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

 1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
 2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2
 3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3
 4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4
 5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5
 6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6
 7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7
 8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8
 9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9
 10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0
 11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1
 12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2
 13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3
 14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4
 15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5
 16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6
 17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7
 18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8
 19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19
 20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평가] 평가도구 제작 -국어 & 생활국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평가 문항 개발 계획
3. 평가문항 분석
4. 결론 및 논평

본문내용
1. 서론

교육평가는 교육의 부분적 과정으로 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더불어 교육평가가 교육의 모습을 결정하는 실질적인 모습도 그려볼 수 있다. 즉, 학생평가 방법이 어떤가에 따라서 교수 및 학습 방법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평과결과가 교육의 이해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자 교육평가가 지니는 교육 조형의 기능이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형 기능을 전제할 때, 평가는 조직체의 건강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평가를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학습 성취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비 교사를 꿈꾸는 사범대 학생으로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보다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교육평가를 실현하기 위해 평가도구를 제작해 보았다. 총 9명의 조원들이 함께 하였으며 9명 모두 한국어교육과에 재학 중이다. 따라서 9명이 제작한 본 평가도구 대상은 국어로, 중학교 1학년 2학기 국어와 생활국어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본론에서는 평가도구 제작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평가도구 범위, 각 문항들의 난이도, 난이도 설정 이유, 목표, 출제 의도 등이 그러하다. 또한 제작한 평가도구 각각에 대한 논평을 게재함으로써 단순한 평가도구의 제작에서 끝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 평가 문항 개발 계획

2.1. 단원설정의도

우리 조는 중학교 1학년 2학기 국어, 생활국어를 선정하였고 교과서는 지난 교육과정 교과서인 국정 교과서를 택하였다. 현재 시행 중인 교육과정 하에서는 교과서가 출판사마다 너무 다양하여 이에 따른 선정의 어려움이 있었다. 물론 현재 시행 중인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사용하는 것도 의미가 있겠지만 우리는 국정 교과서를 바탕으로 평가지를 제작하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었다. 국정 교과서는 우리 조원 모두가 실제로 중학교 때에 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교과서이다. 당시에 우리 모두가 학생의 입장에서 수업을 듣고 평가를 받은 것과는 반대로 직접 교사의 입장이 되어서 평가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익숙한 교과서를 놓고 학습과 평가라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반된 역할을 모두 해볼 수 있어 매우 색다른 경험이었다.
또한 우리 조는 시험 범위로 중학교 1학년 2학기 국어 4, 5, 6단원을, 생활국어에서는 4, 5단원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시험 범위는 시험 중에서도 기말고사에 해당한다. 딱딱한 비문학보다 문학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더 흥미롭다는 의견에 모든 조원들이 일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문학작품이 많이 수록되어있는 단원인 4, 5, 6단원을 선정하였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1학년 2학기의 중간고사는 1, 2, 3단원, 기말고사는 4, 5, 6단원으로 나누어져 우리 조는 기말고사 문제를 출제하기로 하였다. 생활국어 역시 1, 2, 3단원은 중간고사, 4, 5, 6단원은 기말고사로 나누려 하였으나 실제 국어수업에서 국어 교과서 진도를 나간 후에 생활국어의 진도를 나간다는 실제 교육 현실을 고려하였다. 국어 4, 5, 6단원이 문학작품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수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생활국어는 6단원 진도를 다 나가지 못할 것 같다고 결론을 지어 생활국어는 4, 5단원만을 시험범위로 포함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