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

 1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
 2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2
 3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3
 4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4
 5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5
 6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6
 7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7
 8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8
 9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9
 10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0
 11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1
 12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2
 13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3
 14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4
 15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5
 16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6
 17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7
 18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8
 19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19
 20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교방문화 조사-정현석의 `교방가요`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방이란 : 진주 교방 개관
1. 진주 교방의 정의와 역할
2. 진주 교방에서 이루어지는 춤과 현재 보존 현황
3. 진주 교방의 춤을 정리한 교방가요에 대한 개략

Ⅱ. 조사기간 및 일정

Ⅲ. 정현석의 『교방가요』

Ⅳ. 각론
1. 한량무
1) 한량무에 대한 개괄적 정의
2) 진주한량무(晋州閑良舞)
3) 진주와 양산의 한량무 비교
4) 진주권번에 대해
2. 진주검무
1) 진주검무(晋州劍舞)란?
2) 진주검무의 구성
3) 진주검무의 전승 현황
4) 진주검무의 특징 및 의의
3. 의암별제가무
1) 의암별제에 대한 개괄적 정의
2) 의암별제가무
3) 논개는 누구인가
4. 진주교방굿거리춤
1) 진주교방굿거리춤이란?
2) 진주교방굿거리춤의 구성
3) 진주교방굿거리춤의 전승 현황
4) 진주교방굿거리춤의 특징 및 의의
5. 포구락무
1) 포구락무란 ?
2) 진주 포구락무의 구성
3) 정현석의 에서 언급된 진주 포구락무
4) 에서의 진구 포구락무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교방이란 : 진주 교방 개관
1. 진주 교방의 정의와 역할
교방은 고려시대 악가무 등 각종 기예를 가르쳐 기생들의 높은 문화수준을 유지시키고 지방에 악가무와 더불어 풍속을 전파하는 역할을 한 기관이다. 한 때, 권번의 여러 행사에 조치되어 지방의 권번 문화를 화려하게 수놓은 기관이라는 말이 있었지만, 그것은 옳지 않다. 권번이란, 일제 강점기 우리 문화를 말살시키기 위해 기생들을 성 접대용으로 사용한 곳을 지칭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즉, 일제의 권번 설치는 조선 기생의 높은 문화적 수준을 깎아내리고 더불어 조선의 문화 수준을 폄하하기 위한 정치적 조치인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 보유자 유영희 선생님의 채록에 근거한 진주권번은 다음과 같다. (선생님께 권번에 대해 여쭈어보았을 때 선생님은 선뜻 말을 꺼내길 주저하시며 탐탁지 않은 기색을 보이셨다.) 일본인들은 일제 강점기 때 조선의 교방청을 없애는 대신 기생 양성을 위해 기생 조합을 만들었는데 그것을 바꾼 것이 권번이라고 하셨다. 권번이 생기기 전까지는 기생은 본래 몸을 팔던 직업이 아니었는데, 권번이 생긴 이후로는 일본인들의 성 산업화로 일제가 흩어서 기생은 수없이 몸을 파는 쪽으로 내몰리게 되었고, 기생의 이미지가 추락하면서 권번은 소멸하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권번이 존재하지 않으며, 권번을 통해 전해지던 교육은 현재 국립국악원이나 개개인을 통해 전수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교방은 일제 강점기 권번의 화려함이 아닌 순수한 악가무의 관점에서 훌륭한 문화를 보존, 전승했던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진주 교방은 말 그대로 진주에 위치한 교방으로, 진주의 춤 문화를 전수하고, 또 진주 지역에 음률을 풍부하게 하는 기관이었다. 한편, 지방 교방이기 때문에 궁중정재에 참여함으로써 궁중의 공연문화가 지방으로 유통될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하는 기관이 진주 교방이었다. 결국 진주 교방은 진주 지역의 음악문화를 유지 발전시킴과 동시에 궁중과 지방의 문화적 소통을 이끌어낸 곳이라 할 수 있다. 또, 음악이 가지는 풍속 교화와 성품 완화의 측면을 고려한다면, 진주 교방은 진주 지역에 좋은 음률로써 풍속을 교화하고 관리는 서로 화합하여 다스림이 유연해지고, 상하의 화합을 이룩하여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온경. 정현석의 교방가요 연구. 논문집 40권 1호. 1995.
김혜은. 진주교방굿거리춤에 대한 연구. 무용학회논문집 43권. 2005.
문주석.『교방가요』소재 "교방정재" 연구 -항장무,승무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7권. 2003.
박은영. 조선 후기 궁중·교방 정재 및 민속무용의 상호교섭과 변모 양상. 한국문학과 예술 1권. 2008.
성계옥. 진주검무. 화산문화. 2002
성기숙. 극 형식의 한량무 연구 - 문헌고증과 현장조사를 토대로 하여 -. 무용예술학연구 1권. 1998.
성현. 악학궤범. 명문당. 2011.
손선숙. 조선후기 진주 교방의 정재 공연양상 -『敎坊歌謠』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46권. 2011.
이영희, 박계현. 진주에서 전승되는 경남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의 예술적 가치와 보존, 전승방안. 학술발표회 2010권. 2010.
이종숙. 조선시대 지방 교방 춤 종목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1권 1호. 2012.
정현석. 교방가요. 성무경 역주. 보고사. 2002.

※ 참고자료
강용권, 『향토의 민속문화 부분 발췌』 http://cafe.naver.com/lovekoreadance/9562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1503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184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6872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2243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6280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911560
악학궤범 홈페이지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사이트)
http://d-joseon.culturecontent.com/wd-exh.asp?mname=&sname=&cname=&cate=0502g&iname=%C6%F7%B1%B8%B9%AE&mindex=cp0310000217
진주민속예술보존회 http://cafe.daum.net/jinjufolkart/
향토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0401716
향토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Index?dataType=01
향토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0403221
유영희 선생님 인터뷰
정행금, 박옥란 선생님 인터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