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

 1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
 2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2
 3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3
 4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4
 5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5
 6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6
 7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7
 8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8
 9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9
 10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0
 11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1
 12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2
 13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3
 14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4
 15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5
 16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6
 17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7
 18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8
 19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19
 20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연암(燕巖)의 생애
(2)연암(燕巖)의 문학관
2.방경각외전
가. 방경각외전의 창작배경
나. 방경각외전에 미친 사기의 영향
다. 방경각외전의 주제별 줄거리 및 분석
(1)서민중심적 삶의 인식
(가)예덕선생전
(나)마장전
(다)광문자전
(2)지배계층에 대한 반감
(가)양반전
(3)중인층이 겪는 신분적 한계
(가)민옹전
(나)김신선전
(다)우상전
라. 방경각외전의 의의
3.『열하일기(熱河日記)』
1.열하일기 요약
2.열하일기(熱河日記)의 여정
(1)도강록(渡江錄)
1)서문(序文)-후삼경자(後三庚子)의 사용
2)뛰어난 문장력과 예술적 묘사성
3)이용후생(利用厚生)에 기반한 관찰
4)『장자』의 영향
(2)성경잡지(盛京雜識)
1)필담(筆談)의 등장
(3)일신수필(馹汛隨筆)
1)일신수필(馹汛隨筆) 서문(序文)
2)일신수필(馹汛隨筆) 속 연암의 의식
(4)관내정사(關內程史)
1)특이한 서술기법
2)「호질(虎叱)」의 창작
(5) 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1)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서(序)
2)연암(燕巖)의 뛰어난 문장력
●『장자』의 영향 : 제물론적 사유와 상대주의적 사물 인식의 태도
(6)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
1)불교와의 만남-연암의 개방적인 자세
2)연암(燕巖)의 과학적 호기심
(7)환연도중록(還燕道中錄)
1)「옥갑야화(玉匣夜話)」
2)『장자』의 영향
4.『열하일기(熱河日記)』의 특징을 통한 의의
(1)시대상(時代相)의 발로(發露)
(2)‘연암(燕巖) 의식’
(3)텍스트 가치
5. 허생전
(1)허생전 줄거리
(2) 창작의 시대적 배경
(3) 허생전의 구조
(4) 허생전에 나타난 작가의식
(5) 허생전에 나타난 풍자적 특성
1) 당대 선비의 위상에 대한 풍자
2) 집권층에 대한 풍자
6. 호질(虎叱)
(1) 호질의 줄거리
(2) 호질의 후지
(3) 호질의 풍자
1) 풍자의 대상과 내용
2) 풍자의 방법
가) 일상어·비속어 사용
나) 비유적 표현의 사용
다) 아이러니 기법의 사용
7.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의 시(詩)
(1) 총석정관일출(叢石亭觀日出) - 총석정에서 해돋이를 구경하다.
(2) 증좌소산인(贈左蘇山人) - 좌소산인에게 주다.
(3) 해인사(海印寺)
(4) 전가(田家) - 농삿집
(5) 일로(一鷺) - 해오라비 한 마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장자』의 영향

최근 연구로 미루어보아 연암의 열하일기(熱河日記)는 상당한 부분에서 『장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때문에 연암(燕巖)과 『장자』를 연관 지어 생각해볼 수 있는데 장자에 대한 연암의 관심을 도강록(渡江錄)에서 먼저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관심의 바탕에는 당시 시대상황이 결부되어 있다. 당시 성리학이 지배적인 이념으로 군림하던 조선사회에서 문장에 관심을 갖던 인사들이 이런 이념의 굴레를 벗어나 자유로운 문장을 짓기 위해 진한 시대의 고문(古文)에 관심을 갖고 배우는 일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김영, 「연암을 읽는 두 가지 코드,『사기』와『장자』」,민족문학사연구, 통합 30호 vol.30, 2006
따라서 연암 또한 장자에 대한 높은 관심을 통해 작품 속에 그것을 녹아내었다. 다음은 도강록(渡江錄)의 한 부분이다.

만사가 평등이면 질투도 없을 것이 아닌가?
나는 장복에게 물었다. “장복아, 너는 죽어서 중국에 한번 태어나면 어떨꼬?”
“천만에요, 소인은 싫습니다. 중국은 되땅이니까요.”
마침 한 장님이 어깨에 비단 주머니를 둘러메고 손으로 월금을 타면서 지나간다.
나는 깨달았다. “응! 이것이야말로 정말 평등한 눈이구나!” 리상호 역, 『열하일기』 상, 보리, 2004, 50면.


이를 통해 연암은 질투심을 억누르고 자기의 담박한 본성을 회복한 뒤에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평등(平等)안(眼)과 평등(平等)심(心)을 가지게 된 것을 술회(述懷)하고 있다. 특히 ‘장님의 등장’에서 우리는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이 불완전한 것이라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다. 장님이 오히려 세상을 고르게 보는 평등(平等)안(眼)을 가진 사람이며, 만사를 눈으로 보고 직접 체험하는 자기가 오히려 질투심에 잡혀있음을 말하기 위해 등장시킨 것이다. 김영, 「연암을 읽는 두 가지 코드,『사기』와『장자』」,민족문학사연구, 통합 30호 vol.30, 2006 참고.


