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

 1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
 2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2
 3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3
 4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4
 5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5
 6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6
 7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7
 8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8
 9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9
 10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0
 11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1
 12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2
 13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3
 14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4
 15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5
 16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6
 17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7
 18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8
 19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19
 20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융산업발전을 위한 헤지펀드 정착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p. 9

제 1장. 헤지펀드 일반 p.12

I. 헤지펀드의 개념 p. 12
1. 헤지펀드의 특성
(1) 사모펀드
(2) 느슨한 규제
(3) 투자전략으로서의 “헤지”
(4) 여러 기관들의 헤지펀드 정의
2. 헤지 펀드와 뮤추얼 펀드 비교
(1) 규제
(2) 수수료
(3) 레버리지
(4) 투자자 조건
(5) 목표수익률
(6) 결론
3. 헤지펀드의 순기능과 역기능
(1) 헤지펀드의 순기능
(2) 헤지펀드의 역기능
4. 헤지펀드의 운용구조
(1) 헤지펀드
(2) 투자자문사
(3) 프라임 브로커
(4) 사무수탁회사
(5) 법률회사
(6) 회계 감사인
(7) 펀드 판매사
(8) 결론

II. 헤지펀드의 역사와 전망 p. 26
1. 헤지펀드 역사
(1) 1950년대
(2) 1960년대 ~ 1970년대
(3) 1980년대 ~ 1990년대
(4) 2000년대 초중반
(5) 2007년 이후
2. 헤지펀드 업계 전망
(1) 헤지펀드의 존망
1) 유동성 제공기능
2) 헤지펀드 업계의 인재들
(2) 헤지펀드의 변신
1) 환매금지기간 장기화
2) 헤지펀드 업계 구조조정
3)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 강화

III. 헤지펀드 업계 현황 p. 35
1. 세계 헤지펀드 업계 현황
(1) 헤지펀드 수와 운용자산 규모
(2) 헤지펀드별 운용 자산 규모
(3) 헤지펀드의 역사적 수익률
(4) 헤지펀드의 지역적 분포
(5) 헤지펀드 등록지역
(6) 헤지펀드의 전략별 비중
(7) 헤지펀드 투자자 구성의 변화
(8) 헤지펀드 레버리지 사용 비율
2. 아시아 헤지펀드의 성장
(1) 아시아 헤지펀드의 운용 자산 및 펀드 수
(2) 아시아 헤지펀드의 수익률
(3) 아시아 헤지펀드의 지역적 분포
(4) 아시아 헤지펀드의 등록 지역
(5) 아시아 헤지펀드의 전략별 구분
(6) 아시아 지역 프라임 브로커
3. 한국의 헤지펀드업계 현황
(1) 한국 헤지펀드의 운용자산 및 개수
(2) 국내 기관투자자들의 헤지펀드에 대한 수요

IV. 헤지펀드의 규제 환경과 정책 동향 p. 49
1. 헤지펀드의 규제 환경
(1) 1940년 투자회사법 (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
1) Section 3(c)(1)
2) Section 3(c)(7)
(2) 1933년 증권법 (Securities Act of 1933)
1) 증권법의 사모방식에 대한 예외규정
2) D 규제(Regulation D)
(3) 1934년 증권거래법 (Securities Act of 1934)
(4) 1940년 투자자문업법 (Investment Advisors Act of 1940)
(5) 상품거래법 (Commodity Exchange Act)
(6) 결론
2. 헤지펀드에 대한 각국의 정책 동향
(1) 미국
(2) 영국
(3) 프랑스
(4) 독일
(5) EU
(6) 일본
(7) 홍콩
(8) 싱가포르
(9) 결론

V. 헤지펀드의 투자전략 p. 58
1. 혜지펀드의 기본도구
(1) 신용매수
(2) 공매도
(3) 파생금융상품
(4) 레버리지
2. 헤지펀드 투자전략 분류기준
(1) Credit Suisse/Tremont의 분류 기준
(2) 연역적 분류
3. 헤지펀드 전략의 세부 내용
(1) 주식 롱/숏 전략
(2) 차익거래 및 상대가치 투자전략
1) 전환사채 차익거래
2) 채권차익 거래
3) 일드커브 차익거래
4) 회사채/국채 차익거래
5) 국채/유로달러 차익거래
(3) 이벤트 드리븐 전략
1) 부실채권 전략
2) 기업합병/위험 차익거래
(4) 시장 방향성 전략
(5) 기타 펀드
1) 특정분야 전문 펀드
2) 가치주, 성장주 펀드
4. 헤지펀드 전략별 수익률

VI. 새로운 헤지펀드 모델: 재간접 펀드 및 인다우먼트 모델 p. 79
1. 재간접 펀드
(1) 재간접 펀드의 개념
(2) 재간접 펀드의 역사
(3) 재간접 펀드의 장,단점
1) 재간접 펀드의 장점
2) 재간접 펀드의 단점
2. 인다우먼트 모델
(1) 인다우먼트 모델의 개념
(2) 인다우먼트 모델의 역사
(3) 인다우먼트 모델의 장점
1) 포트폴리오 분산을 통한 수익률 제고
2) 비효율적인 시장 이용
3) 유동성 프리미엄
4) 복리의 마법

