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

 1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
 2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2
 3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3
 4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4
 5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5
 6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6
 7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7
 8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8
 9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9
 10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0
 11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1
 12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2
 13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3
 14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4
 15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5
 16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6
 17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7
 18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8
 19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19
 20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동기
2. 연구목적
II. 선행연구검토
III. 연구방법
1. 연구가설
1) 측정요소 개념정의
2) 연구가설
2. 연구설계
1) 조사대상
2) 조사방법
3) 분석방법
IV. 결과해석
V. 결론
1. 가설검증
2. 결언
VI. 참고문헌
VII. 부록 - 설문지

본문내용

I. 서론

1. 연구동기

지난해 10.26 서울시장 재보선 선거 이후 트위터는 대한민국 정치의 핵심 키워드로 급부상했다. 박원순 현 서울시장이 당선된 배경으로 각종 언론과 정치 평론가들이 트위터를 지목했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트위터 동향 분석기관인 ‘유저스토리랩’은 같은 해 4.27 재보선 당시 주요 후보관련 트윗이 10만건이었던 것에 비해 10.26 재보선 선거에서는 100만건에 육박하는 급증세를 보인 점, 리트윗(RT) 상위 20개 트윗은 모두 박 후보를 지지하거나 나 후보를 비판한 점, 선거기간 박원순 후보의 팔로워(Follower)수가 더 급증한 점(박 후보 15만 명, 나 후보 5만명) 그리고 특히 오후 12시부터 5시 사이 트위터 상의 투표 독려 건수의 증가에 따라 투표율이 급증한 점을 들어 트위터가 10.26 서울시장 재보선 선거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렇듯 지난해 10.26 서울시장 재보선 선거가 정치적 도구로서의 트위터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면 그러나 올해 4.11 19대 국회의원 총선거는 현실적인 한계점을 노출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본 조의 의견이었다. 이는 ‘투표율 70% 공약’등의 키워드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트위터 내에서는 활발한 정치적 트윗이 봇물을 이루었지만 실제 투표율은 54.3%에 그쳤다는 것으로부터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트위터 내에서의 지배적인 여론은 ‘반MB’, ‘반 새누리당’ 그리고 ‘친 여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 결과는 오히려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는 것으로 끝났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더욱 그렇다.

트위터가 이처럼 짧은 기간 동안 벌어진 두 차례의 선거에서 상반된 결과를 보이자 이를 둘러싼 학계, 언론 및 대중들의 논란 또한 심화되었다. 한 쪽에서는 4.11 총선의 결과를 ‘트위터 여론은 민심이 아니다’라는 증거로 해석하며, 주로 20~30대의 젊은 층으로 구성된 제한된 트위터 이용자층에 주목하여 정치적 도구로서 트위터는 한계점이 분명한 미디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아직은 이용자 층이 제한되어 있다고는 하나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정치적 도구로서의 효능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 가능성에 보다 초점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전체 트위터 이용자 중 51.5%가 수도권 이용자이고, 평균 연령이 27.9살”로 집계되고 있는 가운데 4.11 총선 결과 수도권에서는 트위터 내 지배여론과 유사하게 야당이 여당에 승리를 거둔 점과 주 연령층인 20대의 경우 18대 총선과 비교하면 19세 14.0%포인트, 20대 전반 12.5%포인트, 20대 후반 13.7%포인트나 늘어난 점을 들어 트위터의 주 이용자층의 정치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특히 트위터가 상대적으로 뉴미디어에 해당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용자 층이 확대되면 정치적 도구로서 트위터의 가능성이 극대화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다.
이처럼 트위터는 단시간 내에 한국 정치에 있어서 가장 논쟁적인 미디어로 급부상했다. 뿐만 아니라 양측의 의견 모두 어느 정도 타당한 근거를 갖추고 있고 설득력을 지니고 있어 본 조로 하여금 궁금증을 자아냈다. 아마도 12월에 있을 다음 대통령 선거 때 트위터는 다시 한 번 정치적 도구로서 검증을 받게 될 터이지만, 그에 앞서 나름의 연구를 통해 트위터와 직접적 정치참여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가능성 또는 한계를 밝혀보고자 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