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

 1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
 2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2
 3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3
 4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4
 5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5
 6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6
 7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7
 8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8
 9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9
 10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0
 11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1
 12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2
 13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3
 14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4
 15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5
 16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6
 17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7
 18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8
 19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19
 20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듣기 교재의 분석 -각 대학별 교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듣기 교재 현황 및 교재 분석의 필요성
2. 분석 대상
3. 분석의 틀
3.1. 외적 구성 분석
3.2. 내적 구성 분석
3.3. 분석 방법
4. 분석의 실제
4.1. 외적 분석 결과
4.2. 내적 분석 결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교재란 무엇인가? 교재는 교육자와 학습자 양자 모두에게 주요한 교수-학습 도구이며, 그 이면에 교육 목표와 교육 철학, 교육 기간의 교육 정책 등을 포함한다. 조항록(2003)은 ‘교재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하에서 실제의 교육 내용을 담고 교사와 학습자 간의 교육의 매개체이며 대상이 됨으로써 교재는 교육과정, 교수요목과 밀접히 연관된다’고 하였다. 즉 교재는 어느 한 단면만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수업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서종학・이미향(2007)은 교재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정된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진 교육 내용을 교육철학과 함께 교사와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물리적 실체로, 교육 정책을 추구해 나가는 총체적 도구’라고 정의하였다.
한국어를 가르치고자 하는 교사에게 교재가 없다면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것이다. 매 수업마다 교재 없이 수업을 준비한다는 것은 망망대해에서 떠다니는 부표가 된 기분일 것이다. 교사는 교재를 통해 수업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가르칠 요목들을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 전략을 짤 수 있다.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 또한 교재를 통해 수업의 내용과 순서를 알 수 있다. 이처럼 교재는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학습의 지침이 되는 중요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듣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현재 각 기관마다 듣기 교재를 어떤 구성으로 만들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Ⅱ. 본론
1. 한국어 듣기 교재 현황 및 교재 분석의 필요성

대학교에서 나온 듣기 전용 교재로는 연세대학교의 「한달완성 한국어 듣기」(2006), 「대학생활을 위한 한국어 듣기」(2012),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한국어 듣기」(2012), 이화여재대학교의 「대학 한국어 : 말하기, 듣기」(2008)가 있으며 그 외 기관에서 나온 교재로는 서울한국어아카데미의 「생생 한국어 듣기」(2007), 국립국어원의 「초급 한국어 듣기」(2012), 개인저자로는 김중섭 외의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듣기」, 이해영의 「초급 한국어 듣기」, 오미라의 「한국어듣기교재」(1998), 조재희・오희남의 「korean listening skills)(2008) 등이 있다. 해외교재로는 북경어언대학의 「신기초 한국어청력」(2007) 등이 있다. 의사소통교수법이 부각된 이후 듣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특히 2000년대 후반에 오면서 듣기 전용 교재가 많이 나오고 있다.
듣기 교육의 활동은 매우 다양한 전략에 의해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교재 분석을 통해 어떤 점이 잘되어 있고 어떤 점이 부족한지 각 항목별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교재 개발을 위해서는 어떤 요소가 필요한 지를 파악하는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2. 분석 대상
이번 연구에서는 연세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1~6급, 고려대학교 한국어교재 1~5급, 경희대학교 한국어 교재 초급 1~2 중급 1~2, 이화여자대학교 5급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듣기 전용 교재가 아니기 때문에 각 기능별 활동 중 듣기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3. 교재 분석의 틀
3.1. 외적 구성 분석
< 표 1 > 듣기 교재의 외적 구성 분석 항목

범 주
내 용
교재의 내구성
책이 튼튼하고 외관은 보기 좋은가?
가격 적절성
교재의 가격은 적절한가?
구입 용이성
교재는 어디서나 쉽게 구입할 수 있는가?
학습자, 교사
이용 편의성
어휘목록, 색인, 컨텐츠 맵,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사용이 편리한가?
배치가 명료하여 책에서 원하는 바를 쉽게 찾을 수 있는가?
교재선택 용이성
저자, 기관정보가 명시적인가? 개발자의 교수적 특성 정보 있는가?



참고문헌
한국어교재론, 서종학・이미향, 태학사, 2007
한국어교재연구, 안영수, 하우, 2008
한국어이해교육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형설출판사, 2009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조항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3
일본에서의 한국어 듣기 교재 분석 연구, 마쯔자키 마히루, 언어연구, 2008

[참고교재]
FUN! FUN! 재미있는 한국어1~5,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교보문고, 2010
연세 한국어1~6,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말이 트이는 한국어 5, 이화여자대학교, 2006
한국어 초급・중급, 경희대학교, 20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