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실염과 크론병

 1  게실염과 크론병-1
 2  게실염과 크론병-2
 3  게실염과 크론병-3
 4  게실염과 크론병-4
 5  게실염과 크론병-5
 6  게실염과 크론병-6
 7  게실염과 크론병-7
 8  게실염과 크론병-8
 9  게실염과 크론병-9
 10  게실염과 크론병-10
 11  게실염과 크론병-11
 12  게실염과 크론병-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게실염과 크론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게실염
1. 정의
2. 원인
3. 증상
4.치료
5. 대장 게실 종류
6. 진단
7. 식이요법

크론병
8. 정의
9. 역학
10. 증상
11. 합병증
12. 감별진단
13. 치료 (외과적/내과적)

Reference

본문내용
게실염과 크론병
0. Intro
이번 피비엘 과제에서 실물자료를 맡게 되었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이번 실물자료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조사해오라고 하셔서 실물자료를 두명이서 맡았다. 실물자료 설명을 들은 후 한 명은 실물자료 설명을 하기로 하였고 나는 우리 모듈에 가장 가까울 것 같은 병을 조사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게실염과 크론병에 대해서 조사를 시작하였고 다른 조원들과 겹칠 수도 있지만 심층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게실염
1. 정의

식도, 위, 소장, 대장의 약해진 장벽이 늘어나 생기는 꽈리 모양의 주머니를 게실 질환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이 대장에 생기고, 대장 중에서도 특히 우측 결장에 잘 생깁니다. 돌출되는 대장벽이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되는 경우를 '가성게실'이라 하고, 근육층을 포함한 장벽의 전층이 돌출되어 주머니를 형성하는 경우를 '진성게실'이라고 합니다. 진성게실은 선천적으로 생기며 주로 한 개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이 우측 대장에 생기고 동양인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가성게실은 후천적이고 여러 개의 게실이 생기며 좌측 대장에 주로 발생합니다. 게실이 있지만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때는 '게실증', 게실에 대변이나 음식물 찌꺼기 등이 끼어 염증을 일으키면 '게실염'이라고 합니다.
대장에 생긴 게실
2. 원인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서 대장의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탄력성도 떨어지고 혈관과 장관의 근육층 사이에 틈이 생겨 차차 넓어 집니다. 또한 변비 등으로 인한 대장의 과도한 수축작용 때문에 대장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대장 벽의 약해진 부분에 주머니처럼 부풀어 생기거나, 장점막이 탈출하여 게실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좌측 대장게실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발생 빈도가 증가하지만, 우측 대장게실은 연령과 관계가 없고, 좌측게실보다 발견되는 연령이 10~20세 정도 낮습니다. 대장게실은 고단백, 고지방, 저섬유질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국가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서양인의 경우 좌측 결장 특히 에스결장에 호발하는 가성게실이 흔하고, 좌측 대장게실이 80~90%, 우측 대장게실이 5~10%이며, 특히 에스상 결장에 발생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에서 50%, 85세 이상에서는 65%에서 게실 질환이 있습니다. 젊은 연령에서 발생하면 중증 질환이 많고 조기에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합병증이 자주 발생합니다. 동양인의 경우 대장게실증은 좌측 대장보다 우측 대장이 6~8배 정도 많이 발병합니다. 대부분이 선천성, 진성형, 단발성 게실로 생각되는데, 맹장 혹은 회맹관 근처에 호발합니다. 그러나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인구의 고령화로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도 대장게실 질환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양상도 서구인과 비슷하게 좌측 대장게실 질환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기 등의 섬유 성분이 적은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일수록 변비와 대장게실의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대장벽의 특정 부위가 선천적으로 약한 경우 대장 안의 압력이 증가하면 이 부위가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게실이 생기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참고문헌
1. 국민건강정보포털 health.mw.go.kr

2."Diverticular disease". Umm.edu. 2008-08-29. Retrieved 2010-02-10.

3. Lee, Kyoung Ho; Lee, Hye Seung; Park, Seong Ho; Bajpai, Vasundhara; Choi, Yoo Shin; Kang, Sung-Bum; Kim, Kil Joong; Kim, Young Hoon (2007). "Appendiceal Diverticuliti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Tomography 31 (5): 763–9. doi:10.1097/RCT.0b013e3180340991. PMID 17895789.

4.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loproctology 2007;23:305-311 대장게실질환의 발생양상 및 치료 문병철ㆍ김한선

5. Crohn's Disease National Digestive Diseases Information Clearinghouse

6. Crawford JM. "The Gastrointestinal tract, Chapter 17". In Cotran RS, Kumar V, Robbins S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ition. W.B. Saunders and Company, Philadelphia,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