZ, Chapman RS. Smoking and other risk factors for lung cancer in Xuanwei, China. Int J Epidemiol. 1991 Mar;20(1):26-31.
Lofroth G, Stensman C and Brandhorst-Satzkorn M. Indoor sources of mutagenic acrosol particulate matter: smoking, cooking and incense burning. Mutation Res 261: 21-8, 1991
Metayer C, Wang Z, Kleinerman RA, Wang L, Brenner AV, Cui H, Cao J, Lubin JH. Cooking oil fumes and risk of lung cancer in women in rural Gansu, China. Lung Cancer. 2002 Feb;35(2):111-7.
Parkin DM, Bray F, Ferlay J, Pisani P. Global cancer statistics, 2002. CA Cancer J Clin 55:74-108.
Qu YH, Xu Gx, Huang F, Fang JC and Gao YT. An Ames test on the by-products of the heating of cooking oils. Tumor. 1986;6:58-60
Ramanakumar AV, Parent ME, Siemiatychi J. Risk of lung cancer from residential heating and cooking fu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