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

 1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
 2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2
 3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3
 4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4
 5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5
 6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6
 7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7
 8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8
 9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9
 10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0
 11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1
 12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2
 13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3
 14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4
 15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5
 16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김승옥 `서울1964겨울`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1. 「서울, 1964년 겨울」
1.1. 김승옥
1.1. 서울, 1969년 겨울

1. 어떻게 가르쳐 지고 있는가?
1.1. 교과서 분석- (주)천재교육 문학(하)를 중심으로

1. 어떻게 가르쳐야 하겠는가?
1.1. 학습자 분석
1.1. 교수-학습 지도안

1.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김승옥의 소설은 감각적인 문체, 언어의 조응력, 배경과 인물의 적절한 배치, 소설적 완결성 등 소설의 구성 원리 면에서 새로운 기원을 열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4.19의 열광적인 분위기를 문학적 언어로 환치시키면서 전후세대 문학의 무기력 증을 뛰어넘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높다.
여기에서는 김승옥의 단편 「서울, 1964년 겨울」을 통해 근대화 과정에 들어선 60년대적 상황에서 개인이 현실에 대응하며 존재양상을 형성하는 모습과 함께 그는 이 시기에 부각된 개인 존재의 문제를 '자기세계'의 문제로 풀어나가고 있다. 그가 '자기세계'에 천착하여 보여주는 양상들은 구체적으로는 그것을 탐색하는 과정과 산업사회로의 진입 과정에서 대두되는 개인의 소외·가치관의 갈등양상에 주목하는 작업에서 밝혀질 것이다.
, 「서울, 1964년 겨울」이 고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어떻게 가르쳐 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학 교육의 본연의 목표 및 의의와 「서울, 1964년 겨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가르쳐 져야 할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서울, 1964년 겨울」

2.1. 김승옥


김승옥은 기존 체제를 무너뜨린 4·19의 영향으로 자신의 주위 환경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개인의 내면을 중시하여 「자기세계」를 발견한다. 그러나 서구에서 이식된 자유주의, 개인주의의 영향과 4·19의 좌절, 군사정권의 독재라는 어두운 현실 속에서 발견한 「자기세계」는 자신의 본래적 자아, 순결한 영혼에 해를 가하는 자기 파괴에 의해 구축된 것이었다. 이런 「자기세계」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공업화로 사회가 급변하고 가치관이 무너지는 현실에서 자기 파괴를 계속 자행하고 결국 순수를 상실하고 만다. 그리고 순수의 상실을 통해 「자기세계」를 확립하였던 것이다. 그렇지만 순수가 상실한 사람들은 사회에서 자신의 고유한 존재 의미를 잃고 소멸되어 버린 모습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다.
개인의 발견과 함께 김승옥이 60년대 소설에 남긴 점은 한글 문체의 개척이다. 한글세대로서 모국어의 가능성을 열어 보이며 대상에 감성을 불어넣었다. 이는 감각적 언어 구사와 문법의 교란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김승옥의 의도와 관련된다. 하지만 서구의 번역문의 파생이라는 한계를 가져왔다.
존재의 의미의 상실과 서구 번역문의 파생이라는 한계를 지니지만 김승옥은 자신의 체험, 특히 1960년대 사회의 상황을 나름대로의 상상력을 통해 소설 속에 형상화하였고, 이는 감수성의 획득이란 그가 가진 독특한 언어미학에 힘입어 나타난다. 감수성으로 그는 교훈적, 추상적인 관념의 1950년대 소설을 훨씬 뛰어넘고 60년대의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문학(하). 홍신선, 박종성, 김강태. (주)천재교육, 2004.
1960년대 소설 연구 (일상, 주체 생산, 그리고 자유). 이호규. 새미. 2001.
한국현대소설의 시각. 장수익. 역락. 2003.
소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현길언. 나남출판사. 1997.

정영훈,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욕망의 발현양상 연구』, 서울대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8.8
정학재, 『김승옥 소설 연구』-인물의 세계 인식과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한양대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7. 6
그 외 인터넷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