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

 1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
 2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2
 3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3
 4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4
 5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5
 6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6
 7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7
 8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8
 9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9
 10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0
 11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1
 12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2
 13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3
 14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4
 15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5
 16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6
 17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7
 18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8
 19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19
 20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전통교육]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훤당 김굉필의 생애와 철학사상


2. 한훤당 김굉필의 교육사상


3. 한훤당 김굉필의 가정교육과 가훈


4. 한훤당 김굉필의 출생지와 생활공간에 대한 역사와 문화


5. 한훤당 김굉필의 종가의 전통음식
본문내용
1. 한훤당 김굉필의 생애와 철학사상

고려 후기 이후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 사대부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이 조선의 건국을 주도하였으며, 이에 따라 조선 왕조는 신유학인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는다. 그러나 조선 건국이후 1백 여 년 간의 유학은 문장 중심의 사장과 통경명사 중심의 학문이었다. 그러다 조선 성종조 무렵부터 조선조 성리학은 문장 중심의 사장파 대신 새로운 학풍인 이학파가 태동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과 을 학문의 중심으로 삼으면서 성정한 도학 중심의 신진사림파가 문장중심의 훈구파와 대립하게 된다. 이 결과 유자광, 이극돈, 한치형 등 훈구파가 당시 사림파들의 스승으로 지목된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빌미로 그 문인들인 사림파 40여명을 숙청하는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연달아 일으키게 된다. 바로 이 김종직의 문인으로서 대표적인 학자가 한훤당 김굉필이다.

김굉필은 본관이 황해도 서흥이며 단종 2년(1454년) 서울의 정릉(지금의 정동)에서 김유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어릴 때는 성격이 거칠고 사나워 누가 무례하게 놀리거나 거만스럽게 굴면 채찍으로 마구 휘둘러 갈기기 때문에 한번 그에게 당한 사람은 멀찌감치 피해갈 정도였다.

김굉필은 성장하면서 학문에 힘썼으며, 특히 한유가 쓴 을 좋아하는데, ‘남팔아, 죽을지언정 불의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는 대복에서는 눈물을 흘리며 세 번씩 읽었다고 한다.
김굉필은 19세 때 조부의 고향인 지금의 대구 광역시 현풍 인근에 있는 합천 야로현 말곡에 살던 박예손의 딸과 결혼하여 처가살이를 하면서 냇물가에 한훤당이란 서재를 짓고 공부에 전념하였다. 그의 호는 이 한훤당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때부터 김굉필은 처의 고향인 지금의 경남 합천군 야로, 그리고 처외가인 경북 성주군 가천 등지를 왕래하면서 학문을 넓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