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

 1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
 2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2
 3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3
 4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4
 5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5
 6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6
 7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7
 8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8
 9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9
 10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0
 11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1
 12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2
 13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3
 14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4
 15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5
 16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6
 17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7
 18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8
 19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19
 20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 본론
Ⅰ.가전
(1) 가전의 개념
(2) 가전의 문학사적 위치
(3) 조선전기 가전의 양상
(4) 가전과 설화
(5) 가전과 소설.

Ⅱ. 몽유록
(1) 몽유록의 개념 및 시대상
(2) 주요 작품 및 작가
(3) 결론
Ⅲ. 금오신화
⑴ 작가소개
⑵ 작품 들어가기 전에 알아둘 사항(전기소설이란)
⑶《금오신화》의 시대적 배경
⑷ 전등신화와의 비교
⑸ 주제에 따른 《금오신화》의 작품분석
⑹《금오신화》의 문학적의의 및 한계점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조선 전기의 문학이란, 조선조의 문학을 전, 후기로 나누었을 때, 조선 건국으로부터 임진란까지의 약 200년간의 문학을 이른다. 조선 시대의 전, 후기로 나누는 것은, 임진란을 경계로 하여 그 전후의 문학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여, 고려 말의 문란했던 기강을 바로잡아 민심을 수습하고 관료 체제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15세기 말엽부터 16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분쟁과 사화(士禍)로 인한 정국의 불안과 민심의 소요는 임진란을 불러들이고 말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학도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조선 전기의 문학은 엄밀히 말하여 훈민정음 창제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전에도 우리말이 있었으나 고유한 문자가 없었으므로, 한자를 빌려서 문자 생활을 하고 문학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한글 사용을 시험 삼아 제작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조선의 창업을 노래한 것으로 악장(樂章) 형식의 대표작이며,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석가의 공덕을 찬양한 노래로, 문학적 가치보다는 어학적 가치에 더욱 의의가 있다.
훈민정음이 차차 보급되자, 그 전까지 한문으로 전해지던 수많은 문헌을 다투어 번역하게 되어 많은 불경류의 번역 사업과 아울러 번역 문학이 성행하였으니, ‘사서(四書)’를 비롯한 유서(儒書)와, ‘능엄경(稜嚴經)’을 비롯한 불전(佛典), 그리고 두보의 시를 비롯한 문학서의 번역 사업이 그것이다.
그리고 짧은 시조 같은 단가 형식으로는 복잡한 작가의 정서를 표현하기에는 부족하였는지, 3.4조 또는 4.4조로 연속되는 ‘가사(歌辭)’가 발생하게 되었다. 성종 때 지어진 정극인의 ‘상춘곡’은 가사 형식을 갖추고 있다.
이제 다루려는 조선전기부터 임란 전까지의 소설문학을 보면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금오신화(金鰲新話)’란 작품이 있다. ‘금오신화’는 한국 고소설의 출발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던 설화, 고려의 패관문학, 가전 등의 서사적 전통 위에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비록 한문으로 지어졌고,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를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소설 형식을 갖춘 작품으로는 효시가 되는 것으로, 현재 남아 있는 5편은 순수한 향토색을 지닌 우수한 창작품이다.
또한, ‘악학궤범’, ‘악장가사’와 같은 가집(歌集)을 편찬하여 구전되어 오던 작품을 정착 시켰으며, 고려 시대에 발생했던 시조문학은 조선조에 들어와 더욱 활기를 띠어 가사와 더불어 조선 시가 문학의 대표적 장르가 되었다.
조선 전기 문학의 특징을 대략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 창제는 진정한 의미에서 의 국문학의 출발을 가져왔으며, 문자 생활의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둘째, 형식면에서는 운문 문학이 주류를 이루어 시조, 악장, 경기체가, 가사 등이 지어졌고, 내용면에서는 유교적인 이념과 상류 사회의 생활이 중심이 되
참고문헌
* 금오신화 참고문헌
1. 구수경, 『한국소설과 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2. 구중서, 『한국문학사론』, 대학도서, 1978
3. 김일열, 『조선조 소설의 구조와 의미』, 형설출판사,
4. 김준영, 『한국 고전 문학사』,형설출판사, 1979.
5. 김하명, 『조선문학사』, 사회과학출판사, 1991
6. 석일균, 『고대소설개론』,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86.
7. 소재영, 『고소설통론』, 이우출판사, 1983.
8. 송현호, 『한국 고전문학의 해설』, 관동출판사, 1995
9. 신상성, 『한국 소설사의 재인식』, 경운출판사, 1988.
10. 신재홍,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1994.
11. 윤경주, 『도해 한국신화와 고전문학의 원형상 특성』, 태학사, 1997
12. 이상익, 『한중소설의 비교문학적 연구』, 삼영사, 1983.
13. 주종연, 『한국 고전 문학 장르연구』, 한신문화사, 1993.
14. 주종연, 『한국 소설의 형성』, 집문당, 1987
15. 차용주, 『한국한문소설사』, 아세아문화사, 1989
16. 최철․설성경, 『설화·소설의 연구』, 정음사, 1984
17. 정홍교 외, 『조선 고대 중세 문학작품해설, 한국문학사, 1996
18.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3
19. 국어국문학회, 『고전소설연구』, 정음사, 1979
20. 한국고소설연구회, 『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1991
21. 한국고전문학연구회, 『고전소설연구의 반향』, 새문사, 1985
* 몽유록 참고문헌
1. 신해진,『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8
2. 소재영,『조선조 문학의 탐구』 아세아문화사, 1997   
3.숭실고전문학연구회,『작품으로 읽는 우리문학』 태학사, 1993  
4.한국정신문화사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웅진출판주식회사, 1991    
* 가전 참고문헌
1.김광순, 『포절군전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