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

 1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
 2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2
 3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3
 4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4
 5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5
 6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6
 7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7
 8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8
 9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9
 10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0
 11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1
 12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2
 13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3
 14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4
 15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5
 16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6
 17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7
 18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8
 19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19
 20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국어의 사동 표현과 의미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2. 사동의 개념과 유형
2.1. 사동의 개념
2.2. 사동의 유형
2.3. 사동법의 범주

3. 사동 표현

3.1. 형태적 사동
3.1.1. 사동사의 범주
3.1.1.1. 형태적 기준
3.1.1.2. 통사적 기준
3.1.1.3. 의미적 기준
3.1.2. 사동접미사에 관련된 문제
3.1.3. 사동사가 될 수 없는 용언들

3.2. 통사적 사동
3.2.1. 통사적 사동의 개념, 사용 범위
3.2.2. ‘-게 하다’의 성격에 관하여

3.3. 어휘적 사동
3.3.1. 어휘적 사동
3.3.2. 두 자리 서술어 ‘시키다’와 사동표현

4. 사동 표현의 의미
4.1. 단형사동과 장형사동의 비교·대조
4.2. 파생적사동과 통사적사동의 의미 차이
4.3. 사동과 피동의 형태가 같은 경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국어의 사동은 피동과 함께 동사에 관여하는 동작의 특질(서술어의 중심구조인 태(voice)의 일종)에 관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사동(使動)이란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하는 것을 일컫는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사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문장은 주어가 동작이나 행위를 직접 하느냐,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하도록 하느냐에 따라 주동문과 사동문으로 나뉜다.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 것을 주동(主動)이라고 하고, 주어가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것을 사동(使動)이라고 한다.
사동사는 주동사의 어간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등이 붙어서 만들어진다. (……) 사동문은 그 밖에 접미사 ‘-시키다’로도 실현되며, 어미 ‘-게’에 보조 용언 ‘하다’가 붙은 ‘-게 하다’로도 실현된다.
- 『고등학교 문법교과서』(7차)
참고문헌
고영근·남기심(1985/1993), 개정판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고정의(1990), 「사동법」, 󰡔국어 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권재일(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김성주(1997), 「현대 국어 사동사의 유형」, 한국어문학연구.
김형배(1996), 「한국어 사동법의 ‘대응성’에 관한 연구」, 󰡔우리말 형태 연구󰡕, 우리말 연 구2, 한말연구학회, 박이정.
김형배(1997), 󰡔국어의 사동사 연구󰡕, 박이정.
김형배(2005), 「파생 사동사의 범주」, 한민족문화연구17, 한민족문화학회.
서원임(1974), 「사동법 기술 시안」, 󰡔문법연구󰡕 1. 문법연구회.
서정수(1994), 󰡔국어문법󰡕, 뿌리깊은나무.
서정수(1996), 「사동법과 사동문」, 수정증보판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원.
성광수(2005), 󰡔한국어표현문법󰡕, 한국문화사.
송석중(1978), 「사동문의 두 형식」, 󰡔언어󰡕 3.2.
양동휘(1979), 「국어의 피·사동」, 󰡔한글󰡕 166.
양인석(1972), 「Korean Syntax」, 백합출판사.
양인석(1974), 「Two Causative Forms in Korean」, 󰡔어학연구󰡕 10.1.
유명희(1982), 「타동 접미형과 ‘-게’형의 의미 비교」, 연세대 석사논문.
이관규(2002), 개정판 󰡔학교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이관규(2005), 󰡔국어교육을 위한 국어문법론󰡕, 집문당.
이정택(1999a), 「사동의 개념」, 선청어문2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이정택(1999b), 「우리말의 사동 범주」, 한글학회.
이정택(2008), 「통사적 형식과 사동법」, 한말연구23, 한말연구학회.
이익섭·임홍빈(1983), 󰡔국어문법론󰡕, 학연사.
이익섭(1998), 󰡔문법연구와 자료󰡕, 태학사.
임유종(1990),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원인 분석」, 한양어문연구(제8집).
임홍빈(1976), 「부사화와 대상성」, 󰡔국어학󰡕 4.
최성덕(2006), 「국어 사동 범주의 연구사」, 태릉어문연구.
최현배(1937), 󰡔우리말본󰡕, 온책초판, 연희전문학교출판부.
최현배(1976), 󰡔우리말본󰡕, 네 번째고침, 정음사.
Shibatani, M.(1975), 「On the Nature of Synonymy in Causative Expressions」, 󰡔어학 연구󰡕 11.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