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

 1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
 2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2
 3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3
 4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4
 5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5
 6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6
 7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7
 8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8
 9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9
 10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0
 11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1
 12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2
 13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3
 14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4
 15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5
 16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6
 17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7
 18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8
 19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19
 20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생교육론] 자발적 성인학습공동체 사례연구- `직영모`와 `아사우사`를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문제 4
3. 연구 방법과 절차 5
1) 연구 방법 5
2) 연구 절차 6
(가) 연구대상 6
① 직장인 영어회화 모임(‘직영모’)
② 아이사랑 우리사랑(‘아사우사’)
(나) 참여관찰 및 면담 7
(다) 설문지 조사 8
(라) 자료 해석 및 분석기준 8

Ⅱ. 학습, 공동체, 학습공동체 9
1) 학습 9
2) 공동체 9
3) 학습공동체 10

Ⅲ.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12
1. 직장인 영어회화 모임(‘직영모’) 12
1) 직영모의 활동: 르포 형식으로 12
2) 설문지 및 면담내용 분석 13
2. 아이사랑 우리사랑(‘아사우사’) 17
1) 아사우사의 활동: 르포 형식으로 17
2) 면담내용 분석 18

Ⅳ. 논의 및 시사 21

Ⅴ. 요약 및 결론 22



참고문헌 23


[별첨1] 직영모 분석시 사용한 설문지 24
[별첨2] 아사우사 분석시 사용한 질문지 25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평생교육은 경험의 계속적,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활동 가운데 교육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천과 제도에 관한 조직 원리이다(한숭희, 2004). 평생학습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배우고자 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곧 ‘학습자 중심’의 관점을 시사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주체적’ 학습행위에 관심을 갖게 만든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주체적 행위자로서의 학습자가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는 점이다. 학습행위는 개별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둘러싼 학습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숭희(2001)는 학습행위를 개인적 활동이 아닌 학습자가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집단적이고 공동체적인 활동으로 파악하고 있다. “학습을 둘러싸고 존재하는 동기, 목적, 내용, 방법 등은 결국 집단적 상호작용의 결과 및 과정이며, 그러한 점에서 공동체 및 공동체가 처한 정치, 경제, 문화적 조건은 학습의 기본조건임과 동시에 그 자체”라는 것이다. 이처럼 학습행위를 ‘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구성원간의 협동 과정으로 파악하는 관점과 관련된 대표적인 논의로는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를 들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학습공동체의 논의는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조직적이고 협동적으로 이뤄지는 학습에 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육학적 관심은 개별적, 효율적 교육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근대사회의 경제적 발전과 합리주의는 극단적 개인주의와 경쟁주의를 가져왔고, 이는 그대로 교육에 반영되어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따라서 학습공동체의 논의는 집단적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주체성 회복과 생활세계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한숭희, 2001). 즉, 학습공동체가 합리적 의사소통과 자발적 참여를 중시하는 만큼, 이에 대한 논의는 개인주의적이고 경쟁중심적인 교육적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학습공동체가 상정하고 있는 비형식, 무형식적인 장에서의 학습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위하고 있는 삶 자체가 학습의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흔히 우리는 ‘학교=학교교육’이라는 등식에 귀속되는 학습, 혹은 교육에 관한 인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학습은 다양한 환경과 경험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고,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보다 의미 있게 해석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이 바로 학습공동체이다. 이러한 학습자의 주체성과 자율성은 평생교육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학습사회(learning society)’ 구성원들의 자질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공동체 논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구체적 사례를 통해 학습공동체의 실제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공동체의 실제 구현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습공동체’라는 용어가 ‘학습’과 ‘공동체
참고문헌
윤창국 (1998),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숭희 (2001),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서울: 교육과학사.
(2004), 평생교육론,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