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

 1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
 2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2
 3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3
 4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4
 5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5
 6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6
 7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7
 8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8
 9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9
 10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0
 11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1
 12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2
 13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3
 14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4
 15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5
 16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6
 17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7
 18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8
 19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19
 20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정치] 한미동맹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보고서의 목적
제 2절 분석방법


제 2장 한미동맹
제 1절 한미동맹의 형성
제 2절 동맹의 정의

제 3장 한미동맹의 변화
제 1절 역대 한국지도자의 대미성향 변화
3.1.1 이승만 대통령
3.1.2 박정희 대통령
3.1.3 전두환 대통령
3.1.4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제 2절 한국 사회 정서의 변화
제 3절 국제체제의 변화
3.3.1 냉전시대
3.3.2 탈냉전시대
3.3.3 탈탈냉전시대

제 4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장 서론

제 1절 보고서의 목적

1950년 6월 25일 새벽. 소련의 스탈린에게 남침 전쟁의 승인을 받은 북한 김일성의 군대는 남침을 시작했다. 북한군은 빠른 시일 내에 서울을 점령하고 계속해서 남쪽으로 전진 했다. 이에 미국을 포함한 15개 나라의 군대로 구성된 유엔군은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 전쟁은 3년여의 긴 시간동안 행해졌다. 그리고 수많은 희생과 파괴를 불러왔다.
전쟁이 끝나고 당시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북한의 전쟁 재발을 억제하기 위하여 미국과 논의한 결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되어 한미동맹관계는 법적·국제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조약은 1953년 8월 8일 서울에서 가조인되었고, 10월 1일 워싱턴DC에서 정식 조인되었으며, 양국 국회의 비준을 거쳐 1954년 11월 18일부로 발효되었다. 이 내용은 한미 동맹의 출발점이다.
한미 동맹은 한국전쟁 과정에서 탄생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한반도 전쟁억제의 주축으로서 한국 국가 안보의 기본 틀이 되었다. 그러나 이는 냉전 종식 이후 세계 안보 질서의 변화와 한반도에서의 남북관계 변화와 같은 정세의 변화에 따라 동맹의 위치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과거 한국이 약소국이었을 때는 강대국인 미국의 힘에 의해 일방적으로 끌려 다니는 비대칭적인 동맹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약소국이었던 한국은 스스로의 힘, 군사력으로는 자국을 지킬 수 없었기 때문에 대내외로부터의 안보위협을 막기 위해서는 강대국의 안보 우산이 필요했다. 그렇기 때문에 동맹을 맺을 당시 불평등 요소가 있더라도 그것을 계속해서 유지해 나가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냉전체제가 무너지면서 국제안보질서가 변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남북의 군사력이 동등해지고,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긴장이 완화 되면서 이러한 변화는 곧 한미 동맹의 장래와 주한미군의 장래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아직까지 한미동맹 관계는 불평등한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고, 뉴스나 신문을 통해 동맹과 관련된 소식을 접할 때, 아직도 한국이 미국에게 끌려가고 있다는 인식을 받는다. 하지만 과거에 맹목적이었던 것과는 많이 달라진 형태를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한미 동맹이 처음 맺을 1950년대부터 지금 2012년까지 수직적인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변화하고 있는데 그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래 가지고 있는 자들은 변화를 싫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이 수직적 구조의 동맹관계를 수평적 구조관계로 바꾸는데 앞장섰다고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렇다면 과연 수직적 구조의 동맹관계가 어떻게 수평적 구조관계로 변화하고 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더 나아가 한미동맹의 변화 추세로 볼 때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제 2절 분석방법

우선, 한미 동맹의 형성을 알아보고, 동맹의 정의를 분석한 후, 한미 동맹이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변화하는 과정을 세 분류로 나눠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역대 지도자들 중 몇몇 지도자를 선택하여 그들의 성향과 특징을 조사하고 어떻게 한미동맹 관계가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둘째, 약소국인 한국 사회의 대미관에 대한 정서를 연대별로 조사하고 그것이 한미동맹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볼 것이다.
셋째, 국제체제의 변화를 냉전시대 전후와 이후에 9.11 테러 전후로 나누어 조사해보고 그러한 국제체제의 변화가 어떻게 한미동맹 관계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볼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는 수직적 동맹관계에서 수평적 동맹관계로 변화하고 있는 한미동맹 관계의 미래를 생각해보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이야기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관옥, 「한미동맹의 변화와 미국세계전략의 영향」, 2008, 사회과학논총 제 27집 1호
김순태, 「한미동맹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주권에 대한 정체성을 중심으로」, 2003.
김영호, 「안보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미동맹 재조정」, 세계정치5
김은선, 「한미동맹 변화요인에 대한 고찰-내적, 외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2005
김재창, 「새로운 국제질서와 한미동맹」, 2003, 이라크 전후 새로운 국제안보질서와 한반도 학술세미나
박상준, 「국가이익과 외교안보정책 자율성:노태우, 노무현 정부의 작전통제권 환수 문제를 중심으로」, 2010
배양일, 「한미동맹과 자주:한미동맹관계에 나타난 한국외교의 자주성 행태에 관한 연구」, 2006
백학순, 「김대중정부와 노무현정부의 대북정책 비교」, 2009, 「세종정책연구」2009년 제5권 1호
신승규, 「한미동맹 변화요인과 정부성향별 영향분석」, 2009
이강로, 「한국내 반미주의의 성장과정 분석」, 2004년,
이기종, 「한미동맹의 변화와 향후 정책 방안에 대한 연구」, 2010
이내영, 정한울, 「반미여론과 한미동맹-2002년 12월과 2003년 6월의 여론조사 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전략」2003년 9권 3호
이상현, 「한미동맹 50년의 성찰과 한미관계의 미래」, 2003, 「국가전략」 2003년 9권 1호
이수형, 「한반도 평화체제와 한미동맹-동북아 평화체제와의 구조적 연계성」, 통일과 평화 2호, 2009
정일준, 「유신체제의 모순과 한미갈등:민주주의 없는 국가안보」, 2006, 사회와 역사 제70집 한국사회사학회
「전두환, 노태우 정권과 한미관계-광주항쟁에서 6월항쟁을 거쳐 6공화국 등장까지」, 2010, 한미관계, 엇갈린 60년 기획연재1
정하용, 「단극체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한국정치연구 제21집 제1호, 2012
정한울, 「미국 소프트 파워의 위기?」, 2007, BBC, 글로브스캔, 매일경제, 동아시아연 공동 25개국 국제현안 1차 보도
조찬래, 「한미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2007, 사회과학연구 제 18권 겨울호

한국인 美-日 선호도 낮아져, 「동아일보> 1988.06.16.일자 제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