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

 1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
 2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2
 3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3
 4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4
 5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5
 6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6
 7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7
 8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8
 9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9
 10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0
 11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1
 12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2
 13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3
 14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4
 15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5
 16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수학습지도안] 소설작품의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이해의 선물」, 「사랑손님과 어머니」,「박씨전」 등을 중심으로

1. 서론
2. 문학 교수-학습의 목표 및 일반 절차 모형에 대한 검토
1) 문학 교수-학습의 목표 및 일반 절차 모형에 대한 검토
가. 문학 교수-학습의 목표에 대한 검토
나. 문학 수업의 일반 절차 모형에 대한 검토
2) 소설 제재의 수업 목표와 일반 절차 모형에 대한 검토
3.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소설의 교수-학습 모형
1) 「이해의 선물」의 교수-학습 모형
2)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교수-학습 모형
3) 「박씨전」의 교수-학습 모형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 단원 중에 “간혹 사람들 중에는 시나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은 예사롭지 않은 큰 뜻을 함축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이를 지나치게 깊게 해석하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오히려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2-1』, 교육인적자원부, 2002.
라는 내용이 있다. 제7차 교육 과정에 와서는 문학 작품을 하나의 객관적 대상으로서 파악하는 관점을 지양하면서 학습자의 기대 지평에 따라 다양하게 수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적 관계로 파악하고, 또 위의 글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일반인의 문학 작품에 대한 거리감도 과거와 달리 많이 지양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장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여전히 문학 작품을 어렵게 생각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국어 교육 과정 중에서 ‘문학’ 영역이 다른 기능적 언어활동(듣기/말하기/읽기/쓰기)이나 학문적 영역(국어지식)과 달리 ‘예술’의 범주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이란 한 개인의 재능이나 능력이 중시되며, 과학이나 객관성과는 거리가 먼, ‘추상적’인 대상이라는 생각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학을 교육 과정으로서 설정하고 또 학교의 현장에서 교육할 때,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는 문학 작품의 수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문학을 어떻게 잘 가르칠 수 있는가에 대한 교수자의 자기 연구, 그리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구체적 수업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다. 즉, 문학 교육의 성패 여부는 문학을 “어떻게” 가르치는가와 관련이 있고, 이 “어떻게”로서의 문학 교육은 교수-학습 모형에 의해 구체화되는 것이다.
본고의 2장에서는, 문학 교육의 목표와 문학 교수-학습의 일반 절차 모형에 대한 검토, 그리고 문학 교육 중에서 좀더 구체화된 형태로 소설 교육의 목표와 일반 절차 모형에 대한 검토가 주되게 이루어질 것이다.
문학교육의 목표와 일반론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는 것은, 이후 3장에서 전개할 교수-학습 모형의 전제를 마련하기 위해서인데, 본 수업 시간 중에 정리했던 내용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모형 설계에 바탕이 되는 문학 작품의 성격이나 문학 교육에 대한 관점을 본고의 관점에서 정리해야할 필요를 가졌기 때문이다.
3장에서 다루는 문학 작품의 교수-학습 모형이 본고의 실제적인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2장의 검토에서 결론적으로 제시된 중점적 교육 목표와 교수-학습 시의 중요도나 방법에 따라, 중학교 교육 과정 중에서 1학년, 2학년, 3학년의 “국어” 교과서 단원 중 소설 한 편씩을 골라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해보았다. 2장에서 정리한 몇 가지 기본 전제에 따라 소설 작품에 대한 관점과 소설 교육의 방식에 대한 본고의 방법론이 정해질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3장의 교수-학습 모형이 전개될 것이다.
중학교 “국어” 교육 과정 중에서 1학년, 2학년, 3학년의 소설 작품을 하나씩 택한 이유는 각 학년별 교육 과정이 수준별로 차이가 있으며, 이 수준별 차이에 따라 학습 목표나 내용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1학년의 경우에는 문학 작품과 장르별 본질에 관한 학습이 다른 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있을 것이며, 3학년의 경우에는 저학년보다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세 편의 소설 작품이 채택된 이유는 해당 장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1-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2-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3-2』,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국어 1-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국어 2-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국어 3-2』,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국어, 도덕, 사회』, 교육인적자원부, 2001.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국어』, 교육인적자원부, 2001.
구인환, 우한용, 박인기, 최병우, 『문학교육론』, 삼지원, 1998(제3판).
우한용, 『문학교육론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Ramond J.Rodrigues & Dennis Badaczewski 저, 박인기&최병우&김창원 역,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이정,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