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

 1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
 2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2
 3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3
 4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4
 5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5
 6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6
 7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7
 8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8
 9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9
 10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0
 11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1
 12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2
 13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3
 14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4
 15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5
 16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6
 17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7
 18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8
 19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19
 20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의 협상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 론
1. 서론 - 연구배경

2.본 론
1. 대한민국의 낮은 협상문화의 사례
2. 고려 시대
3. 조선 시대
4. 근·현대 시대
5. 분석

3.결 론
1. 결 론


본문내용

(1) 서 론

대한민국은 외형적 성장에 비해서 내실이 상당히 뒤떨어진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삶의 질에 비해 그러한 대화의 문화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은 매우 낮은 협상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 그러한 점을 역사학적인 관점에서 파헤쳐 보고자 한다.
“협상가는 회색분자다.” 라는 말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인 문제를 협상을 통해 해결하려는 사람들은 한두 번씩 이런 욕을 먹는다. “당신은 도대체 누구 편이냐”는 것이다. 협상은 결코 편 가르기가 아닌데. 하지만, 협상의 당사자들은 “당신이 내 편을 들어주지 않으면 저쪽 편”이라고 주장한다. 전형적인 흑백논리다.
1970년대와 80년대의 한국 사회에서 흑백논리는 민주화를 추진하는 원동력의 하나였다. 민주세력의 결집을 이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아니다.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흑백논리로는 첨예한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없다. 협상의 분위기를 저해하는 것은 이 뿐만이 아니다. “어른의 뜻이야”라는 말 한마디가 지니는 위력을 우리는 안다. “어린 놈이 웬 말이 그리 많아” 하는 말이 내포하는 의미도 안다. 유교적 이념에 근거한 장유유서와 권위주의는 아직도 결정적 순간에 효력을 발휘한다. 많이 약해지기는 했지만 유교적 이념이 완전히 힘을 잃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간혹, 장유유서는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나이가 많은 사람의 뜻’에 따라 문제가 해결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갈등의 해소’가 아니라, ‘갈등의 미봉’에 불과하다. 또 한가지가 있다. 목소리 키우기이다. 사소한 자동차 접촉사고가 일어났을 때 누가 잘못했는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다짜고짜, ‘야’ 하면서 목소리를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자조적으로 이야기한다. ‘한국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목소리를 좀 키워야 해’. 이런 문제 해결 패턴은 조폭의 문제해결 방식과 매우 흡사하다. 논리와 합리 대신 ‘억지’라는 속성이 지배하기 때문이다. 주위를 한 번 둘러보자. 은연중 이를 조장하는 풍토가 있는 것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모든 현상은 한국 사회의 저변에 비합리성이 매우 만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대로 된 협상문화가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 사람과 일의 관계, 그리고 일과 일의 관계가 합리적으로 맺어질 필요가 있다. 어떠한 종류의 협상이건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고, 협상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이 어느 정도의 협상력을 발휘하느냐는 것이다. 그런데 협상력과 관계 없는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면 그 협상의 성과는 불 보듯 뻔하다.
협상에 참여하는 사람이 지역이 다르다라는 이유로,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지위가 낮다는 이유로 그 역량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면 협상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가 없다. 사람과 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사회적 갈등은 많은 경우 사람이 한 ‘일’에서 시작되고, 갈등은 구체적으로 어느 집단의 ‘견해’를 통하여 드러난다. 이때 사회적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람과 일을 분리하고, 집단과 견해를 분리하여, 사람의 ‘일’과 집단의 ‘견해’ 만을 다루어야 한다.
어느 개인 혹은 어느 집단을 사회적 갈등 자체와 동일시하는 것은 그 개인과 집단에 대해 편견을 가지는 것과 같다. 이런 편견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데 걸림돌이 됨은 너무 명확하다. 일과 일의 관계는 일의 경계에 대한 것이다. 사회적 갈등은 대부분 일과 연관돼 있다. 그런 점에서 그 일을 ‘누가 책임지고 있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과 일의 관계가 합리적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사회적 갈등의 해소 과정에서 누구를 상대로 혹은 누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가 매우 불분명해질 수 있다.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일 사이, 일과 일 사이의 비합리성이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뒤틀리게 되면 나머지 두 종류의 관계 역시 뒤틀리게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비합리성을 만연시키는 ‘우리가 남이가?! (지역주의)’와 ‘아우 먼저 형님 먼저(연고주의)’는 한국의 협상문화 확산을 저해하는 치명적인 병폐이다.

참고문헌
● 원인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 아이뉴스24 특별취재팀 강호성 팀장, 허준 기자, 박계현기자
- 우리아이 지킴이, 자녀PC관리 프로그램 엑스키퍼
● 실태조사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년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 행정안전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 문제점
- 구지은, 아동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또래 관계의 기능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03, 42-43
- 고진희,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중독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07, 19-20
- 박현정, 초등학생의 학교환경변인·공격성·인터넷 게임사용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10, 10-12
- 김희정, 컴퓨터 게임중독 정도와 아동의 공격성 및 자기 통제력과의 관계, 학위논문(석사), 2003, 14-16
● 해결방안
일간스포츠 채준기자, 2011
여성가족부 여성 E-NEWS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