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

 1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
 2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2
 3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3
 4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4
 5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5
 6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6
 7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7
 8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8
 9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9
 10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0
 11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1
 12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2
 13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3
 14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4
 15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5
 16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6
 17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7
 18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8
 19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19
 20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도전과 조광조의 업적 평가 및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종대왕
1) 세종의 생애
2) 세종의 즉위상황
3) 세종치세의 정치철학과 사상
4) 세종대왕의 업적

2. 삼봉 정도전
1) 정도전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정치사상
3) 배불론
4) 평가

3. 정암 조광조
1) 조광조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조광조의 사상
3) 업적 (개혁정책)
4) 평가 및 의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세종대왕

1) 세종의 생애 - 최영은

조선 제4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418∼1450이다. 태종의 셋째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閔氏)이다. 비는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지고, 1412년 충녕대군에 진봉(進封)되었으며,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원래 태종의 뒤를 이을 왕세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이었다. 그러나 양녕대군이 개와 매[鷹]에 관계된 사건을 비롯해, 세자로서의 품위를 손상시킨 일련의 행동과 사건들로 인해 태종의 선위에 대한 마음이 동요되었다. 그래서 태종은 자신이 애써 이룩한 정치적 안정과 왕권을 이어받아 훌륭한 정치를 펴기에 양녕대군이 적합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였다. 태종의 마음이 이미 세자 양녕대군에게서 떠난 것을 알게 된 신료(臣僚)들은 그를 폐위할 것을 청하는 소(疏)를 올려 양녕대군을 폐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기에 이르렀다. 이 때 태종에게는 왕후 민씨 소생으로 양녕·효령(孝寧)·충녕 등 세 대군이 있었고, 양녕대군에게도 두 아들이 있었다. 따라서 그를 폐하고 새로이 세자를 세우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에 세자 폐립에 관해 의론이 분분하였다. 그러나 태종의 마음은 이미 셋째아들인 충녕대군에게 쏠려 있었다. 1418년 6월에 태종은 “충녕대군은 천성이 총민하고, 또 학문에 독실하며 정치하는 방법 등도 잘 안다.”라고 해 택현(擇賢 : 어진 사람을 고르는 것)의 명분을 주어 그를 세자로 책봉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처럼 충녕대군에 대한 세자책봉은 태종의 뜻에 따라 극적으로 이루어졌다. 물론, 대부분의 신하들도 이를 환영하였다. 두 달 뒤인 1418년 8월 10일 태종의 선위를 이어받아 세자 충녕대군이 왕위에 올랐으니 이 사람이 세종이다.
세종대는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유교정치, 찬란한 문화가 이룩된 시대였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반적인 기틀을 잡은 시기였다.
즉, 집현전을 통해 많은 인재가 양성되었고, 유교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제도가 정비되었으며,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 사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훈민정음의 창제, 농업과 과학기술의 발전, 의약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貢法)의 제정, 국토의 확장 등 수많은 사업을 통해 민족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였다. 이 많은 일들을 주도한 인물이 바로 세종이었
참고문헌
세종
구태훈, 『일본사 Keyword 30』, 재팬리서치21, 2012
김준태, 『왕의 경영』, 다산초당 , 2012
이한우,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해냄출판사, 2006
박현모, 『세종처럼-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미다스북스, 2008
박현모, 『세종의 수성 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2008
世宗朝 政治支配層의 對民意識과 對民政治(崔承熙, 震檀學報 76, 1993)
韓國醫學史(盧正祐, 韓國文化史大系 Ⅲ,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68)
韓國農業技術史(李春寧, 韓國文化史大系 Ⅲ,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68)
韓國天文氣象學史(全相運, 韓國文化史大系 Ⅲ,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68)
世宗朝의 集賢殿(李光麟, 최현배선생화갑기념논문집, 1954)

정도전
박남일, 『꿈 너머 꿈을 꾸다』, 서해문집, 2008
김용옥,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통나무, 2004
최상용, 「정치가 정도전 연구」, 亞細亞硏究 46, 2003
한자경,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우주 내에서 인간 心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의」, 불교학연구 6, 2003
박병련, 「三峰 鄭道傳의 行政思想」,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5
정성식, 「특집 : 여말선초 문예의 전환기적 논리 ; 여말선초 사상적 패러다임의 전환 탐구 -포은과 삼봉의 유불관을 중심으로」, 溫知論叢 15, 2006
정재훈,「정도전 연구의 회고와 새로운 사상사적 모색」, 韓國思想史學 28, 2007
리기용, 「한국철학 : 삼봉 정도전의 벽이단론과 그 해석 문제 -심문천답과 심기리편을 중심으로」, 한국 철학논집 34, 2012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 http://db.itkc.or.kr/

조광조
류승국, 『한국의 유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이병도, 『한국유학사』, 아세아문화사, 1989
역사문제연구소편, 『실패한 개혁의 역사』, 역사비평사, 1997
금장태, 『조광 전기의 유학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이동준,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한울아카데미, 1997
이상은,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1999
이상성,『조광조-한국 도학의 태산북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류승국, 『한국유학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9.
최병덕, 「지치주의 개혁론의 정치적 사유구조: 조광조 정치사상의 체계적 인식」,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 2002
오석원, “의리사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남: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