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공학실험] PEM(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과 bipolar plate의 이해와 응용

 1  [재료공학실험] PEM(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과 bipolar plate의 이해와 응용-1
 2  [재료공학실험] PEM(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과 bipolar plate의 이해와 응용-2
 3  [재료공학실험] PEM(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과 bipolar plate의 이해와 응용-3
 4  [재료공학실험] PEM(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과 bipolar plate의 이해와 응용-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재료공학실험] PEM(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과 bipolar plate의 이해와 응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5. 실험 결과 문제
a. 측정된 시편의 전압 값을 통해 contact resistance 값을 구하여 압력에 따른 변화
를 그래프로 나타냄.

b. 측정한 contact resistance가 다른 종류의 bipolar plate의 contact resistance와
비교하여 높(낮)은지 판단하고 그 이유를 조사.

c. Polymer composite bipolar plate를 사용할 때에 GDL과의 contact resistance를
낮추기 위한 방법 조사.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금속 분리판을 이용하여 실제 전지를 구성했을 때 일반적으로 전지의 성능이 graphite 분리판에 비해 낮다. 이는 분리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식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들은 표면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해 부식에 대한 보호막으로 작용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산화막이 내식성은 향상시키는 반면, 전기 저항을 높여 연료전지의 내부저항을 높임으로써 성능 저하를 가져 온다. 위 그래프에서와 같이 graphite와 316, Tin/316의 전체적인 접촉저항은 우리가 실험에서 얻었던 고분자 복합체의 접촉저항보다 크게 낮다. graphite는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부식저항도 우수하지만, 기계적 가공이 필요해 비싼 가격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일정 이상의 두께가 요구되어 부피가 커지고, 대량생산의 어려움등의 단점을 가진다. 이런 graphite 재료의 대체를 위해 , 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한 bipolar plate의 제작 연구가 필요하다.

c. Polymer composite bipolar plate를 사용할 때에 GDL과의 contact resistance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