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

 1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
 2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2
 3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3
 4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4
 5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5
 6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6
 7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7
 8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8
 9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9
 10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0
 11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1
 12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2
 13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3
 14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4
 15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5
 16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6
 17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7
 18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8
 19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19
 20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PBL을 통한 간호사례-임신 중 자궁근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II. CASE 선정동기

III. PBL을 통한 간호사례

IV. 약물과 진단검사

V. 간호과정

VI. References

본문내용
Ⅰ. 연구의 필요성

자궁근종은 가임 연령의 여성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골반종괴중의 하나로 그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다각도로 연구되어 왔다. Katz(1989)에 의하면 임산부 500명당 1명의 비율로 근종과 관계된 합병증으로 내원하였다고 하였고, Rice 등(1989)은 6700여명의 임산부중 1.4%에서 자궁 근종을 발견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임신 중에는 자궁 근종의 진단이 쉽지 않고, 특히 자궁 근종이 작을 경우에는 발견이 되지 않아 실제로는 그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궁근종은 크기와 위치, 수에 따라 임신에 영향을 미쳐 자연유산, 조기진통, 진통장애, 자궁기능부전, 태아의 위치 이상, 잔류태반 및 산후 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조산율에 대한 국내 보고를 살펴보면, 연간 출생아 수가 급격히 감소한 상황에서 조산율은 1995년 4.25%에서 2000년 8.25%, 2003년에는 10.03%까지 크게 증가하였다(구윤희, 2005). 이러한 전체 조산아의 생존율은 89.4%에 그치고, 선천성 기형을 제외한 신생아 사망의 60~80%를 차지하고 있다(황종대 외, 2000). 그리고 생존한다 하더라도 불완전한 폐성숙, 뇌손상 및 저산소증 등 의학적 합병증과 신경학적 손상의 위험성이 높다(강민창, 2004). 따라서 임신 중 자궁근종과 조기진통에 대해 좀 더 연구하고자 case study를 시도하고자 한다.

** 서정호 외(2003). 임신중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임상적 고찰, 순천향의학연구소, 9(1), 64-69.
** 김민경(2007).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변화 요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Ⅱ. 대상자 선정 동기

먼저 분만실에 갔을 때 다양한 질환의 case가 부족하여 고민을 했으나 자궁근종과 조기진통 두 질병 모두 요즘 증가하는 추세이고 산모와 태아에게 큰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두 질환을 함께 가진 산모에게 먼저 관심이 갔다.
조기진통에 대해서는 흔히 봐온 질환으로 공부해봤지만 임신 중의 자궁근종은 임부와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자궁근종과 조기진통 질환이 함께 있을 때 어떤 치료와 간호, 교육이 필요한지 더 알아보고자 case로 선정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신경림 외(2009). 보완·대체 간호중재. 현문사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0). 여성건강간호학 II. 수문사
- 박영숙 외(2010). 여성건강간호학Ⅱ.

- 김민경(2009). 조기진통임부의 입원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변화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pp24-31

- 고정임 외(2009). 조기진통 임부의 신체적 불편감, 정서적 상태 및 간호요구도와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pp280-293

- 한송희(2010). 페퍼민트와 그레이프프루트 아로마오일을 이용한 구강 가글링이 수술환자의 오심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 선춘자(2007). 입덧이 임신부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심정언 외(2006). 복식호흡이 조기진통 임부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2), 106-114.

- 서정호 외(2003). 임신중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임상적 고찰, 순천향의학연구소, 9(1), 6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