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

 1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
 2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2
 3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3
 4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4
 5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5
 6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6
 7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7
 8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8
 9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9
 10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0
 11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1
 12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2
 13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3
 14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4
 15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5
 16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6
 17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7
 18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8
 19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19
 20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13.09.22
  • 91페이지 / pdf
  • 5,000원
  • 15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BS의 NPS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중심으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그림 및 표 차례 ‥‥‥‥‥‥‥‥‥‥‥‥‥‥‥‥‥‥‥‥‥‥‥‥‥

국문요약 ‥‥‥‥‥‥‥‥‥‥‥‥‥‥‥‥‥‥‥‥‥‥‥‥‥‥‥‥‥


제1장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문제 ‥‥‥‥‥‥‥‥‥‥‥‥‥‥‥‥‥‥‥‥‥‥‥‥‥‥
3
1.3. 연구방법 ‥‥‥‥‥‥‥‥‥‥‥‥‥‥‥‥‥‥‥‥‥‥‥‥‥‥
6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

7
2.1. 영상제작 환경 변화와 NLE 시스템 ‥‥‥‥‥‥‥‥‥‥‥‥‥‥‥
7
2.1.1. 영상제작 환경의 변화 ‥‥‥‥‥‥‥‥‥‥‥‥‥‥‥‥‥‥‥‥
7
2.1.2. 비선형 영상편집 환경의 발달 과정 ‥‥‥‥‥‥‥‥‥‥‥‥‥
9
2.1.3. 디지털 비선형 편집의 특징 ‥‥‥‥‥‥‥‥‥‥‥‥‥‥‥‥
12
2.1.4. 영상의 디지털화와 HDTV ‥‥‥‥‥‥‥‥‥‥‥‥‥‥‥‥
14
2.1.5. NLE 시스템과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
16
2.2. 비선형편집으로 인한 텔레비전 제작 시스템의 변화 ‥‥‥‥‥‥‥
22
2.2.1. 비선형연집에 따른 작업 유연성의 변화 ‥‥‥‥‥‥‥‥‥
22
2.2.2. 방송제작 시스템의 컴퓨터화 ‥‥‥‥‥‥‥‥‥‥‥‥‥‥‥
24
2.2.3. 영상표현 방식의 다양화 ‥‥‥‥‥‥‥‥‥‥‥‥‥‥‥‥
25
2.2.4. 방송제작 인력구조의 변화 ‥‥‥‥‥‥‥‥‥‥‥‥‥‥‥‥
26
2.2.4.1. 기획 및 연출 부문 ‥‥‥‥‥‥‥‥‥‥‥‥‥‥‥‥‥‥‥
28
2.2.4.2. 촬영 부문 ‥‥‥‥‥‥‥‥‥‥‥‥‥‥‥‥‥‥‥‥‥‥‥
29
2.2.4.3. 편집 부문 ‥‥‥‥‥‥‥‥‥‥‥‥‥‥‥‥‥‥‥‥‥‥‥
29
2.3. 외국의 네트워크 프로덕션 비선형편집 시스템 구축 현황 ‥‥‥
30
2.3.1. 미국 CNN의 네트워크 프로덕션 비선형 편집 시스템 구축 분석
30
2.3.2. 일본 NHK의 네트워크 프로덕션 비선형 편집 시스템 구축 분석
33
2.3.3. 홍콩 STAR TV의 네트워크 프로덕션 비선형 편집 시스템 구축 분석
34




2.4. KBS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도입과 제작 시스템의 변화 ‥‥‥‥
35
2.4.1. KBS의 아카이브 구축 및 현황 ‥‥‥‥‥‥‥‥‥‥‥‥‥‥
36
2.4.2. KBS의 NPS(Network Production System) ‥‥‥‥‥‥‥‥‥
37
2.3. 연구문제 ‥‥‥‥‥‥‥‥‥‥‥‥‥‥‥‥‥‥‥‥‥‥‥‥‥‥
41

