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

 1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
 2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2
 3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3
 4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4
 5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5
 6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6
 7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7
 8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8
 9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9
 10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0
 11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1
 12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2
 13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3
 14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4
 15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5
 16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6
 17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7
 18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8
 19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19
 20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독립군부대 의거(봉오동전투), 백야 김좌진장군 의거(청산리대첩), 도마 안중근의사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루쉰공원사건), 이봉창의사 의거(사쿠라다문사건), 한국 근현대사 의거(4월혁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독립군부대의 의거(봉오동전투)

Ⅲ. 백야 김좌진장군의 의거(청산리대첩)
1. 청산리대첩
2. 청산리대첩의 결과 및 의의

Ⅳ. 도마 안중근의사의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Ⅴ. 매헌 윤봉길의사의 의거(훙커우공원사건, 루쉰공원사건, 홍구공원사건)

Ⅵ. 이봉창의사(열사)의 의거(사쿠라다문사건)

Ⅶ. 한국 근현대사(근대사)의 의거(4월혁명)
1. 2․28 데모
2. 3․15 마산선거
3. 마산 2차 의거
4. 4․18 고려대 데모 등 대학가의 항거
5. 피의 화요일
6. 교수단 데모
7. 민권승리의 날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3.1운동 후에 만주지역에서는 많은 독립군이 편성되었는데, 그것을 살피기에 앞서 먼저 그곳에서 항일무장독립군이 형성될 수 있는 배경, 즉 조건들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로 국내에서 항일의병항전의 풍부한 경험을 쌓은 노련한 많은 항일의병장과 의병들이 이곳으로 집결하였다는 사실이다. 충북 유생의병장인 유인석(柳麟錫), 평민 의병장인 홍범도(洪範圖), 평안도의 의병장 조병준(趙秉準).김덕원(金德元) 등을 비롯하여 국내 항일의병항전에서 살아 남은 많은 의병들이 만주로 이동해 들어갔다. 두 번째 배경으로 많은 애국지사들이 이곳으로 망명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애국지사 가운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 사람들은 신민회(新民會)의 회원들이었다. 이들 신민회 회원들은 1909년의 비밀회의에서 서간도에 독립군 기지를 설정하고, 그곳에 군관학교를 창설하여 많은 독립군 간부를 양성해 냄으로써 장차 국권회복을 도모할 것을 의결하였다. 세 번째로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 한국인 장교들의 항일무장 독립군진영으로의 가담이다.




≪ … 중 략 … ≫




Ⅱ. 독립군부대의 의거(봉오동전투)

1920년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부대가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 1920년 6월4일 독립군 홍범도(洪範圖)․최진동(崔振東, 일명 明錄) 부대의 1개 소대가 북간도 화룡현(和龍縣) 월신강(月新江) 삼둔자(三屯子)를 출발하여 두만강을 건너와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에 주둔하고 있던 1개소대 규모의 일본군 헌병 국경초소를 습격, 격파하였다. 당시 일본군은 독립군의 국내 진입전과 대안(對岸)의 활발한 독립군 활동에 대단한 관심을 가지고 방비책을 강구하고 있었기에, 강양동의 전투는 대전투의 도화선이 되었다. 급보를 받은 일본군 남양수비대(南陽守備隊)는 1개 중대를 출동시켜 반격전을 전개해왔다. 독립군사령부는 1개소대를 삼둔자 서남쪽 봉화리(烽火里)에 매복시키고, 약간의 병력으로 총격전을 벌이면서 일본군을 유도하였다. 일본군은 잠복해 있는 독립군부대 앞까지 추격해왔으며, 이 때가 6월 6일 오전 10시였다.
참고문헌
◎ 김용달, 한국독립운동과 청산리대첩,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2005
◎ 김기승, 4월 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0
◎ 윤병석,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의 역사적 의의,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09
◎ 장세윤, 홍범도 장군과 봉오동전투,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1993
◎ 한시준, 윤봉길의사의 홍구공원의거에 대한 중국신문의 보도, 문화체육관광부, 2009
◎ 한시준, 이봉창 의사의 일왕저격의거, 한국역사연구회,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