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

 1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
 2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2
 3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3
 4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4
 5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5
 6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6
 7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7
 8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8
 9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9
 10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0
 11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1
 12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2
 13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3
 14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4
 15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5
 16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6
 17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7
 18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터넷 공론장의 정치, 사회참여적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인터넷 공론장의 정의와 흐름

2. 인터넷 공론장의 특징

3. 인터넷 공론장의 긍정적 기능

3.1 정치적 측면
- 신속하고 광범위한 의사소통: 자스민 혁명
- 새로운 정치적 의사 표현의 수단 : ‘해시 태그’ 와 오바마 대통령
- 현대판 직접 민주주의 실현: 쇠고기 파동과 다음 아고라
- 여론 형성의 장: 도가니와 청원운동

3.2 사회적 측면
- 공감의 시작: 베플
- 시민 저널리즘과 인터넷 공론장


4. 인터넷 공론장의 부정적 기능과 한계

4.1 정치적 측면
- 결정권의 부재: 한, 미 FTA
- 네거티브 위주의 정보 확산: 10.26 서울시장 재·보선

4.2 사회적 측면
- 폐쇄적 공론장의 잘못된 여론 형성: 타진요 사건
- 정보의 과잉: 천안함 사건

5. 결론: 인터넷 공론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


6.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서론
공론장은 과거부터 많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리스 시대에는 아고라라는 광장에 모여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 하였고, 이는 공론장의 초기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뿐만 아니라 특정 집단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부르주아들을 위주로 한 공론장 또한 공론장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공론장의 형성은 그 당시 권력 집단에서 제외되었던 일반 사람들이 정치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일반적으로 공론장이라 하면 많은 사람들은 이미 그 의미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이 글에서 다룰 ‘인터넷 공론장’의 특징과 형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론장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이해가 동반되어야할 것이다.
공론장은 과거부터 여러 학자에 의해 연구되어 왔을 만큼 사회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어왔다. 그중 하버마스의 연구가 가장 대표적이고 주목을 받았다. 하버마스는 공론장을 의사소통을 위한 네트워크라고 생각했다. 그는 공론장은 공간적으로 중첩되지만, 국제적, 전국적, 지역적, 자치 단체적, 하부 문화적 논의 영역으로 분화되고, 사안별로 어느 정도 전문화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전문적 공중이 접근 가능한 공론영역들 (대중 과학적, 문예적, 종교적, 예술적, 여성적, 대안적, 보건 정책적, 사회 정책적, 과학 정책적 공론영역들)로 짜여 진 고도로 복잡한 네트워크라고 주장하였다. 또 공론장을 소통밀도, 조직적 복합성, 도달범위에 따라 일회적인 선술집, 다방, 거리에서 개최되는 연극상영, 학부모의 밤, 록 콘서트, 당 대회, 중요기념일 등 각종 현장의 공론영역을 통해 분산되고, 독자, 청취자, 시청자 등의 추상적인 대중 매체적 공론영역에 이르기까지 분화되는 네트워크라고 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 자체는 여러 가지 이슈를 다룰 수 있으나, 대개는 공적인 토론, 즉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있으면서도 국가나 정치의 영역에서 공동의 이익을 위하여 해결하여만 하는 주제를 다룬다고 하였다. 조직적 복합성이 떨어지고 행동능력이 약하며, 구조적인 핸디캡을 가지고 있는 시민사회속의 행위자는 정치적 중심부에 비해 새로운 문제 상황을 지각하고 확인할 수 있는 감수성을 훨씬 더 많이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버마스는 주변부로부터 발의하는 외부적 접근을 지지했다
참고문헌

자스민혁명
-‘튀니지의 자스민혁명과 SNS의 역할‘- 2011.02.07, 손양수
(http://seri.org/kz/kzBndbV.html?no=102314&pgca=1)
해시태그
-“해시태그 반란이다” 2011.10.05, 한겨레, 이형섭 기자
쇠고기파동
-2008 06/03뉴스메이커 777호 2008.06.03 정원식 기자
도가니
-The Naeil News 2011년 09월 안승훈 기자
시민 저널리즘과 인터넷 공론장
-[칼럼]'소셜 저널리즘'…새로운 저널리즘의 탄생,2011.09.15, 박재현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10915135550&type=det
연세대 패륜남
- “이번엔 연세대서 ‘패륜남’ 파문” , 세계일보, 2010.06.04 (금) ,이귀전 기자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100604003263&subctg1=&subctg2=
서울역 목도리녀
- “'서울역 목도리녀' 김지은씨 "드릴수 있는게 목도리밖에…"”,2007년 3월 18일 ,동아일보, 홍수영기자
http://news.donga.com/3//20070318/8419475/1
타진요
- “[2010 그 사건 그 후] 타블로 학력위조 의혹”, 2010년 12월 22일, 동아일보, 김지현기자,
http://news.donga.com/3/all/20101222/33434785/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