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

 1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1
 2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2
 3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3
 4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4
 5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5
 6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6
 7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7
 8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8
 9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9
 10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10
 11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축공학]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문헌고찰
2.1 이동 가능한(Movable) 건물
2.2 목재와 목구조
3. 이동 가능한 전시 공간 모듈 계획 방향 설정
3.1 디자인 지침
3.2 기본 구조 방식 선정과 구조계획 지침
3.3 목재의 선정 기준
4.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계획안
4.1 기본 모듈 설정
4.2. 모듈 조립법
4.3 모듈 구조해석
4.4 기본 모듈 결정
5. 이동 가능한 목구조 전시 공간 모듈 응용안
5.1 샘플빌딩
6. 결론
본문내용
. 서 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과학과 기술의 발달에 의해 시간과 공간의 한계가 무너지면서 현대인들의 생활 방식은 그 이전보다 역동적이고 유동적인 형태를 띠게 된다. 이러한 삶의 변화는 건축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을 새롭게 탐색하고 정의해야할 필요를 불러오게 되고 새로운 건축유형의 탄생을 부추기게 되었다. 이 새로운 유형은 공간의 개념을 정주하며 머무는 개념이 아닌 지속적인 이동과 변화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짙다. 최근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인들의 삶을 반영한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건축의 이동성과 운동성에 대한 획기적인 시도들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 그렇다. 여기서 특기할 만 한 점은 이러한 시도들은 특히 전시공간에서 쉽게 확인된다는 것이다. OMA의 ‘프라다 트랜스포머’(PRADA Transformer)나 자하하디드(Zaha Hadid)의 샤넬 모바일 아트 뮤지엄(Chanel Mobile Art Museum) 등이 바로 그 예이다. 시대의 변화 속에 전시체계가 정체된 형태가 아닌 시대 사회적 요구에 순응하여 변화 발전된 역동적이면서 가변적인 형태를 취하거나 좀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전시장 자체를 옮겨가는 시도들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바로 이 부분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빠르게 확산되는 문화의 세계화와 기술의 발전은 지구상의 어느 지역, 어느 지방에서도 여러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가고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 지구촌과 지역사회의 전시자와 이용자를 위한 종합적인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전시공간은 꼭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 더불어 현 시대의 건축은 친환경적인 요소를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 요구들은 생태건축 혹은 친환경건축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건축물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및 자원을 절감하고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그 개념아래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그 중 하나 주목받고 있는 부분은 자재에 관한 부분이다. 그간의 콘크리트 건축문화는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고 재활용 혹은 재사용이 가능한 목조 건축으로 시선을 돌려 그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최근의 추세는 매우 고무적이다.
본 연구는 현 시대가 요구하는 이 두 가지 요구에 집중하고 있다. 목재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운반이 용이하고, 쉽게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새로운 전시형태인 이동 가능한 전시 공간 모듈 (Movable Exhibit Space Module)을 계획하는 것이다. 물리적으로 이동 가능한 건축물의 가능성을 다목적 전시 공간 모듈을 통해 제시하고 목재를 사용한 구조 시스템으로 이를 구현함과 동시에 해체, 재조립을 통한 재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요소를 충분히 갖추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림 2 티피 (tipi)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그림 1 유르트(Yurt)
본 연구의 이동 가능한 전시 공간 모듈 (Movable Exhibit Space Module)에서 이동 가능한(Movable)의 개념은 단기간에 건설이 가능하고 쉽게 해체하여 이동이 가능한 건축으로 그 의미를 한정한다.
또한 친환경적 자재인 목재로 재료를 한정하도록 한다. 단순히 연구의 범위로써 자재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목구조의 장점을 충분히 적용하여 친환경 목조건축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진행방법으로는
첫째, 기존의 이동 가능한 공간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기존의 사례 분석으로 이동성을 구현한 방식을 이해한다.
둘째, 목재와 목구조 시스템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를 높인다.
셋째, 각 이론적 고찰 내용을 토대로 구현하고자 하는 이동 가능한 전시 공간 모듈이 갖추어야 할 특성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지침을 설정한다. 더불어 이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목재와 목구조 시스템을 선정한다.
넷째. 이동 가능한 전시 공간 모듈의 규모와 형태를 계획하고 선정한 목구조 시스템을 구조적 안정성과 이동성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시켜 기본 모듈을 해당 시스템으로 구성한다. 또한 구조해석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다섯째, 위의 기본모듈을 바탕으로 샘플빌딩(Sample Building)을 계획해보고 해당 모듈 시스템을 적용한 전시공간계획의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그 유효성을 짚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