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

 1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1
 2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2
 3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3
 4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4
 5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5
 6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6
 7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7
 8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8
 9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9
 10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소설론] 한국고전소설의 작자 및 작자 논란 작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고전소설의 작자
1) 밝혀진 작자들
3) 직업적 작자층과 몰락 양반층
5) 대하소설의 작자
2) 비판적 지식인
4) 판소리계 소설의 작자
6) 여성 작자와 공동 창작

Ⅲ. 작자 논란이 있는 작품들

1) 「옥루몽」
2) 「원생몽유록」
3) 「홍길동전」
본문내용
Ⅰ. 서론

조선시대에는 소설을 창작하거나 읽는 것이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소설을 창작하는 행위가 사회적으로 떳떳이 내세울 만한 일이 되지 못했던 것이다. 많은 작자들이 스스로를 작자로서 드러낸 경우가 거의 없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외에도 소설을 필사하거나 판각하는 과정에서 작자명이 누락되었을 경우, 설화를 소재로 구성하여 자기가 지은 것이라고 밝힐 수 없었을 경우, 작자가 여성이었을 경우, 작자가 원고료에 해당하는 돈을 받고 작품을 내놓아 돈을 받고 글을 파는 행위가 떳떳하지 못하다고 생각해 작자가 이름을 밝히지 않았을 경우와 같은 다양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작자를 알 수 없는 작품이 많아졌을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소설은 모두 1,270여 작품이 되는데, 그 중 극히 일부의 작품만 작자의 이름이 알려져 있고,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기록에 의해 밝혀진 경우가 대다수이다. 대부분의 작품은 작자의 이름이 전해 오지 않는다.


Ⅱ. 한국 고전소설의 작자

1) 밝혀진 작자들
김시습: 『금오신화』
채수: 「설공찬전」
심의: 「대관재몽유록」
신광한: 『기이재이』
임제: 「화사」, 「수성지」, 「원생몽유록」
조위한: 「최척전」
최현: 「금생이문록」
권필: 「주생전」
허균: 「홍길동전」
윤계선: 「달천몽유록」
권칙: 「안여식전」, 「강로전」
정태제: 「천군연의」
참고문헌
간호윤,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김영사, 2010.
백승종, 「고소설「홍길동전」의 저작에 대한 재검토」, 『진단학보』80호, 1995.
설성경, 『「홍길동전」의 비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설중환, 『한국 고소설의 이해』, 집문당, 2009
성현경, 『韓國옛小說論』, 새문사, 1995
양승민, 『고전소설 문헌학의 실제와 전망』, 아세아문화사, 2008.
우쾌제, 『고소설의 탐구』, 국학자료원, 2007.
우쾌제, 『원생몽유록 : 작자 문제의 시비와 의혹』, 박이정, 2002.
이상택, 『한국 고전 소설의 이론』, 새문사, 2003.
이상택 외,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2005.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정규복, 『한국 고소설사의 연구』, 보고사, 201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최운식, 『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 2001.
최운식 외,『설화․고소설 교육론』, 민속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