제2장. 한국과 헤지펀드 p. 94

I. 한국의 헤지펀드 경험 p. 94
1. 1997년 외환위기의 기억
2. 헤지펀드에 대한 인식 개선

II. 헤지펀드 도입 및 규제 완화 방안 p. 97
1. 한국의 헤지펀드 규제상황
(1) 간투법 하의 사모펀드 규제
(2) 자통법 통과 이후 일부 규제 완화
2. 국내 사모펀드 현황
3. 헤지펀드 도입 준비 노력
4. 헤지펀드 규제완화 방안
(1) 펀드의 설립과 등록
(2) 운용업자 및 판매업자 관련 규제 완화
(3) 펀드 운용 관련

III. 국내연기금의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 활성화 방안 p. 103
1. 국내 연기금의 해외투자 필요성
(1) 국내 채권에 편중된 포트폴리오
(2) 국내 연기금의 일천한 투자 경험
(3) 미국의 금융위기로 파생된 미국 투자 기회
(4) 결론
2. 국내연기금의 해외대체투자 활성화 방안
(1) 추진체계 수립
(2) 해외파트너 선정
(3) Governance 구축
(4) 대체투자

IV. 헤지펀드의 군집적인 움직임에 대한 올바른 정책적 대응 p. 113
1. 논의 배경
2.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화에 대한 영향과 전망
(1) 한국 원화 급 절하의 원인
(2) 한국 원화 움직임에 대한 전망
3. 급격한 환율 변동에 대한 정부의 바람직한 대응

결론 p. 119

참고문헌 및 자료 p. 123

본문내용
서론

한국 경제는 그동안 제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를 발전시켜왔다. 반도체, 핸드폰 등 전자산업, 조선업, 자동차 등이 고용창출과 수출증대를 통하여 한국 경제를 이끌어왔다. 반면 서비스업은 IT를 제외하고는 아직 세계적인 수준에 달하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업은 수출산업이 아닌 내수산업이라는 이유로 한 동안 정부의 지원과 관심에서 소외되어 왔던 것이다.

그런데 서비스업이 이제 화두가 되고 있다. 단지 선진화된 제조업과 어깨를 나란히 맞추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우선 내수증대를 위해서 필요하다. 금번 금융위기에서도 확인되듯이 과도한 해외 의존형 경제구조는 대외적 충격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된다는 부작용을 낳는다. 그리고 고용증대를 위해 필요하다. 제조업이 자동화 되어 고용창출효과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반면 서비스 업은 사람의 노동과 지력이 직접 소요되는 산업으로 고용창출효과가 크다. 다음으로 서비스업이 활성화 되면 해외의 유동 수요를 국내로 흡수하거나, 우리의 서비스를 해외에 제공하는 등으로 국부를 증대시킬 수 있다. 서비스 업이 순수히 내수산업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싱가폴의 병원산업, 우리나라의 동대문시장과 같은 도매업, 미국의 금융업, 기업컨설팅 산업이 그 예이다.

금융업은 서비스 산업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이다. 왜 삼성전자 사원들보다 국민은행 사원들이 더 높은 월급을 받을 수 있는가? 간단히, 그것은 그만큼 부가가치를 더 많이 창출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의 인베스트먼트 뱅커들의 월급이 왜 그렇게 높은가? 그것은 그만큼 많이 벌기 때문이다. 미국의 금융업이 미국인의 국민소득에 기여한 정도는 지대하다.

참고문헌
< 참고 문헌 >
1. Hedge Funds: Myths and Limits by Francois-Serger Lhabitant
2. Expectations Investing by Michael J. Mauboussin
3. 글로벌 헤지펀드 산업동향, 산업은행 황세희 (2008)
4. 헤지펀드의 규제 동향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송원호, 오승환 (2007)
5. 헤지펀드에 대한 주요국 규제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6)
6. 헤지펀드의 허용과 향후 발전 방향, 한국증권연구원 노희진 (2008)
7. 헤지펀드의 국내 도입 방안, 한국증권연구원 노희진 (2007)
8. Eurekahedge(2008), "2008 Key Trends in Global Hedge Funds"
9. Credit Suisse/Tremont(2007), "Credit Suisse/Tremont Hedge Fund Index : 2007 Year End Review"
10. Credit Suisse/Tremont(2007), "Emerging Markets Trends in the Hedge Fund Industry"
11. International Financial Services London Research(2008), "Hedge Funds 2008", International Financial Services London
12. Yale University Report 2005 & 2007
13. Yale Endowment Report 2007 & 2008
14. Cambridge Associates
15. 헤지펀드 투자전략 연구(1) 한국증권연구원 파생상품 연구회
16. 헤지펀드 투자전략 연구(2) 한국증권연구원 파생상품 연구회

< 참고 웹사이트 >
1. www.hennesseegroup.com
2. www.eurekahedge.com
3. www.hedgeindex.com(Credit Suisse/Tremont Hedge Fund Index)
4. www.hedgefundintelligence.com
5. www.wikipedia.com
6. www.investopedia.com
7. www.ft.com등 다수 뉴스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