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

 1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
 2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2
 3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3
 4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4
 5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5
 6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6
 7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7
 8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8
 9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9
 10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0
 11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1
 12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2
 13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3
 14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4
 15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5
 16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6
 17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7
 18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8
 19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19
 20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반환경] 난지도 매립지 재설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매립지 개요 및 필요성

2저류 시설 설계.

3 차수 시설 설계

4 우수 및 침출수 집배수 시설 설계

5복토 설계.

6 가스 처리 및 자원화

7 매립 후 이용 계획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매립지의 개요 및 필요성

1. 새로 설계하는 난지도 매립지
기존의 난지도는 비위생 매립방식으로 폐기물을 처리하였다. 비위생 매립 방식은 폐기물의 최종처분 방법인 매립방식의 하나로, 땅에 커다란 구덩이를 파고 쓰레기를 묻은 뒤 흙으로 덮어나가는 것이다. 위생매립과 달리 매립한 뒤에 일어날 수 있는 2차 오염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렇게 폐기물 관리 방식에 대한 개념이 없던 시절에 폐기물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한데 섞어 매립함으로써 매립단계에서는 악취와 해충의 발생 지반 침하가 발생하고, 매립 후에는 침출수로 인한 지하오염과 매립가스 폭발 등 환경과 위생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드는 비용은 새 매립지를 설치하고 관리를 하는데 드는 비용 보다 많다.

그림1-1)비위생 매립(화제) 그림1-2)비위생 매립(침출수)

이번에 새로 설계를 하는 난지도는 위생매립 방식을 채택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하였다. 위생 매립법은 쓰레기를 일정한 높이로 쌓아 다진 후 그 위에 흙을 덮는 처리방식이다. 지하수 및 토양오염을 방지를 위하여 쓰레기 썩는 물을 모아서 처리하는 시설과 쓰레기가 썩을 때 생기는 메탄가스 등 각종 매립가스를 모아서 처리하는 가스처리 시설 등 환경오염 방지 시설을 갖추어 매립 후 토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매립하는 폐기물은 일반가정폐기물로 제한 하였다.



2. 난지도 매립지 위치


그림1-4) 난지도 매립 구역

난지도매립지는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482번지 일원으로서 북서쪽은 경기도 고양군 화전읍과 접해있으며 남서쪽은 한강고수부지와 연하여 자유로를 따라 인접해 있다. 서울특별시의 북서외곽에 위치하며, 한강변에 북측 강변도로, 매립지 양단에는 한강을 관통하는 성산대교와 가양대교가 있고 교통이 편리하다.
지금의 김포매립지와 수도권매립지에서 부담하는 서울내의 폐기물을 이전에는 난지도가 부담하였기 때문에 그 필요성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했듯이 교통 또한 편리해서 오염물의 이동이 용이하다.

3. 매립지의 필요성

그림1-5)연간 인구 증가율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1978년 기준으로 총 7,823,195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또한 인구 증가율은 등비급수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 약 3.7%로 매년 인구증가율이 매우 크다.



이를 통해 계산 하면 15년 후인 1993년에는 약 13,491,663명이 서울에 거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의 발달과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폐기물의 양도 그에 비례해서 증가 할 것이다. 1978년 서울 시의 폐기물량은 약 2,732,340t이다. 하지만 인구 증가에 반해 폐기물의 처리시설은 부족하다. 이에 따라서 폐기물 매립지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난지도쓰레기매립장 [蘭芝島─埋立場 ] | 네이버 백과사전
•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의 지반공학적 특성 (황석덕 저)
• 집중호우시 발생하는 난지도립지내의 지하수 거동 (구태훈 저)
• 서울 강우량
• http://cafe.naver.com/presidentt/967
• 서울 강우량
•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yy_st=2011&stn=108&norm=M&obs=0&mm=1&dd=1&x=22&y=10
• 난지도 지역 환경성 검토 및 친환경적 정비방안(조용모 저)
• 매립지 차수시설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지원 저)
• 폐기물 매립장 침출수방지 차수시설에 관한 연구 (김영균 저)
• 폐기물 자원화 바이오가스 (배재호 외 4명 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