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

 1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1
 2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2
 3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3
 4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4
 5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5
 6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6
 7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7
 8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8
 9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9
 10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 방향제시를 위한 영어원어민의 우리말 발음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방법
2. 본론
2.1 예상 실수유형
2.1.1 음소의 차이
2.1.2 L1음운법칙 전이
2.1.3 L2음운법칙 미습득
2.1.4 예시문장
2.2 분석통계
2.2.1 녹음파일 분석
2.2.2 설문지 분석
3. 결론
4. 부록
4.1 피조사자 명단
4.2 예시문장 속 예상실수 분포도
본문내용
2.2.2 L1 음운법칙 전이
영어원어민이 한국어를 발음할 때, 영어의 종성에 자음 ‘l’이 오면 dark l, 곧 [ɫ]로 발음되는 음운법칙을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하였을 경우와 더불어 Released coda(영어의 종성 자음을 살짝 발음해 주는 법칙) 또한 그대로 적용하여 발음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2.2.3 L2 음운법칙 미습득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들은 한국어에 존재하는 음운 상의 법칙들을 제대로 습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실수유형으로, 한국어의 여러 음운법칙 중에서도 특히 자음동화, 구개음화, 연음법칙에 중점을 두었다.
자음동화는 어느 하나의 자음이 바로 인접하거나 격리되어 있는 다른 자음의 자질 영향 때문에 그와 같거나 공통점이 많은 다른 자음으로 되는 현상 이며, 예를 들자면 국물이 [궁물]로 발음되는 것이다. 구개음화는 비구개음인 어떤 소리가 인접한 구개음의 영향을 받아 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 으로, 종성에 오는 ‘ㄷ, ㅌ’은 ‘ㅣ’로 시작되는 조사나 접미사를 만나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예를 들자면, ‘같이’가 [가치]로, ‘굳이’가 [구지]로 발음되는 것 등이다. 또한 자음 ‘ㅅ’과 모음 ‘ㅣ’가 만났을 때 [∫i]라고 발음되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연음 법칙은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 이어질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뒤 음절 첫소리가 되는 음운 규칙 을 말한다. 물론 이 법칙은 영어에서도 나타나긴 하지만, 한국어의 연음법칙은 영어와는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학습기간과 관련 지어,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이 길수록 전체 실수의 빈도는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특히나 한국어 화자들이 여러 가지 한국어 음운법칙이 적용되고 있다는 것조차 잊고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영어원어민 또한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이 길수록, 한국에 머무른 기간이 길수록 한국어의 음운 법칙을 습득하지 못해 일어나는 실수의 확률이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2.2.4 예시문장
다음의 예시 문장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외국인들이 발음 할 때 실수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단어를 찾고 조합하여 도출하였다.

● 겉옷과 바지를 입고 사람 많은 시장에 갑니다.
● 으리으리하게 꾸민 새 집에 앉아 일기를 썼습니다.
● 시장에 가서 친구의 선물을 고르고, 삶은 달걀을 샀습니다.
● 날씨가 맑아서 길동무와 함께 길을 걷네.
● 같이 시원한 국물을 마시고, 책을 읽자.


2.2 분석통계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교내 영어 원어민 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실험에 응한 영어 원어민들은 모두 미국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대상의 연령대는 20대 3명, 30대 1명, 40대 3명 등 다양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