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

 1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
 2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2
 3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3
 4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4
 5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5
 6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6
 7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7
 8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8
 9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9
 10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0
 11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1
 12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2
 13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3
 14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4
 15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5
 16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6
 17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7
 18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8
 19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19
 20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 14C후반 여말선초 시대 상황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 말 정치상황
1) 원의 내정간섭
① 원 간섭기 시대상황
② 원 간섭기 정치체제의 변동

2) 고려 말의 개혁정치
① 공민왕 이전의 개혁정치
② 공민왕대 개혁정치
③ 우왕대 개혁정치와 위화도 회군

3) 고려 말의 정치세력
① 권문세족(權門勢族)
②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

2. 고려 말 경제상황
1) 고려의 경제구조 변천

2) 경제활동
① 귀족의 경제생활
② 사원
③ 농민의 경제생활
④ 수공업의 활동
⑤ 상업 활동
⑥ 화폐주조와 고리대

3. 고려 말 사회
1) 고려 말 지방사회
①14세기 전반의 군현 개편
㈀ 군현 병합책과 영역의 재조정
㈁ 상위관부의 관격 조정
㈂ 특례 개편
② 14세기 후반의 군현 개편
㈀ 군현영역의 재조정
㈁ 도제 개편과 중간기구의 확대

2) 고려후기의 사회 변화
① 무신집권기 하층민의 봉기
㈀ 서북지역민의 항쟁
㈁ 공주ㆍ전주ㆍ탐라민의 봉기
㈂ 운문ㆍ초전ㆍ경주ㆍ진주민의 항쟁
㈃ 노예들의 봉기
② 몽고의 침입과 백성들의 생활
㈀ 초적의 참전과 광주 및 처인부곡민의 항쟁
㈁ 충주성과 온수 및 다인철소민의 항쟁
3) 원 간섭기의 사회 변화

4. 고려 말 문화
1) 유ㆍ불교와 역사서 편찬
① 유교의 발전
② 불교 사상과 신앙발전
③ 역사서 편찬

2) 과학기술의 발달
① 고려후기의 인쇄술
② 화약기술
③ 농업기술
④ 의학기술
⑤ 천문학

3) 귀족 사회 문화의 발달

5. 고려 말 대외관계
1) 원간섭기의 고려 대외관계
① 고려ㆍ원연합군의 일본원정
② 고려ㆍ원 양국 간의 인적ㆍ물적 교류

2) 고려의 반원ㆍ친명 외교정책
① 공민왕의 반원ㆍ친명 외교정책
② 우왕대의 원ㆍ명에 대한 양단외교

3) 홍건적의 침입

4) 왜구의 침입

Ⅲ. 결론
1) 고려의 몰락
① 정치적 배경
② 사회경제적 배경
③ 사상적 배경

본문내용

Ⅰ.서론

14C 대외적 상황을 보면 북송과 남송시기에 서북방의 서하와 북방의 요ㆍ금ㆍ원은 이민족이 건립해 중국의 일부 혹은 번부를 지배했다. 요는 최초의 정복왕조로서 후대의 정복 왕조에 많은 영향을 준다. 금나라가 쇠퇴해가던 13세기 초엽에 이르러 동아시아는 몽고평원에 부족 단위로 유목 생활을 하던 유목민족인 몽고족이주변의 부족을 정복ㆍ통일하여 강한 세력으로 성장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몽골을 통일한 징기스칸은 정복활동을 펼치며 ‘원’을 건국했다. 몽고군은 고려를 압박하며 조공과 무리한 요구를 일삼으며 고려에 대한 정복전쟁으로 내정간섭을 일삼으며 고려의 자주성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고, 정치적 운영에 차질이 생겼다.
하지만 고려 정부의 대몽 항전은 애국적인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무신 집권자들의 사적인 권력 유지가 주요 목적이었고, 강화 천도는 무신 집권자 최우의 권력 연장을 위해 무리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고려는 원의 요구에 따르거나, 아니면 무한히 고통을 참는 길밖에 없었다.
고려의 정복지는 모두 원의 일부로 복속시켰지만, 세조 쿠빌라이는 온건책을 채택하여 고려의 국체를 온존시켰으나 자비령 이북의 영토는 몽고에 복속되었다. 또한 원은 국왕 임명권, 정동행성의 설치, 친원 집단의 조성을 통해 고려를 완전히 장악하면서 정치적 간섭이 시작되었다.
고려의 모든 왕들은 원에 의해 지명되었는데 그 결과 고려의 왕권은 대단히 취약하고 불안정해졌다. 잠재적인 왕권 경쟁자들은 원의 중앙정부를 움직이기 위해 노력했으며, 야심가들은 그 주위에 결집하여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쉬지 않고 음모를 꾸몄다. 음모가 너무 치열했으므로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은 모두 부자 사이에 심한 권력투쟁을 겪었다. 그 결과 왕과 정치가들은 이 불안정하고 치열한 권력투쟁에 휘말려 무엇이 국가에 바람직한지 생각할 여유를 가지지 못하면서 그들은 이상적인 목표를 꿈꾸지 않고, 생명의 안전과 안락한 생활만으로 만족했다.
참고문헌

