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

 1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1
 2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2
 3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3
 4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4
 5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5
 6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6
 7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7
 8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8
 9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9
 10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10
 11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활동휴식 -대구성, 엽산결핍, 재생불량성, 지중해성 빈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구성 빈혈
①. 원인
②. 임상증상
③. 진단검사
④. 치료와 간호

2. 엽산결핍 빈혈
①. 원인과 위험요인
➁. 임상증상
➂. 진단검사
➃. 치료와 간호
cf) 관련기사

3. 재생불량성 빈혈
➀. 원인
➁. 병태생리
➂. 임상증상
➃. 진단검사
➄. 치료
➅. 간호진단
➆. 간호
cf) 관련기사

4. 지중해성 빈혈
➀. 특징
➁. 병태생리
➂. 임상증상
➃. 진단검사
➄. 치료
cf) 관련기사, 뉴스

본문내용

▶ 학습목표

1. 대구성 빈혈의 원인 및 임상증상을 설명할 수 있다.
2. 대구성 빈혈의 치료 및 간호를 기술할 수 있다.
3. 엽산결핍성빈혈의 정의를 알고 간호를 기술할 수 있다.
4. 적혈구 부족과 관련된 재생불량성 빈혈의 치료와 간호를 기술할 수 있다.
5. 지중해성의 정의를 알고 알파, 베타 지중해성 빈혈을 구분할 수 있다.


< 빈혈질환의 진료환자 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빈혈 건강보험 실 진료환자 수는 44.2만명으로, 7년 전인 2001년(27.5만명)에 비해 60.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매년 증가하고 있는 빈혈들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알아보자.


1. 대구성 빈혈 (Macrocytic anemia)

: DNA 합성 결함과 적혈구의 비정상적인 성숙으로 인해 형태가 변화된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이 대구성 빈혈의 대표 서양인의 0.13~0.2% 빈도로 발병, 한국은 드뭄


①. 원인
- 자가면역반응, 위벽세포의 소실, 위절제술, 위암, 채식주의자
- 생선 촌충류(좌우 대칭의 납작한 편형동물)의 침입, 회장의 흡수장애
- 핵 합성에 필요한 비타민 B12와 엽산 결핍
- DNA 합성 장애로 인하여 세포의 거대화(거적아구 출현)
- 악성 빈혈 : 위점막 분비선이 위축되어 위벽에서 분비되는 내적 인자가 없어 식이에서 섭취한 B12를 흡수하지 못함 → 비타민 B12 결핍

②. 임상증상
- 빈혈 증상 : 두통, 허약, 피로, 체중 감소, 권태, 가벼운 황달, 창백한 피부, 청색증
- 신경계 증상 : 진동 감각의 상실(진단에 중요한 단서), 손과 발의 지각이상, 마비,
보행장애, 혼란, 치매
- 위장관계 증상 : 위장 위축, 위산과 효소 분비 능력 상실, 소화불량, 오심, 구토, 복통

③. 진단검사
- Schilling test : 위액 분석 검사를 통해 내적인자를 확인하여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진단에 이용
- 혈액검사 : 적혈구 지수 비정상, 적혈구수 2백만/mL 이하, 혈색소 수치 감소,
평균적혈구용적 상승,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정상
- 신경학적 검사 : 진동감각검사
- 골수검사 : 다른 혈액질환 여부 파악을 위함

④. 치료와 간호
- 악성 빈혈을 치료하기 위해 비타민 B12를 평생 동안 규칙적으로 투여함.
-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재발하고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신경계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기 전에 비타민 B12를 투여하는 것이 이상적
- 물리요법으로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지만 신경 손상은 일생 동안 지속됨.

참고문헌
김금순, 김영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일곱째판. 서울 : 수문사. 1022~1024p
전시자 외 9인.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1. p77~78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3(2011). 서울:엘스비어코리아
최정신 외. 내·외과 간호학Ⅲ(2002). 서울:형설출판사
YTN뉴스. http://www.ytn.co.kr/_pn/0413_201108120457106257
네이트 뉴스 . http://news.nate.com/view/20110124n0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