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

 1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
 2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2
 3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3
 4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4
 5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5
 6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6
 7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7
 8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8
 9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9
 10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0
 11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1
 12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2
 13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3
 14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4
 15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5
 16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6
 17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7
 18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8
 19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19
 20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과 통일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표준 발음의 개념과 필요성
1)표준발음의 개념
2)표준발음의 필요성

2. 남한의 표준 발음 규정의 변천
1)1968년 10월~1979년 12월
2)1985년 2월~1987년 4월
3)1987년 4월~1987년 12월
4)1988년 1월~1990년 9월

3. 북한의 표준 발음 규정의 변천
1)1945~1954년
2)1955~1965년
3)1966~1986년
4)1987~2009년
5)2010년~

4. 남한 표준 발음법의 원칙과 특징
1)남한 ’표준 발음법’의 기본 원칙
2)남한 ‘표준 발음법’의 세부 원칙
3)남한 ‘표준 발음법’의 특징

5. 북한 표준 발음법의 원칙과 특징

6. 표준 발음법과 문화어 발음법의 차이

7. 통일 방안 및 제언
1)우선 논의 과제
2)세부 방안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표준 발음의 개념과 필요성
1) 표준 발음의 개념

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 발음법에 대한 개념은 표준발음법 제1장, 제1항에 명시되어 있다. 표준발음법의 개념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다음과 같다.

가. 표준어는 크게 소리 표준어와 문자 표준어로 구별된다. 이 가운데 소리 표준어는 곧 표준 발음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엄격히 말하면 소리 표준어는 고저나 억양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이들의 표기 및 교육상의 어려움 때문에 표준발음이라 하면 대체로 장단의 구별을 포함하는, 어절 발음에 대한 규범화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권인환, 1993)

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한 개인이 언어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사회적 약속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공적인 약속으로 정해진 것이 4대 어문 규범이다. 이 중 '표준 발음법'은 다른 어문 규범과 달리 한국어의 구어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일련의 규정이다. 다시 말해서 원활한 구어적 의사소통을 위해서 표준이 되는 발음을 제시한 것이다. (이규범, 2011b)

다. '표준어'는 현행 표준어 규정에 의해 어형과 발음이 다듬어진 일종의 인공어이다. 따라서 표준어의 발음을 규정하려는 '표준 발음법'은 글자 그대로의 의미가 '표준이 되는 발음법'일지라도 내용 면에서는 '표준어의 발음법'이 된다. 만약 '표준어가 기본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어형과 발음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자연언어의 개념이라면 '표준발음법'은 '표준이 되는 발음법'이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김선철, 2004)

2) 표준 발음의 필요성
현행 표준 발음법은 1988년 1월 19일 당시 문교부에서 고시한 표준어 규정에 포함되어 있고 전부 7장 30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그 역할이 무엇인지 규정 내에 명확히 표현되어 있지 않다. 김선철(2004)에서는 표준발음법을 바라보는 시각을 2가지로 취했다. 첫째,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를 사전에 가려 싣기 위한 지침의 일부로서의 표준어 사정 원칙과 더불어 단어의 발음정보를 정하는 지침이라는 것이다. 이를 '사전적 관점'이라고 명했다. 둘째, 표준 발음법은 하나의 언어로서의 표준어의 음성적 측면을 규정하는 것이라는 시각이다. ‘사전적 관점’과 상대하여 이를 '언어적 관점'이라고 명했다.
참고문헌
강순경, 『북한어 모음체계의 실험 음성학적 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2001.
고영근 편, 『북한 및 재외교민의 철자법 집성』, 서울: 역락, 2000. pp.301~313
국립국어원, 『누리집: 표준 발음법 해설』, http://www.korean.go.kr/09_new/dic/rule/rule02_0201.jsp
―――――, 『북한의 국어사전 분석(Ⅱ)』, 1993.
권인한, “'표준 발음법'과 '문화어 발음법' 규정”, 『새국어생활 3,1』, 국립국어원, 1993.
―――, “발음법의 통일 방안 모색”, 『국제고려학회논문지 3호』, 국제고려학회, 2002.
김민수 편,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2: 실용분야』, 서울: 녹진, 1991, pp.58~73
――― ―,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3: 문헌해제』, 서울: 녹진. 1991. pp.125~131
김선철, “표준 발음법 분석과 대안”, 『말소리와 음성과학: 50』, 한국음성학회, 2004.
북한 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1987.
http://www.tufs.ac.jp/ts/personal/choes/korean/nanboku/gyubeom87_4.html
북한 언어문학연구소 편, 『조선어문법 1: 어음론.형태론』, 서울: 大堤閣, 1991. pp.91~101
이규범, “국어 규범 교육을 위한 ‘표준 발음법’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a.
―――, “표준 발음법의 구성체계 검토-[붙임]과 ‘다만’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9』,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b,
이봉원, “남북한 어문 규범과 그 통일 방안-남북 표준 발음의 통일 방안”,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학회, 2003.
이은정, 『남북한 어문 규범 고찰』, 서울: 백산출판사, 1996.
이진호, "국어 표준 발음법의 제정 과정", 『어문학 제100집』, 한국어문학회, 2008
최용기,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1.
최호철, “북한 「조선말규범집」의 2010년 개정과 그 의미”, 『어문논집: 65』, 민족어문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