제3장 연구방법 ‥‥‥‥‥‥‥‥‥‥‥‥‥‥‥‥‥‥‥‥‥‥‥‥‥‥

43
3.1. 심층인터뷰 ‥‥‥‥‥‥‥‥‥‥‥‥‥‥‥‥‥‥‥‥‥‥‥
43
3.2. 심층인터뷰 대상 ‥‥‥‥‥‥‥‥‥‥‥‥‥‥‥‥‥‥‥‥‥‥
44

제4장 분석결과 ‥‥‥‥‥‥‥‥‥‥‥‥‥‥‥‥‥‥‥‥‥‥‥‥‥‥

46
4.1. 비선형 방식으로 인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제작 방식 변화 ‥‥
46
4.1.1. 촬영 방식과 촬영 인원의 변화 ‥‥‥‥‥‥‥‥‥‥‥‥‥‥
48
4.1.2. 녹화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변화 ‥‥‥‥‥‥‥‥‥‥‥‥‥‥
50
4.1.3. 제작/편집 시스템 구성의 변화 ‥‥‥‥‥‥‥‥‥‥‥‥‥‥
51
4.2. 비선형편집 방식으로의 전환으로 인한 제작 기간의 변화 ‥‥‥‥
53
4.2.1. 기획과정에서의 제작 시간 변화 ‥‥‥‥‥‥‥‥‥‥‥‥‥‥
53
4.2.2. 촬영 시간의 변화 ‥‥‥‥‥‥‥‥‥‥‥‥‥‥‥‥‥‥‥‥
55
4.2.3. 편집 시간의 변화 ‥‥‥‥‥‥‥‥‥‥‥‥‥‥‥‥‥‥‥‥
56
4.2.4. 전체 제작 시간의 변화 ‥‥‥‥‥‥‥‥‥‥‥‥‥‥‥‥‥‥
57
4.3. NPS 비선형편집의 프로그램 만족도 변화 ‥‥‥‥‥‥‥‥‥‥‥
58
4.3.1. 영상편집의 기능적 만족도 ‥‥‥‥‥‥‥‥‥‥‥‥‥‥‥‥
58
4.3.2. 영상편집의 내용적 만족도 ‥‥‥‥‥‥‥‥‥‥‥‥‥‥‥‥
59

제5장 결론 ‥‥‥‥‥‥‥‥‥‥‥‥‥‥‥‥‥‥‥‥‥‥‥‥‥‥‥‥

62
5.1. 요약 및 결론 ‥‥‥‥‥‥‥‥‥‥‥‥‥‥‥‥‥‥‥‥‥‥‥‥
62
5.2.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66

- 참고문헌 ‥‥‥‥‥‥‥‥‥‥‥‥‥‥‥‥‥‥‥‥‥‥‥‥‥‥‥‥

68

- 부록 ‥‥‥‥‥‥‥‥‥‥‥‥‥‥‥‥‥‥‥‥‥‥‥‥‥‥‥‥‥‥

73

- 영문요약 ‥‥‥‥‥‥‥‥‥‥‥‥‥‥‥‥‥‥‥‥‥‥‥‥‥‥‥‥

76


표 및 그림 차례

KBS NLE 사업계획 ‥‥‥‥‥‥‥‥‥‥‥‥‥‥‥‥‥‥‥‥
37
KBS NPS 사업 4단계 이후의 변화‥‥‥‥‥‥‥‥‥‥‥
38
KBS의 NLE 비율 및 프로그램 적용률‥‥‥‥‥‥‥‥‥‥‥
40

본문내용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문헌자료 탐색 선행 연구 이론과 방송기록을 참고하고 제작 현장에서 비선형 영상편집을 하고 있는 방송 제작 PD와 방송기술 전문인들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이론들의 선행 연구를 위해서는 방송관련 정기간행물의 자료, 데이터 및 방송장비 개발 보고서 등을 참고할 것이며 국내·외 전문서적과 학위논문을 통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KBS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KBS가 국내 지상파 방송사 중에 유일하게 사내 보편 편집 시스템을 서버형 비선형 시스템으로 전격 교체, 도입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KBS에서도 예능국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 제작 PD들과 방송영상 기술 전문인들, 교양물을 제작하고 있는 제작 PD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현재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다양한 형식의 카메라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편집해야할 분량도 많기 때문에 현재의 비선형 편집과 예전의 선형 편집의 비교가 수월할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강상현. 2000. “지상파 TV의 디지털 전환 배경과 정책과제”. 방송 연구, 겨울호: 7-49.

강정원. 2006. HD 콘텐츠 제작 활성화 방안. 방송위원회: 209-218.

김영덕. 2003. “NHK 아카이브스 그 의미와 전망”. 한국방송진흥원.

김덕일. 2003. 디지털 아카이브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개선 방안.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김대성. 2001. 디지털 영상 편집(비선형)에 관한 연구. 한국다큐멘터리 사 진학회: 57-63.

김대호. 2007. “지상파 디지털 다채널 방송 운영 정책 연구”. 방송과 커뮤 니케이션, 8(2) : 36-58
하고 싶은 말
네트워크 프로덕션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도입 이전이나 도입 시기에는 방송 인력구조의 부문에서 인력이 감소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인건비와 기본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현장에서 연구된 바로는 오히려 촬영 부문의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인건비가 늘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편집 시간의 축소에 기인한 것인데 그에 따라 기획 단계의 전 제작 단계의 시간 또한 늘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놀랍게도 방송 프로그램 제작의 질을 상당히 향상 시켜주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제작자의 프로그램 제작 만족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방송사의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평가나 척도가 경제성이나 운용의 편의성에만 주안을 두기 보다는, 프로그램 제작의 질적 향상이나 제작자의 프로그램 제작 만족도에도 주안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기술 발전의 궁극적인 목표는 그 수단을 사용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수단의 사용으로 결정짓게 되는 양질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넌리니어 편집 시스템이 방송 환경에 어더한 영향을 주었는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