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

 1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1
 2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2
 3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3
 4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4
 5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5
 6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6
 7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7
 8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8
 9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9
 10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10
 11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11
 12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12
 13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교육론] 조선후기 사설시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선 시대 사설시조 작품 분석
1.「나모도 바히돌도~」
2.「어이 못 오던다~」
3.「창(窓) 내고자 창을 내고자~」
4. 세 작품 비교하기

Ⅲ. 사설시조의 교육 방안

Ⅳ. 평가 문항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1. 고전문학 및 시조 교육의 필요성

우리가 문학 작품을 읽고 교수-학습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그 중에서도 문학작품은 역사와 달리 당대 삶의 모습을 재현하고 역사 구성원들의 생각과 삶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점들이 확장되다 보면 삶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도 가능해지고, 문학에 대한 유의미적인 경험도 확대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즉 시조교육 - 사설시조의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민족의 삶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다른 문학 작품부류와 달리 사설시조가 가지는 문학 교육의 필요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즉 ‘왜 사설시조인가?’에 대한 물음과 이에 대한 답변은 사설시조가 가지는 장르적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운문문학은 시적 화자의 정서를 정제된 형식 속에 담아내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 정제된 형식이란 장르마다 각양각색이다. 그 중에서 평시조와 사설시조는 初-中-終章의 3章 형식으로 완결하고, 3장으로 완결하기 위해 종장의 첫마디를 3음절로 제한하고 있다. 김학성의 견해에 따르자면 특히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기본틀을 유지한 채로 말을 촘촘히 역어 짜나가는 서술 확장의 방식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설시조의 갈래 특성을 바탕으로 개별 문학 작품에 담겨있는 보편적인 정서와 감동을 우리는 교수-학습의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특히 자신의 감정을 매우 짧은 형식으로 또는 SNS나 전자기기를 통해 단순하게 표현하는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사설시조에 담겨있는 표현정신을 배운다면 학생들도 문학의 다양한 기능을 배우고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사설시조 교육의 목표를 크게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사설시조 교육목표
1. 사설시조 갈래의 형식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사설시조의 갈래적 특징
2. 작품에 담긴 화자의 사상과 정서에 공감할 수 있다. ⇨ 문학으로서의 보편성



2. 사설시조에 대하여

1) 문헌상의 첫 기록

사실 사설시조는 김천택이 18세기 전반에 편찬한 『청구영언』에 만횡청류(蔓橫淸類)라는 항목으로 맨 마지막에 116首를 따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그 序文은 다음과 같다.

蔓橫淸類 辭語淫哇 意旨寒陋 不足爲法 然其流來也己久 不可以一時廢棄故 特題干下方
(만횡청류는 노랫말이 음왜하고 뜻이 한루하여 모범으로 삼을 만하지 않지만, 그 유래가 오래되어서 하루아침에 버릴 수는 없는 것이니, 특별히 아래에 題하여 둔다)

이 서문을 통해 만횡청류가 당대의 가곡 표준에 어긋나서 모범으로 도저히 삼을 수 없는 작품군이지만, 그 기원과 전승의 역사가 상당히 오래되어서 쉽게 폐기하기 어려운 부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각종 문헌 기록에서 그 기록을 찾기는 쉽지 않다.

2) 특징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전체에서 초 ․ 중 ․ 종의 3장으로 되어 있는 것은 평시조와 같으나, 종장의 첫째마디가 3자를 지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느 장의 어느 마디든지 마음껏 길어질 수 있으며, 그 길이에 제한이 없듯이 정해진 통일성도 없어서 작품에 따라 그 길이가 매우 다양하다는 점이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이다.
사설시조가 무엇인가 명확하게 규정하려면 필요조건인 형식에 머무르지 말고 충분조건인 내용을 더욱 중요시해야 한다. 외형상의 요건만 갖춘 것은 광의의 사설시조라고 하고, 내질에 해당하는 요건까지 갖춘 것은 협의의 사설시조라는 용어 구분이 필요하다. 의고적인 어법을 버리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바를 구체적으로 열거하면서 비속한 언사를 즐겨 사용한 것이 내질의 요건이다.
한편 사설시조는 그 형태의 특이함 못지않게 내용 또한 다양하다. 내용적인 분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남녀 간의 애정을 다룬 내용(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과 사회와 신분제도에 대한 비판과 풍자, 익살과 재담이 담긴 내용 등 현실적인 주제를 생생하게 묘사한 것들을 공통적인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참고문헌
-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2009).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2011). 『국어과 교육과정』
김대행,「Ⅳ. 고전시가」,『한국문학강의』, 2010.
조동일,『한국문학통사』3 (제4판), 2010.

- 학술지
고정희,「사설시조의 장형성과 이행기 문학의 의의」, 󰡔고전문학과 교육󰡕 10.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8.
김학성,「辭說時調의 敍述特徵과 現代的 繼承」, 󰡔어문연구󰡕 14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염은열,「시조 교육의 위계화를 위한 방향 탐색」, 『고전문학과 교육』 8, 월인, 2004.

- 논문
변승구, 「長時調의 開放性 硏究」,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008.
이수곤,「사설시조의 통속문학적 성격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64쪽
임혜빈,「사설시조 교육의 반성과 개선방안 - 제7차 문학 교과서 학습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