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

 1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1
 2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2
 3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3
 4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4
 5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5
 6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6
 7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7
 8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8
 9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9
 10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10
 11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11
 12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12
 13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13
 14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 봉건시대 영화 노틀담의 꼽추(THE HUNCHBACK OF NOTREDAME)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 소개

2. 줄거리

3. 제작 배경
(1) 작가 위고의 사상과 집필 당시의 시대상
(2) 영화 제작시기 프랑스의 시대상

4. 시대적 상황
(1) 절대왕정 이전의 유럽
(2) 중세 도시의 형성과 발전
(3) 루이 11세의 왕권강화

5. 영화 VS 역사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영화 소개

영화 는 프랑스의 낭만파 작가 빅토르 위고의 소설인 을 영화화한 것이다. 위고는 이 작품에서 종래의 억압된 가치관이나 사회제도의 모순에서 벗어난 인간 중심의 감정과 정신세계를 보여주려 했다. 작품 속에 나오는 부랑자·집시 같은 비천한 신분에 대한 동정과 불의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위고는 작품 발표 당시 ‘민중의 보호자’라는 명성을 얻었다. 원작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 역시 역동적이고 화려한 고딕 성당의 그늘에 가려 있던 도시의 소외 계층을 조망하였다. 그리하여 중세 도시를 배경으로 특별한 생계 수단 없이 마술이나 연극 공연 등으로 살아가며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범법자로 오인받기 일쑤인 도시 하층민들의 삶을 화면에 담아냈다. 이 밖에 중세의 파리 시가지 모습이 잘 재현되어 있어 중세 도시의 생활상을 유추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줄거리

중세시대 마녀사냥이 판을 치던 무렵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인 프롤로는 집시여인인 에스메랄다가 춤추는 모습을 보고 격렬한 욕정에 휩싸인다. 그는 자신의 심복인 콰지모도를 시켜 에스메랄다를 납치해오도록 한다. 납치 도중 에스메랄다는 미남 근위 순찰대장 피버스에게 구출되고 콰지모도는 공개 태형을 당하게 된다. 이때 에스메랄다는 목마르고 지친 콰지모도에게 물을 주는데 이를 계기로 콰지모도는 에스메랄다를 사랑하게 된다. 한편 구출당시 자신을 구해준 피버스에게 마음을 뺏겨 버린 에스메랄다는 피버스와 사랑을 나누고자 한다. 이 사실을 안 프롤로는 피버스에 대한 질투심으로 에스메랄다의 칼로 피버스의 등을 찌른 뒤 그녀에게 살인 누명을 씌운다. 이 과정에서 마녀로 몰린 에스메랄다는 화형을 선고 받는데 그녀를 구하고자하는 거지들과 시민들로 인해 일이 커지자 군대가 개입하게 되고 결국 에스메랄다는 죽게 된다. 콰지모도는 그 배후에 프롤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프롤로를 탑에서 밀어 살해한다. 몇 해 뒤, 처형당한 사람들 뼈를 보관하는 납골당에 어느 이상한 뼈가 발견된다. 등이 굽은 뼈가 한 여자의 뼈를 소중히 안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겨 그 뼈들을 건드리는 순간 두 뼈는 아스러져 버린다.

3. 영화의 제작 배경

(1) 작가 위고의 사상과 집필 당시의 시대상

프랑스 대혁명 이후 로베스 피에르의 공포정치 등 10년간 빈번한 정권교체를 겪은 프랑스는 이윽고 나폴레옹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나폴레옹 집권기가 막을 내리자 프랑스는 러시아 전쟁에서의 패배 후유증과 7월 혁명 등의 급변하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또 다른 사회혼란을 맞았다. 이러한 역사적 전개 안에서 빅토르 위고는 1831년 『Notre Dame De Paris』를 발표하였다. 19세기 전반 프랑스의 정치적 자유주의는 왕권, 교권, 영주들의 권력 등 절대 권력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는 동시에 봉건적 사회질서 즉 신분상의 불평등, 봉건적 생산관계 등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는 데 기본 목적을 두었다. 특히 ‘자비’를 외치며 걸식하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나타나는 것을 감안할 때 당대의 복지에 대해서 재고할 여지가 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프랑스에서도 공공위생분야를 제외하면 사회복지정책이라 볼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제2공화국(1848~1852년)에 들어와 상조회가 생기고, 공무원, 군인과 극빈자 등을 위한 일종의 사회보장제도가 실시되었으나 실패로 돌아가고, 1880년 이후에 체계적인 사회보장의 필요성이 사회적 여론으로 대두된다.
위고 역시 7월 혁명 이후 인도주의와 자유주의 등 그가 심취하여있던 사상과 정신을 집약한 많은 낭만주의 시와 소설을 완성하는데 이 시기에 이 작품이 완성된다. 작품을 통하여 그는 종래의, 억압된 가치관이나 사회제도의 모순에서 벗어난 인간 중심의 감정과 정신세계를 보여주려 했다. 특히 계급과 지위, 혈연과 도덕 등 어떤 부차적 조건도 갖추지 못한 약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이들에 대한 불의와 억압을 거부하였다. 이렇게 ‘민중의 보호자’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던 위고의 정신과 사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 바로 『Notre Dame De Paris』이다.

(2) 영화 제작시기 프랑스의 시대상

영화가 제작된 시기인 1950년대에는 2차 세계대전을 치르느라 프랑스의 국력이 쇠했으며 해외 식민지와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된다. 제국의 영광을 연장하려는 마지막 노력으로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카리브 해에서 대량의 이민을 받아들였지만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정치적으로도 분열되어, 숙청당했던 자들과, 반공산주의자들, 제 4공화국의 허약함에 환멸을 느낀 사람들이 합류해 반체제적인 민족주의 운동 세력을 구성했다. 1950년 사회혼란기에 만들어진 영화 ‘노틀담의 꼽추’는 빅토르 위고가 중세 말 사회혼란기에 내세웠던 자유에 대한 갈망과 사회개혁의지를 그린 원작『Notre Dame De Paris』와 연관 지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강일휴. 「루이 11세 치세의 왕정과 도시」,『서양중세사연구』. 2002.
김미연. 「프랑스 : 문화테마기행」. 궁미디어. 2010.
김진웅. 『서양사의 이해』. 학지사. 1994.
로버트 O. 팩스턴.『파시즘』. 교양인. 2005.
로베르 들로르.『서양중세의 삶과 생활』. 새미. 1999.
사카이 다케시.『고딕, 불멸의 아름다움』. 다른세상. 2009
아베 긴야.『중세유럽산책』. 한길사. 2005.
앙드레 모루아. 『프랑스사』. 홍익사. 1987.
에디트 엔넨. 『도시로 본 중세 유럽』. 한울. 1997.
윤선자.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6.
윤선자. 『축제의 문화사』. 한길사. 2008.
장 베르동. 『중세는 살아있다 -그 어둠과 빛의 역사-』. 도서출판 길. 2008.
장 베르동. 『중세의 쾌락』. 이학사. 2000.
장 베르동. 『중세의 밤』. 이학사. 1999.
제프리 리처즈.『중세의 소외집단 - 섹스․ 일탈․ 저주 -』. 느티나무. 1999.
조르주 뒤비. 『프랑스문명사』. 까치. 1995.
차용구. 『로마 제국 사라지고 마르탱 게르 귀향하다』. 푸른역사. 2003.
페르디난트 자입트.『중세의 빛과 그림자』. 까치. 2000
프레이저 앵거스.『집시,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갔는가』. 에디터.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