(2)성경잡지(盛京雜識)

성경잡지(盛京雜識)는 열하일기 제2권으로 7월 10일부터 7월 14일까지 모두 닷새 동안의 기록이다. 십리하(十里河)에서 소흑산(小黑山)까지 5일간의 기록으로 3백 27리길의 여정을 다루었는데 성경(盛京)은 요양에서 십리하일(十里河日), 백탑포(白塔鋪)를 거치면 당도하는 지역으로 소흑산까지의 여정에서 중간 지점이다. 성경은 심양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당시 병자호란의 고통을 가지고 있던 조선인들에게는 가장 공포스러운 곳이었다.

1)필담(筆談)의 등장

성경잡지에는 특히 , 등 필담의 수록이 특징적인 부분이다. 연암은 여행 동안 많은 청(淸)나라 사람들과 사귀기를 즐겨하였는데 특히 성경에서 많은 친구를 만나 소통한 기록을 필담(筆談)으로 남기었다.
은 ‘예속재’ 라는 골동품 가게에서 수재 과거 시험을 볼 자격이 있는 사람
다섯 사람과 나눈 대화의 기록이고,
은 ‘가상루’ 라는 비단상점에서 주인 여섯 사람과 술을 마시며 밤새 나눈 대화의 기록이다.
열하일기에 기재된 필담은 민감한 화제에 대한 지식인들의 학문사상과 견해가 응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서양의 영향으로 변화를 겪는 조선과 청조 두 나라 지식인의 새로운 체험이 고스란히 깃들어 있다. 박향란, 투고논문 : 『열하일기(熱河日記)』필담(筆談)에 포착된 청조(淸朝) 지식인의 형상과 의미, 2009, 동방한문학회
박지원은 청의 문물을 받아들이는데 적극적이었고 잠도 자지 않고 청나라 사람들을 만나며 “더 좋은 것이라면 배우자”는 생각으로 사신 길을 견문
참고문헌
참고문헌

정재욱, 「연암소설에 나타난 문학 사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박기석,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 한국어교육학회, 1987
리상호 역, 『열하일기(熱河日記)』 하, 보리, 2004, 260면,
김정호,「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 나타난 정치의식」(대한 정치학회보, Vol.14 No.2, 2006)
김철, 「의 작품세계와 교육적 의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차충환, 「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의 표출방식」
김태원, 「과 의 풍자 구조 연구」, 교육대학원,2003.
김종순, 「'영원한 의문'마저 완벽한 구성요소-완고한 시대 현실을 초월한 고도의 풍자소설 󰡔호질󰡕」
정주희, 「연암소설의 풍자성 연구 - 양반전, 호질, 허생을 중심으로」, 교육대학원,석사학위
조혜란, 󰡔옛 소설에 빠지다󰡕, 마음산책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역락, 2004.
전영진, 󰡔금오신화·연암소설󰡕,홍신문화사,1995.
장효리, 「燕巖 朴趾源의 漢詩 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박지원지음, 김명호옮김, 『연암집-중』, 돌베개, 2007
김영, 「연암을 읽는 두 가지 코드, 『사기』와 『장자』」, 『민족문학사 연구』, 2006
김영, 「조선후기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새 민족문학사 강좌 01』, 2010
이종문,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한시(漢詩)에 관(關)한 한 고찰(考察)」, 2007
박향란, 투고논문 : 『열하일기(熱河日記)』필담(筆談)에 포착된 청조(淸朝) 지식인의 형상과 의미, 2009, 동방한문학회
박지원, 『세계 최고의 열하일기 상(上)』, 고미숙 외 3인 옮김, 그린비, 2008
왕정요, 박종혁(역), 18C 조선 "이용후생(利用厚生)" 학설과 청대 중국 -『열하일기(熱河日記)』 연구, 1999, 한국 실학 학회
kbs HD 역사스페셜, 박지원의 열하일기 2부작 中 2편 ‘열하에서 황제를 만나다’
김영, 「조선후기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 『새 민족문학사 강좌01』, 민족문학사연구소
한국 고전 종합 DB
김도련, 「 의 함축미와 의경」, (中國學 論叢, Vol.10 No.-, [1994])
박수밀, 「맥락으로 본 의 구성 전략」, (溫知論叢, Vol.23 No.-, [2009])
김명호, 연암 (燕巖) 박지원 (朴趾源) 선생 탄진 (誕辰) 250주년기념 학술회의 : 연행록의 (燕行錄) 전통과 『 열하일기 (熱河日記)』, 한국한문학회, 1988
김영, 「기획논문 : 근대전환기 지식인의 이국체험과 세계관의 변화 -연암 박지원의 경우」, 2008, 한국고전연구학회
정일남, 「박지원 서문(序文)연구 -『열하일기』 서문(序文)을 중심으로-」, 2008, 우리한문학회 참고.
윤승준, 「일반 주제 논문 :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2010, 배달말학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