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

 1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
 2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2
 3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3
 4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4
 5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5
 6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6
 7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7
 8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8
 9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9
 10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0
 11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1
 12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2
 13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3
 14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4
 15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5
 16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6
 17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7
 18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8
 19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19
 20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03.11.18
  • 21페이지 / hwp
  • 3,400원
  • 10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대중문화]대중문화와 하위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서론 - 문제제기

II. 본론
1. 이론적 논의
2. 거시적 접근: 대중문화와 하위문화
3. 미시적 접근 : 한국 영화 속의 하위문화 현상
1) 1990년대 한국영화의 지형도
2) 조폭영화의 사회학
3) 조폭영화에 대한 사회적 담론
4. 주제관련 이론적 논의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문화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문화인, 문화생활, 문화시설, 문화주택 등의 표현들이 그 예이다. 이때 문화라는 말은 좋은, 편리한, 세련된, 예술적인, 도덕적인 어떤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회학의 전문적인 용어로서 사용될 때 문화라는 용어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갖는다. 즉 식생활과 관련된 여러 가지 관습, 인사하는 법, 어떤 행동이 적절한가를 판단케 해주는 기준, 사람들의 기호 등 모든 것이 문화의 내용이다. 문화에 대해 인용되고 있는 가장 고전적인 개념규정은 영국의 인류학자 Tyler(1871)가 그의 저서 「원시문화(primitive culture)」에서 "문화란 지식, 신앙, 예술, 도덕, 관습 그리고 사회의 한 성원으로서의 인간에 의해 얻어진 제반 능력이나 관습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총체" 라고 정의했으며, 아직 적절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내희 외(1992). 문화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현실문화연구.
강준만(1999). 대중문화의 겉과 속. 서울: 인물과 사상사.
권태환, 김채윤, 홍두승, 사회학개론(1984).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김기태(1997). 영화흥행을 위한 마케팅. 서울: 삶과 꿈
김영진(2001). 영화가 욕망하는 것들. 서울: 책세상
김창남(1995). 대중문화와 실천문화.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8). 대중문화와 스포츠.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8). 팬과 매니아.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김현섭(1999). 서태지 담론. 서울: 세훈 문화사
김형곤(1992). 뮤직비디오 수용자들의 포스트모던 청소년문화에 대한 현장기술지. 서울대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양재영(1994). 청소년집단의 대중문화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연예인 팬클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이동연(1997). 문화연구의 새로운 토픽들. 서울: 문화과학사.
이연 등저(1998). 일본 대중문화 베끼기. 서울 : 나무와 숲
임수원(199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 9호 - 스포츠와 하위문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임현진 & 정홍익 & 박홍규(1991). 스포츠사회학을 향하여. 스포츠 사회학. 서울: 나남.
정민아(1999). 한국 축구 국가 대표팀 서포터 붉은악마에 대한 해석적 연구. 이화여대 신문방송학 대학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