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

 1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
 2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2
 3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3
 4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4
 5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5
 6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6
 7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7
 8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8
 9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9
 10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0
 11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1
 12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2
 13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3
 14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4
 15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5
 16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6
 17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7
 18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8
 19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법영역(체계)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법의 이론
1. 구조주의 언어학
2. 생성주의 언어학
3. 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1). 7차 교육과정 이전 - 전통적 문법 담론
(2). 7차 교육과정 이후 - 지향적 문법 담론
Ⅱ. 2007 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 분석
1. 2007 국어과 교육 과정의 성격
2. 2007 국어과 교육 과정 내 문법 영역의 성격
3. 2007 국어과 교육 과정 내 문법 영역의 목표
4. 2007 국어과 교육 과정 내 문법 영역의 내용과 내용 체계
(1). 내용 체계
(2). 세부 내용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문법의 이론
1. 구조주의 언어학 (Structural linguistics)

-소쉬르(F. de Saussure)에 의해 시작되어 20세기 전반 언어학계를 지배했던 언어 철학 및 언어 연구 방법론
-하나의 체계(System) 내의 어떤 층위에서 요소들이 다른 요소들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것
-개별적인 문법 요소보다는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언어를 설명
-언어는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음성, 형태소, 단어) 사이의 상호 관계와 상호 대립이 중요한 하나의 시스템이자 구조(Structure)

2. 생성주의 언어학 (generative linguistics)
-노엄 촘스키(Noam Chomsky)에 의하여 제안되어지고 발달한 것으로 변형-생성 문법이라고도 함
-문법적으로 옳으며 모든 문장을 생성해 낼 수 있는 언어 규칙을 명시적·수학적으로 형식화
-형식화된 언어 규칙은 인간이 태어나면서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언어 능력, 또는 언어 습득 기제(機制)를 반영하는 것으로 봄
-생성언어학자들은 모든 정상적인 인간이 공유하는 내재된 언어 지식을 지칭하여 ‘보편 문법’이라고 함
-보편문법을 통해 언어의 보편성과 언어와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변이들을 규명할 수 있다고 주장

3. 문법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1). 7차 교육과정 이전 - 전통적 문법 담론
① 독자론
-문법은 언어기능 신장과는 무관하게 그 자체로서 가르칠 가치가 있다고 보는 관점 / 문법 교육은 독자적으로 교수-학습될 필요가 있다고 봄
② 무용론
-문법 능력은 모어 화자가 이미 내재화하고 있는 능력이기 때문에 특별히 명시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관점 / 국어교육의 목표는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며 문법에 대한 학습은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하등의 기여를 하지 못한다고 봄
③ 통합론
- 문법 지식이 그 자체로서는 의미가 없고 언어 사용 기능에 기여하는 부분에 한하여 그 가치가 있다고 보는 관점
④ 봉합론
포괄론은 독자론과 통합론을 완벽하게 아우르지 못했으며 단순히 서로 다른 천 조각을 꿰맨 것에 불과하다는 관점
▣ 더 알아보기 - ‘포괄론’

(2). 7차 교육과정 이후 - 지향적 문법 담론
① 의미 구성으로서의 통합적 문법 교육
‘탐구’ 개념을 계승하여 의미구성으로서의 통합적 문법 교육을 강조
②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
문법 교육의 주된 목표를 언어 인식(awareness)의 신장으로 설정하고 ‘언어의 구성․운용의 원리’ 그 자체를 교육 내용으로 하면서 기능 영역과 통합적으로 교수-학습
③ ‘언어 인식’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육
문법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에 주목하여 ‘언어인식’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육의 태도 연구 담론
④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육
③을 발전시켜 문법인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문법교육에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두루 아우르고자 하는 담론
▣ 더 알아보기 - ‘텍스트 중심의 문법 교육’


국어 교과는 한국인의 삶이 배어있는 국어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미래 지향적인 민족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여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게 하기 위한 교과이다.


‘기능적 문식성의 신장’과 ‘국어 문화의 창조’, ‘공동체의 발전’과 ‘자아 성장’에 중점을 둠

기능적 문식성과 문법 영역은 직접적으로 관련됨.
글자를 해독하여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에 해당하는 기능적 문식성은 문법적인 지식이 없이는 발전하기 어려움이 있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