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

 1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
 2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2
 3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3
 4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4
 5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5
 6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6
 7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7
 8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8
 9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9
 10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0
 11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1
 12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2
 13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3
 14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4
 15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5
 16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6
 17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7
 18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8
 19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19
 20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료사회 복지론] 학대사례 사례개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사례요약

Ⅱ. 질환에 대한 의료 사회복지적 개입

1. 질환의 정의

1) 뇌종양

2) 뇌사

3) 아토피

2. 질환에 대한 특징 : 유병율, 치료적 접근 방법 포함

1) 뇌종양
(1) 유병율

2) 치료적 접근 방법
① 수술

② 방사선 치료

③ 화학 요법

2) 뇌사
(1) 특징

3) 아토피
(1) 유병율

(2) 치료적 접근 방법

3. 질환에 대한 심리사회적 특징

1) 뇌종양
(1)신체적 차원

(2) 심리적 차원

(3) 사회적 차원

(4) 경제적 차원

2) 뇌사
(1) 신체적 차원

(2) 심리적 차원

(3) 사회적 차원

(4) 경제적 차원

3) 아토피
(1) 신체적 차원

(2) 심리적 차원

(3) 사회적 차원

(4) 경제적 차원

4. 질환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적 개입

1) 뇌종양
(1)-1 진료비 지원 부분
(1)-2 진료비지원부분(민간)

(2) 질환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원 부분

(3) 뇌종양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

(4) 개입절차
2) 뇌사

3) 아토피

(1) 진료비 지원 부분

(2) 질환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원 부분

(3)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Ⅲ. 학대
1. 정의
1) 일반 정의

2) 의료적 정의

3) 법적정의

4) 방임의 정의

2. 학대의 유형
1) 신체 학대

2) 정서 학대

3) 성 학대

4) 방임

5) 유기

3. 학대의 징후
1) 신체적 징후

2)행동적 징후

4. 학대 후유증
1) 신체. 정서 학대와 방임의 후유증

2)성 학대 후유증

5. 아동 학대 가능성이 높은 가족의 특성
1) 아동의 특징

2) 가족의 특징

6. 아동 학대 신고 의무자 및 관련법률 규정
1)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

2) 신고절차 및 방법
(1) 신고방법

①언제

②무엇을

③어디에

Ⅳ. 사례 개입
1. 사례 요약

2. Client's Identification
3. Medical History

4. Economic State
5. Personal history

6. Family Background

7. Social support system
8. Social Work Assessment
1)
· medical state & need
- state

· psychological state & need

· family state & need

· economic state & need

2) 개입 모델에 의거한 assessment
(1) 개입모델 또는 이론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개입모델 또는 이론(1)에 근거한 assessment


본문내용
최근에는 발달한 의학 덕분에 폐와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도 인공호흡기와 같은 기계나 약물로 심장이 뛰고 숨을 쉬는 뇌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의 의료기술은 대개 1개월 이내로 뇌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결국은 폐와 심장의 기능도 나빠져 인공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만다. 죽는 과정을 늘일 뿐 결국 사망할 것이므로 뇌사도 개체의 죽음에 포함하여 진단하자는 주장이 뇌사설(腦死說)이다. 이렇게 주장하는 목적은 첫째, 불필요한 의료로 가족이나 사회에 경제적인 부담과 정신적인 고통을 줄이자는 것이고, 둘째는 사람은 죽었으나 아직 건강한 기관을, 그 기관만 망가져 건강을 잃게 된 환자에게 이식해 다른 생명을 구하자는 것이다.
뇌사를 진단하는 일은 달리 정한 엄격한 기준에 따라야 하며, 뇌사상태를 유지하거나 진단할 수 있는 시설과 전문 의사를 지닌 의료기관에서만 할 수 있다. 특히 식물인간상태와 구별해야 한다. 식물인간상태란 대뇌가 기능을 잃어 깊은 혼수를 보이는 것은 뇌사상태와 같지만, 뇌간이 살아 있어 반사기능이 있고, 스스로 숨쉴 수 있는 상태이며, 더욱이 회복할 수도 있어 뇌사와는 엄연히 다른 것이다. 뇌사를 개체의 사망으로 판단하기에는 진단이 어렵고, 심장이 뛰는 사람을 선뜻 죽었다고 받아들이기도 쉽지 않으나, 기준을 엄격히 정한다면 목적이 인도적이기 때문에 뇌사도 사망의 정의에 포함하자는 의견이 지배적이며 이를 법으로 정한 나라도 많아지고 있다.
국내 신경외과 집중치료실에서 발생하는 사망환자 중 상당수가 장기기증이 가능한 잠재뇌사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장기이식이 이뤄진 경우는 1%에 불과했다. 한림대학교강동성심병원 이식외과 이삼열 교수는 2008년 1년간 전국 신경외과 집중치료실을 운영하는 2·3차 의료기관 5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총 사망자 수는 2천288명이었는데, 분석 가능한 1천980명을 대상으로 했다. 주된 사망원인은 뇌혈관질환(52.2%-1034례)이었으며, 40대(21.2%), 50대(21%)가 대다수였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장기이식센터에 연락이 취해진 경우는 2.7%(57명)에 불과했으며, 장기이식이 시행된 경우는 1980명 중 1%에 불과한 19명이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뇌사로 인한 장기기증자는 261명. 이는 지난 2006년(141명), 2007년(148명)에 비해서는 늘어난 수치지만 2008년(256명)과 비교할 때는 5명밖에 증가하지 않은 것이다. 특히 2009년 이식대기자가 1만7천55명이라는 점과 비교해보면 정말 턱도 없이 모자란 숫자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인구 100만 명당 뇌사 장기기증율을 비교해보면 스페인이 35.1명, 미국이 25.5명, 프랑스 22.2명, 이탈리아는 21명이지만 우리나라는 2.0명에 불과하다. 이삼열 교수는 “장기기증희망자는 매해 10만명 이상씩 꾸준히 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특히 뇌사자 장기이식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적극적인 홍보부족과 의료진들의 이해및 협조부족에 이유가 있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박현 기자의 취재수첩』


3) 아토피
(1) 유병율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의 아토피 유병율은 소아의 약 10~30%, 정상 성인의 1~3%로 추정된다. 전체 아토피 환자의 70~95%는 5세 이전에 발생하며, 이중 출생 후 1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가 절반이다. 남녀 비는 여성이 1.3:1.0으로 약간 높으며, 최근 한국에서도 이탈리아나 호주처럼 성인형 아토피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초등학생 아토피 유병율에 관한 통계자료를 보면 1995년 16.6%에서 2005년 29.1%로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