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

 1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1
 2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2
 3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3
 4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4
 5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5
 6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6
 7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7
 8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8
 9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9
 10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10
 11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11
 12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12
 13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13
 14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실천신학개론] 계명의 실천을 향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는 말
1. 실천신학의 정의
2. 실천신학의 사상적 배경
3. 실천신학의 역사
4. 실천신학의 학문적 위치
5. 실천신학의 현대적 이해, 범위와 대상
❐ 나가는 말
본문내용
❐ 들어가는 말
신학의 실천적 과제와 글의 방향성
신학은 복음의 메시지가 오늘의 우리의 삶의 여러 측면에 구체적으로 옮겨 뿌리 내리는 일에 기여해야 한다. 만일 신학이 실천과 적용에 무관심하고 이론에만 안주하게 된다면 그것은 공허한 것이 되고 말 것이다. 신학 자체가 실천적 과학이라는 사실은 기독교 신학의 초기부터 그 안에 내재되어 있었던 개념이었다. 성서의 메시지는 듣고 아는 것에서 끝나도 좋을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행에 옮기고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하였다. 아는 것(이론적 측면)에서 더 나아가 행하고 지키는 것(실천적 측면)으로의 확대가 통전 적으로 결합되어져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글은, 실천신학의 정의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한 뒤에, 실천신학의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 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신학의 학문적 위치를 논의한 뒤에, 마지막으로 실천신학의 현대적 이해와 범위 및 대상을 기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에서 다룬 내용들을 바탕으로 실천신학개론 1조의 실천신학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1. 실천신학의 정의

1) D.S. Browning
교회의 생활과 교역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 교회사역 판단, 교회사역 제시
실천신학은 교회의 전반적인 실천에 대한 비판적 평가로서 이루어진다. 적어도 실천신학의 목적은 교회가 하고 있는 것에 대해 판단을 내리려는 시도를 감행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교회가 해야 할 바를 제시해야 한다. 실천신학의 신학적 콘텍스트는 교회와 세계 속에서 하나님이 무엇을 하셨으며 무엇을 하고 계신가를 분별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그리고 자신의 소명에 더욱 신실한 것이라면 교회의 선교를 통해서 하나님이 행하심 직한 방법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실천신학은 하나님의 창조의 전반적인 것과 관계를 맺는 신앙의 기독교적인 증언이라는 관점에서 교회의 생활과 교역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이다.

2) 슐라이어마허
목회 기술을 이루고 있는 체제의 종합, 교회를 유지하고 완전하게 하는 방법
목회자가 할 일은 교회의 여러 가지 관심사들을 통합하고 그 관심 부분들의 각각의 개별성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전체적으로도 그것들을 보다 공고하게 발전시키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 기술을 이루고 있는 체제의 종합이다.
즉 교회를 유지하고 완전하게 하는 방법이다.

3) 칼바르트
설교, 교육, 예배의 성찰과 실천을 위한 학문
설교하고, 교육하고, 예배하고, 이야기를 추구하고, 발견하며, 배우고, 실천하기 위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4) 시워드 힐트너
학문의 자율성
목회 신학이라는 말은 곧 “목양의 관점에서 교회나 목사의 모든 활동과 기능을 보며, 거기서 한 신학적인 질문을 내리는, 신학적 지식이나 연구의 한 가지”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정의를 통해 알 수 있는 목회 신학의 특징은 첫째로, 목회신학이 떳떳한 한 신학의 가지라는 사실이 입증되는 것이다. 이것은 교리 신학 혹은 역사신학 등의 다른 신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목회신학은 논리 중심의 신학이 아니고 차라리 활동 중심의, 혹은 기능 중심의 신학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로 목회신학은 단순한 응용신학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은 목회신학이 성서나 기독교의 교리를 연구해서, 거기서 어떤 원칙을 찾아낸다든지 그 원리가 일정한 활동이나 기능을 수항하는데 응용되도록 하게 하는 학문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