1. 14세기 고려사회 성격 연구반,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1994, 민음사
2. 강만길, 1994, 『한국사6-중세사회의 성립Ⅱ』,한길사
3. 국사 편찬 위원회ㆍ국립조서 편찬 위원회, 2008,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학기술부
4. 김광철, 1998, 『여말선초 세족층의 동향』, 부산경남사학회
5. 김시연, 2006, 『한국사 시민강좌 제 39집 고려사회 속의 인간과 생활』, 일조각
6. 김영수, 『건국의 정치 여말선초, 혁명과 문명의 전환』,이학사
7. 김윤곤, 2001, 『한국 중세의 역사상 : 제 2 편 고려시대의 사회변동 ; 제 9 장 권문세족 (權門勢族)과 신흥사대부 (新興士大夫)』,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8. 김창현, 『신돈과 그의 시대』,푸른역사
9. 대우학술총서ㆍ공동연구, 1994,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0. 박기현, 2000, 『손에 잡히는 고려 이야기』, 늘푸른소나무,
11. 박용운, 2007, 『고려 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12. 박용운ㆍ이정신, 2001,『고려시대 사람들 이야기 1 :정치생활』, 신서원
13. 박용운․이정신․이진한 외 공저, 2002, 『고려시대 사람들 이야기』,신서원
14.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부
15. 신성곤, 2004,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16. 이상각, 2010, 『열정과 지존의 오백년 고려사』, 들녘
17. 이이화, 1999,『 한국사 이야기 6 무신의 칼 청자의 예술혼』, 한길사,
18. 이이화, 1998, 『한국사 이야기 = History of Korea / 우리 민족은 어떻게 형성되었나』한길사
19. 이태진, 2002,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 조선 유교국가의 경제발전모델』,태학사
20. 장유경, 1993, 『고려시대사 강의』, 늘함께
21. 정성희, 2007, 『이야기 고려왕조사 - 고려왕조 찬란한 흥망성쇠의 역사속으로』, 청아출판사
22.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1990,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부
23. 한국역사연구회, 1997,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논문

1. 강지언, 1995, 『高麗 禑王代(1374年-88年) 政治勢力의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2. 강진철, 1988,『고려말기의 사전개혁과 (私田改革) 그 성과 - 농민의 처지에서 본 개혁과 그 성과의 문제점-』,「진단학보 66권 35p~41p」, 진단학회

3. 김형수, 2002, 『元 干涉期 高麗의 政治勢力과 政局動向』, 慶北大學校

4. 김창현, 1995, 『고려말기 정방의 변화와 제조의 등장』,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5. 나종우, 1980, 『高麗 末期 의 麗 · 日關係 , 倭寇 를 中心 으로』, 전북사학회
6. 도현철, 「고려말기 유자의 학문론」, 국사관논총 1993년(제45집), 217-236

7. 문경현, 「고려 중기 유학」, 경북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1983(제10집), 33-48

8. 박찬수,「고려후기 국학의 변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3(제10집), 311-336

9. 박태신, 2002 ,『高麗末 田民辨精事業 硏究 』,관동대학교

10. 방경미, 2002, 『고려말기 지방사회의 동향과 감무파견』, 연세대학교

11. 변태섭, 1971, 『高麗 政治制度史 硏究 = Studies in the political system of Koryo Dynasty』, 서울大學校 大學院

12. 손흥열, 1975, 『고려말기의 왜구』, 단국대학교사학회

13. 신경선, 2005,『辛旽의 改革政治 硏究 』,관동대학교 대학원

14. 신일균, 1994,『恭愍王의 改革政治와 普愚.辛旽의 葛藤』,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5. 안혜진,2002,『高麗末 辛旽 改革政治의 性格』,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이경식, 1983, 『고려말기의 사전문제』,「동방학지 제40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7. 임명자, 1986, 『고려말기의 대 일본관계』,「수원대문화 제2집」, 수원대학교

18. 허흥식, 「고려중기 화엄종파의 계승」, 불교사학회, 1986(제6집), 169-188

19. 홍우택, 1990,『14세기 중엽 高麗 政治勢力의 변동 : 元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