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

 1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
 2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2
 3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3
 4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4
 5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5
 6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6
 7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7
 8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8
 9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9
 10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0
 11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1
 12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2
 13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3
 14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4
 15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5
 16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6
 17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7
 18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8
 19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 근대의 공교육- 주권상실기의 교육과 해방후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l주권상실기의
l* 브나로드
l* 조선민립대학 설립운동
* 미군정기 교육정책
* 미국 교육사상 적용
* 대한민국의 교육
* 토론정리 : 친일파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하여
본문내용
주권상실기의 교육
일제는 우리나라를 강점하고 나서 식민지정책을 썼다. 그 식민지정책에 대하여는 여기에서 언급치 않는다 하더라도 일제의 우리에 대한 교육정책은 두 말할 것도 없이 식민지정책에 입각한 것이었다.
일제는 우리나라를 강점하고 나서 그 이듬해인 1911년에 소위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여 식민지교육에 대한 기본 방침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는데, 그 제2조에
「교육은 교육에 관한 칙어(勅語)의 취지에 의거하여 충량(忠良)한 국민을 양성하는 것을 본의(本義)로 한다.」
라고 규정하여 그 교육방침을 밝히고 있다. 즉, 일제는 우리나라에 대한 교육의 목적을 일황(日皇)이 일본교육의 방향을 밝힌「교육에 관한 칙어」의 취지에 입각하여 일제의 충량한 국민을 양성하는데 둔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여 일본화에 교육목적을 둔 철저한 식민지교육정책이었다. 일본화라 하면 그대로 한국의 말살을 뜻하는 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일제의 식민지교육의 기본정책의 또 하나는 조선교육령 제3조에,
「교육은 시세와 민도(民度)에 적합하게 함을 기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한국 민족을 말살하여 일본화하되 차별교육을 하겠다는 속셈을 그대로 법제화한 것이다.
그리하여 학제(學制)를 규정함에 있어서도 조선교육령에서는 수업연한을 보통학교 4년, 고등보통학교 4년, 여자고등보통학교 3년, 실업학교 2년 내지 3년, 전문학교 3년 내지 4년으로 하였다. 이것을 일본의 그것과 비교해 보면 일본은 소학교 6년, 중학교 5년, 전문학교 4년, 대학 6년으로 전문학교까지만 따져본다 하더라도 일본은 15년인데 대하여 조선교육령에서는 11년 내지 12년밖에 안 되는 단기학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식민지기 초등학교 규율의 사회적 성격(논문) - 오성철
조선교육회의 사업과 유산에 대해(논문) - 김성학
차이콥스키써클과 브나로드운동의 설립(논문) - 정희선
상록수 (소설) - 심훈
한국민족주의교육의 성장과 발전
교육 철학 및 교육사 - 손인수
미군정기의 교육 - 김동구
전환시대의 교육사상 – 심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