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

 1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1
 2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2
 3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3
 4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4
 5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5
 6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6
 7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7
 8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8
 9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9
 10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10
 11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고대사] 은,주시대의 왕권과 정치구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1. 머리말
2. 殷代의 社會와 政治構造
1) 殷代의 政治構造
2) 殷代의 社會構造와 經濟
3. 周代의 社會와 政治構造
1) 周代의 政治構造
2) 周代의 社會構造와 經濟
4. 맺음말
본문내용

2) 殷代의 社會構造와 經濟
殷代에는 농업생산량의 증가로 인구 및 사회가 발달하였고, 이로 인해 계급분화가 한층 더 심화되었다. 기존의 氏族사회가 분해되어 族人의 혈통과 소속을 알리는 姓氏의 분리, 그리고 정치․군사력을 장악한 지배계층과 그러지 못한 피지배계층이 나뉘며, 내부적으로도 族人간의 권력 유무에 따라 계층분화는 더욱 세밀하게 나눠졌다. 계급은 크게 지배층과 평민, 노예 3가지 계급으로 나뉘는데, 먼저 殷 사회의 상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던 지배층은 최고통치자인 殷王을 정점으로 王族, 多子族, 多婦族 및 각급의 관리들로 이루어졌다. 殷代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과 지상 궁궐터, 대형․중형의 墓에서 출토되는 엄청난 양의 청동기․殉葬者 등을 통하여 추측해보면, 정치․군사력을 장악하고 지상건물에 거주하였으며 청동제의 각종 제기를 사용하고 사냥과 연회를 즐기면서 막강한 정치적 종교적 권위와 권력을 향유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李春植, 前揭書, pp.53~54.

이에 반해 평민은 평시에는 농경에 종사, 공물을 납부하며 요역을 담당, 유사시에는 병역의무를 수행했다. 그 당시 출토된 유물을 보면, 殷代의 墓중에서 3평방미터 정도의 소형墓가 무수히 발견, 부장품도 토기와 석기가 대부분이며 아예 부장품이 없는 墓도 존재한다. 그리고 殷代 주거지로 반지하 움집 주거지가 많이 보이는데 이같이 소형墓의 주인, 반지하 움집 주거자가 평민들로 추측된다. 墓에서의 부장물 차이, 거주지의 차이를 비교하면 그 당시 평민들의 생활이 지배층과는 확연한 차이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李春植, 上揭書, p.54.

마지막으로 노예층의 경우 주로 전쟁 포로 및 피정복민으로 구성 되었으며, 대개 노예주인인 귀족에게 소유되었다. 安陽 武官村에서 발굴된 대형墓 에서 殉葬人이 330여명에 달했고, 殷王陵에서는 2000여명의 殉葬人 유골, 머리가 없는 1200여의 유골이 발굴되는 등, 당시 노예층은 소, 양 등의 동물과 함께 제물로써 사용된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외에 갑골문에서 「奴」ㆍ「婢」ㆍ「爰」ㆍ「嬖」ㆍ「執」ㆍ「奚」ㆍ「戎」 등 다양한 노예명칭이 나타나는 것을 보아 생산노동과 가내노동을 포함해 사역범위가 넓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소수계층으로 수공인 및 卜辭를 판독해 神意를 알아내는 貞人이 있었다. 李春植, 上揭書, p.55.

殷代는 사회 계층이 분화되는 등 사회 구조가 형성되어가는 동시에 이전 시기에 비해 경제적인 발전도 이룩하였다. 많은 고대의 국가들이 그러하듯 殷 역시 농업경제사회였다. 대체로 黃河 중하류 지역의 河南, 河北, 山東, 山西 지역이 농업의 중심지였다. 이 지역은 대부분 황토질의 토양으로 토질이 비옥하고 기온 또한 지금보다 따뜻하여 농사를 짓기 좋은 환경이었다. 이 시기의 모든 토지는 殷王의 소유였다. 殷 시대의 갑골문이나 금문에서 토지 매매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토지의 사유가 인정되지 않았고 따라서 토지는 매매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고 여겨진다. 이런 土地王有制度는 귀족들로부터 다스려지는 지역이 그 지역의 생산물을 殷王에게 바치는 것을 합리화 하는 근거가 되었다.
또 농경의 발달은 목축업이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 殷 시대의 목축업은 경제적으로 농
참고문헌
※ 참고문헌
신성곤ㆍ윤혜영 지음,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申採湜 지음, 『東洋史槪論』, 三英社, 2008.
尹乃鉉 著, 『商周史』, 民音社, 1990.
李春植 著, 『中國古代史의 展開』, 新書苑, 1986.
中國史硏究室 編, 『中國歷史』上, 新書苑, 1993.
인성핑(尹盛平) 지음, 김양수 옮김,『신권의 일천 년-상․주 시대』, 시공사, 2003.

申永子, 「商代 軍隊編制 考察」, 『中國語文論叢』 第32輯, 200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