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

 1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1
 2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2
 3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3
 4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4
 5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5
 6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6
 7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7
 8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8
 9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9
 10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10
 11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11
 12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12
 13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탈북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집단 수준의 개입 기반

2. 사회적응의 개념



III. 본론

1. 문제의 형성 및 목표설정

2. 탈북청소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3. 프로그램에서 기대되는 효과


IV.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탈북자 강제 북송 반대 문제가 대두되면서 한국 사회에 탈북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00년 이후 본격화한 탈북 입국자 수는 2007년 1만 명이던 것이 불과 3년 만인 2010년 두 배인 2만 명으로 늘어났다. 2012년 4월, 누적인원은 23,568명에 달하며, 중국 등 제3국에서 입국을 기다리는 탈북자도 수만 명을 헤아린다. 이렇게 계속해서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이들의 복지에 대해서 모른 척 할 수만은 없다. 더욱이 한민족 국가로서 통일에 대한 전망을 바라보더라도 탈북자 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북한 사회 실상을 누구보다 잘 아는 탈북자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정착하고, 성공하는 것은 그 자체로 통일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전의 탈북 주민들은 북한을 탈출하여 중국을 거쳐 개별적으로 국내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국내 입국자의 40%는 가족 단위로 입국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 동반의 탈북 주민과 국내로의 유입은 탈북 청소년의 증가로 이어졌는데 2008년 한 해에만 입국한 만 6세 이상 만20세 이하의 탈북 청소년은 전체 탈북 주민의 약 13.5%를 차지한다(통일백서,2009). 탈북 청소년은 수적으로도 늘어나고 있고, 이 시기의 경우 탈북과정에서 불안과 긴장상태를 겪어서 나타나는 심리적 문제점, 남북한 사회문화적 차이에 따른 이질감, 가족 해체와 친인척의 부재에 따른 문제점, 초기 적응기간 이후의 사회적 지원 미비 등과 같은 문제점뿐만 아니라 성인으로의 이행을 위한 고유의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더 큰 혼란을 겪게 된다(박하나,2007).
그러나 정부의 경제적 지원과 일부 인권운동가들의 헌신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탈북자들의 사회 적응을 개인에게 맡긴 나머지 탈북 청소년들이 학업을 중도 포기하고, 한국 정착에 실패한 탈북자들이 제3국으로 떠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적응에 대한 선행연구물은 탈북 청소년들이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홍덕기,2001). 탈북 청소년의 중도 탈락률은 초등학교3.5%, 중학교12.9%, 고등학교28.1%로서 상급학교로 갈수록 비율이 늘어나고 있으며, 중도 탈락률의 사유별 현황을 분석하면 43.7%가 ‘부적응’을 이유로 꼽고 있다(정병호,2004).
탈북 청소년의 과반수는 남․북한의 학제차이, 제3국 체류에 이은 국내체류 기간 동안의 긴 학습 공백, 생활양식의 차이 등으로 우울증에 시달리고 비행을 저지르는가 하면 취학 및 편입 포기에 취업의 어려움까지 가중되면서 특히 이들의 사회 부적응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학교에서 탈북 청소년들은 북한과 다른 학생들의 이질적인 문화 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방법, 내용체계 등이 많이 달라 적응하는 것이 쉽지 않고 실제 학업 부진으로 이어진다(조영달,2006).
‘나는 학교에서 투명인간 - 새터민 왕따 학생의 눈물’, ‘탈북 청소년, 생활양식 차이로 학업포기에 우울증까지’ 등의 여러 기사로도 알 수 있듯이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는 탈북자에 대한 차별이 상존하고 있다.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제대로 융합하지 못하면 본인이 불행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을 탈북 청소년으로 정하고 이들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집단 수준의 개입의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 단행본
양옥경 외(2010) 『사회복지실천론』, 나남
․ 학술지, 논문, 기타자료
국가인권위원회(2010),탈북여성의 탈북 및 정착과정에 있어서 인권 침해 실태조사
조영달(2006), 다문화 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통일백서(2010), 2010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통일백서(2009), 2009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홍덕기(2001), 탈북 귀순 청소년의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병호(2004), 탈북 이주민들의 환상과 부적응 : 남한사회의 인식혼란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0)1, pp.33-62.
박하나(2007),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탈북청소년의 경험이해: 초입 중학생의 평가 경험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정호(2011),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질적연구, 인하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김희경(2004),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개입전략: 동기․능력․기회 이론적 관점에서,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논문
최성례(2005), 타로카드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기노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학전공 석사학위논문
홍후조(2002), 학습의 실제성 증진과 프로젝트 학습: 간접·가상경험과 직접·실제경험의 효과적인 연계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학습, 교육과정연구, 20(1), pp. 155-182
․ 웹사이트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http://www.hub4u.or.kr/hub/main.do
탈북민자립지원센터 http://www.nkrcenter.org/
동아일보, [2040 열린포럼 ‘할 말 있습니다’]탈북자 2만3000명 시대, 어떻게 더불어 살 것인가, 검색일자: 2012.5.30
http://news.donga.com/3/all/20120523/46446943/1
문화일보, 100회 맞은 탈북자 北送반대 집회와 ‘물망초’ 출범, 검색일자: 2012.5.30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052301033937026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