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

 1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
 2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2
 3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3
 4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4
 5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5
 6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6
 7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7
 8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8
 9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9
 10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0
 11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1
 12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2
 13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3
 14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4
 15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5
 16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6
 17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7
 18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8
 19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19
 20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문학과 사회]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와 콘텐츠화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게쓰모노가타리』를 쓴 작가
우에다 아키나리(上田秋成,1734~1809.오사카 출생)
2.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시대 배경
2-1. 중국문학의 영향에서 꽃피게 된 우게쓰모노가타리
3.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우게쓰 모노가타리』는 어떤 작품일까?
4.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의의
4-1. 『우게쓰모노가타리』가 후대 사람들에게 남기는 것.
5. 괴담을 사랑하는 일본, 그 시초를 찾아서
5-1. 『우게쓰모노가타리』의 콘텐츠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우게쓰모노가타리』를 쓴 작가
우에다 아키나리(上田秋成,1734~1809.오사카 출생)

우에다 아키나리(上田秋成)는 일본의 에도시대(江戸時代,1602~1874) 후기소설 장르인 우키요조시(浮世草子)와 요미혼(読本)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며, 국학자와 가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교호(京保) 19년 오사카(大阪) 소네자키(曾根)의 기생집에서 태어났는데 아버지에 대해 전해지는 바는 없으며 어머니는 유곽의 유녀였다고 알려져 있다. 4살에 기름과 종이를 취급하는 장사꾼이었던 우에다 모스케(上田茂助)집안에 양자로 가서 우에다라는 성을 물려받았다. 5세 때 두창에 걸렸다가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으나, 그 탓으로 왼손과 오른쪽 손가락이 짧은 기형이 되었다. 자신의 출생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그의 기형적인 손가락의 모습은 그에게 큰 상처와 자존감의 상실감을 안겨주기에 충분했는데,『전지기인(剪枝畸人)』이란 그의 호도 이러한 연유로 만들어진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마쓰무라 아키라.『교양으로 읽어야 할 일본지식』.윤철규,옮김.이다미디어.2008.
우에다 아키나리.『우게쓰이야기』.이한창,옮김.문학과지성사.2008.
논문
임찬수,이송희.「『요괴도감 妖怪図巻』에 나타난 일본요괴의 형태분류」. 『외국문학연구』 제42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편.2011.
김경희.「일본 근세소설을 통해 본 괴담의 논리」. 『외국문학연구』 제39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편.2010.
최가진.「『이노 모노노케로쿠(稻生物怪錄)』에 나타난 요괴의 유형 및 양상」.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일어일문학과.2010.
정순희.「요미혼 작가의 주제계승」『일본문화학보』제19호 . 한국일본문화학회.2003.
남상영,김성룡.「우게쓰 모노가타리(雨月物語)』 - “뱀의 정령”(蛇性の淫)」『고전문학과 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2007.
URL.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9A%B0%EA%B2%8C%EC%93%B0_%EC%9D%B4%EC%95%BC%EA%B8%B0_(%EC%98%81%ED%9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