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

 1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1
 2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2
 3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3
 4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4
 5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5
 6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6
 7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7
 8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8
 9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9
 10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10
 11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11
 12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12
 13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농민문학] 농민문학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Ⅱ. 본 론
1. 해방 이전의 농민문학론
1) 농민문학론의 제기와 전개 양상
2) 주요 작가와 작품
3) 해방 이전 농민문학론의 의의

2. 해방 이후의 농민문학론
1) 농민문학론의 재조명과 전개 양상
2) 주요 작가와 작품
3) 해방 이후 농민문학론의 의의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930년대 및 광복 이후의 우리 현대문학은 1910년대 후기로부터 1920년대까지의 기간에 준비된 기본적 문제들을 바탕으로 하여 각 시기의 역사적 상황과 문학 집단 및 작가의 문학적 전망에 따라 다양한 흐름으로 전개되었다. 그 중 농민문학은 우리 문학사에서 하나의 흐름을 이룬 특수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소설의 시초라 불리는 이광수의 (1917) 이후 192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현대 문학이 자리를 잡아가게 되는 과정에서, 1920년대 중반에 농민문학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되었다. 그 후 농민문학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뉘어 전개된다고 볼 수 있는데, 한 갈래는 20년대 후반부터 3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카프를 중심으로 하여 계급혁명의 수단으로서 제시된 농민문학론과 그 작품들이고, 다른 한 갈래는 30년대 들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추진된 농촌 계몽운동으로서의 관점과 그 작품들이다. 해방 이후 민족 분단 및 전쟁의 상흔 속에서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농민문학론은, 1970년대가 시작되면서부터 주로 30대의 평론가들을 중심으로 문단에 새롭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정치적․사회적인 이유로 적지 않은 작가와 작품이 연구대상으로서 제한되고, 해방이전의 농민문학론이 당대에 그대로 적용될 수도 없었던 상황에서, 70년대 이후의 농민문학론은 해방이전의 농민문학에 대한 재검토와 아울러 식민지 시대부터 당대까지 연속선상에 있는 농민과 농촌 문제를 새로이 문학에 담아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소위 농민문학을 논하는 데 있어서 먼저 용어에 관한 부분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문단에서 현재까지도 ‘농민문학’이라는 용어가 확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인물과 주제적인 면이 중심이 되는 작품들을 ‘농민문학’이라 지칭하고, 단순히 소재와 배경으로써 농촌을 묘사한 작품들은 ‘농촌문학’이라 지칭하자는 의견도 있고, 1930년대 일군의 소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농민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최근까지도 논자에 따라 ‘농민문학’과 ‘농촌문학’이라는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농민문학’이라는 용어가 해방 이전 처음 농민문학의 필요성을 제기한 주장들에서부터 나타났고, 최근의 연구들에도 점차 ‘농민문학’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농민문학’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을 미리 밝혀 용어상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
내용에 있어서도 작품 자체에 대한 자료는 많이 있는 상황이므로 지금까지 농민문학론의 여러 가지 관점에서 나타났던 개별 작품론들을 두서없이 나열하는 것은 피하도록 하겠다. 그보다는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 ‘농민문학론’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면서 그와 관련된 작가와 작품들을 참고로 소개함으로써, 우리 문학사에서 농민문학론이 어떠한 양상으로 흘러와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학사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노력하였다. 농민문학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는데 있어서는,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로 농민문학론의 양상을 시기적으로 나누어 지칭하고자 한다. 개별 문학 작품들의 문학사적 논의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지만, ‘농민문학론’은 문학이론으로서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의 시간차와 더불어 성격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병립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농민문학 가운데 소설 장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김윤식, 〈1930년대 농촌계몽의 문학적 양상(작품)〉, 《한국문학의 이론》, 일지사, 1974
송백헌, 《농민문학의 전개》, 현대문학, 1975
신상식, 〈〈흙〉과 〈상록수〉의 계몽주의적 성격〉, 고려대 대학원(석사), 1981
이광훈, 〈70년대의 농촌을 보는 눈 - 이문구의 작품 세계〉, 《소설문학》, 1981
한혜경, 〈1930년대비평에 대한 고찰〉,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1983
신경림, 《농민문학론》, 온누리, 1983
오양호, 《농민 소설론》, 형설출판사, 1984
권영민, 《한국 민족 문학론 연구》, 민음사, 1988
박배식, 《1930년대 농민문학 연구》, 세종어문연구, 1988
이재인, 《한국 농민 소설 연구》, 경기대인문논총,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