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

 1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1
 2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2
 3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3
 4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4
 5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5
 6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6
 7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7
 8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8
 9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9
 10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10
 11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5절 : 지석묘 문화의 지역적 특성
1. 금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
2. 영산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
3. 보성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
4. 전남 남해안 지역의 지석묘 문화
5. 제주도 지석묘의 특징

▶ 6절 : 지석묘 사회의 영역권과 마한
1. 밀집 분포지로 본 생활영역권
2. 마한 관련 문헌의 고고학적 검토
3. 밀집 분포지와 마한 소국 비정지와의 비교 검토

▶ 7절 : 지석묘 사회의 복원 문제
1. 축조와 인력 문제
2. 제의와 장법 문제
3. 지석묘 사회 구조와 그 성격

본문내용
고고학Ⅰ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5장 5절~7절


▶ 5절 : 지석묘 문화의 지역적 특성

1. 금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
- 대표유적 : 부여 송국리 주거지를 비롯한 송국리 석관묘, 부여 연화리· 구봉동·대전 괴정동, 장수 남양리 등 (초기유적~후기 유적까지 분포)
- 금강유역은 중하류에 비옥한 평야 지대 형성, 상류 쪽은 산악지대로 분지형 평지 발달함. 청동기 시대의 문화가 가장 번영한 지역 중 하나.
- 금강유역에서의 묘제는 지석묘, 석관묘, 토광묘, 옹관묘 등이 있지만 그리 활발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음. 금강유역의 지석묘는 형식상 탁자식과 기반식이 혼재되어있음. 석검과 석촉의 부장풍습에서 볼 때 남쪽인 고창지반이나 영산강 유역에는 드물게 발견되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인접한 남한강 유역의 지석묘아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음.



- 대표유적 : 광주 송암동과 영암 장천리 등의 주거지, 화순 대곡리와 함평 초포리의 적석석관묘
- 영산강 유역은 중하류 지역에 저평한 구를성 평지가 형성, 상류로 갈수록 분지형 충적평지 발달함.
-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된 묘제는 지석묘가 중심이며 일부 석관묘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음. 영산강 유역의 지석묘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빈약한 출토유물을 보이고 있음.(지석묘의 대표적 부장유물은 석검과 청동기, 옥인데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빈약) 석실 구조에 있어서도 지상석관형, 석관형, 석곽형이 있지만 석관형이 주를 이루며 유물이 없거나 빈약한 것이 특징. 영산강 유역에서 부장유물이 발견된 것을 보면 석곽형 석실이거나 소위 탁자식 지석묘에서 출토되고 있음.




3. 보성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
- 보성강 유역은 소백산맥의 영향으로 산악 지대를 형성하고 있고 곳곳에 충적평지가 있음.
- 섬진강·보성강 유역의 청동기 시대 묘제는 지석묘가 압도적이며, 옹관묘 1기가 알려져 있고 지석묘 주위에서 석관들이 발견되고 있음. 지석묘의 형식은 기반식과 개석식이 있지만 개석식이 주를 이룸. 석실 구조에서도 석곽형이 주를 이루고, 석관형, 토광형, 위석형 등 모두 나타남. (이 지역에서 많은 지석묘가 발굴됨으로 해서 각 유적 간의 비교 검토를 통해 당시 사회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됨)
- 섬진강·보성강 유역의 지석묘 특징은 협소한 계곡을 따라 지석묘군이 배치되어있다는 점, 지석묘군 사이에서도 부장유물이 풍부하게 출토되는 곳이 있다는 점, 지석묘의 변천을 추론할 수 있는 유적의 존재, 석검 부장풍습의 성행, 일부 유적에서의 청동기와 옥의 출토, 석곽형과 위석형 석실의 유행 등을 들 수 있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