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

 1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
 2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2
 3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3
 4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4
 5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5
 6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6
 7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7
 8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8
 9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9
 10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0
 11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1
 12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2
 13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3
 14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4
 15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5
 16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사회자본론(Social Capital Theory)과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사회자본의 등장배경
Ⅱ. 사회자본의 개념
1. 사회자본의 일반적 개념
2. 대표적 학자들 사이의 사회자본 개념 비교
3. 교육학에서의 사회자본 개념
Ⅲ.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Ⅳ. 사회자본의 특징
Ⅴ. 사회자본의 연구현황
1. 사회자본 연구의 두 가지 차원
2. 교육학 분야에서의 사회자본 연구 동향 : 미시적 접근
2-1.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2-2. 사회자본과 일탈문제
Ⅵ. 시사점 및 연구과제 (보완점)
본문내용
Ⅰ. 사회자본의 등장 배경

사회자본 개념이 출현하게 된 이론적 계기는 신고전파 경제학의 개념 틀이 사회학적 연구 주제로 침투해 들어온 데 있다. 1961년과 1963년 미국의 경제학자 존슨, 슐츠, 그리고 베커가 인적 자본(human capital)이라는 개념을 도입하면서 비롯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부르디외는 문화적 자본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부르디외는 문화적 자본개념을 발전시켜 나가다 1983년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사회적 자본을 주장한 학자 부르디외 외에도 대표적으로 퍼트남(Putnam)과 콜만이 있다. 퍼트남은 미국사회의 볼링 인구는 늘어났으나 볼링 클럽의 감소를 예로 들며‘Bowling alone’을 주장하면서 미국사회 내에서의 사회자본이 감소하고 있다면서 주장하였다. 콜만은 지역사회의 시민 결사체 감소를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사회적자본의 감소를 주장하였다. 사회자본이론은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하게 된다.

Ⅱ. 사회자본의 개념

1. 사회자본의 일반적 개념

OECD는 사회자본이란 ‘집단내 혹은 집단간의 상호협력을 촉진하는 네트워크, 규범, 가치 이해 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상호협력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규범과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개념 정의의 객관적인 요소를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상호연계적 행동을 하는 행위자의 행동과 관련된 것이며, 규범, 가치, 이해 등은 행동규범과 규제 뿐 아니라 개인과 집단의 주관적인 성 향과 태도와 관련된 것이다. (홍영란, 2005)
따라서 사회자본은 다양한 집단활동이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협동을 촉진하는 공유된 규범, 신뢰 및 가치, 사람들 간의 네트워크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경근(2004), 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 문음사
김태선, 김천기(2007), 교육부문에서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교육의 이론과실천
백일우(2009), 교육경제학, 학지사
이정선(2001), 콜맨(Coleman)과 브루되(Bourdieu)의 사회자본론의 비교와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이재훈, 김경근(2007),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한국교육학 연구
이재영, 공태명(2010), 가정・학교・지역사회 사회자본과 청소년 일탈행동, 사회과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